-
조선 중기 병자호란 때 용인 전투에 참여한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건(士建), 호는 잠와(潛窩).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된 최신보(崔臣輔)의 셋째 아들이다. 최진립(崔震立)[1568~1636]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동생 최계종(崔繼宗)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우고, 1594년(선조 27)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部長)을 제수받...
-
경기도 용인시에 분포되어 있는, 조상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제향을 행하는 장소. 지역에 따라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사당(祠堂) 등으로 불리는 사우(祠宇)는, 조상의 신주와 영정을 모셔 두고 연 수 차례에 걸쳐 제향을 행하는 장소이다. 보통 반가의 사우에서는 부모와 조부모, 증조, 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원수가 사돈된 이야기. 1976년에 채록되어 1990년에 출간된 『용인군지』에 실려 있다. 옛날에 원수지간으로 지내는 이판서와 문판서가 있었다. 문판서의 딸은 아버지를 기쁘게 할 양으로 꾀를 내어 남장을 하고 김판서의 집에 묵었다. 문판서의 딸은 김판서 집에 묵으면서 마침내 김판서의 딸과 통하여 이판서가 지니고 있는 병부를 훔...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용인 전투에 참여한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사무(士武), 호는 우계산인(雨溪散人). 증조부는 사간원사간 이의무(李宜茂),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행(李荇), 아버지는 도사 이원상(李元祥), 어머니는 동부승지(同副承旨) 신옥형(申玉衡)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 생원이 되고, 1574년(선조 7)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권지성균관학...
-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는 법에 의한 민사 및 형사 사건의 재판과 그에 관련되는 국가 작용. 사법은 입법, 행정과 함께 국가 통치 작용의 하나이다. 개인 상호간 또는 국가와 개인 간의 법률관계에 관한 쟁의로 소송이 제기될 경우 무엇이 적법인가를 선언하는 행위이다. 사법 제도는 좁은 의미로 재판 제도를 의미하나 넓은 의미로는 검찰 제도와 행형 제도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사법 기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상(士常), 호는 모암(慕菴)·영모당(永慕堂)이다. 고조부는 영의정 오윤겸(吳允謙), 증조부는 오달천(吳達天)이고, 아버지는 오수량(吳遂良)이다. 외할아버지는 여성제(呂聖濟)이고, 부인은 최기창(崔起昌)의 딸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1709년 교리를 거쳐 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사수(士守). 정몽주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정응선(鄭膺善)이다. 정준은 희릉참봉·건원릉참봉을 거쳐 제용감봉사·사재감직장·장흥고주부와 돈령부주부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조호란이 일어났을 때는 와서별제(瓦署別提)가 되었다. 이듬해 중국 청(淸)의 태종이 인조의 항복을 받고 이를 기념하는 삼전도비(三田渡碑)를 세우게 되자, 그...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수(士受), 호는 체천(棣泉)이다. 증조부는 오윤겸(吳允謙), 조부는 오달천(吳達天), 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을 지낸 오도일(吳道一)이다. 외조부는 정엄(鄭淹), 부인은 윤행교(尹行敎)의 딸이다. 아들은 오명보(吳命普)이다. 음보로 주부(主簿)가 되었고, 영조 11년(1735)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정언(正言)·부수찬(副修撰)을 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사전리와 용암리를 합쳐서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본래 죽산군 원일면에 속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용암리, 사전리, 천곡리 및 내동의 일부와 양지군 주서면 광곡리를 합쳐서 사암리라고 하였다. 마을의 서쪽으로 문수봉이 있고 곱등고개를 지나 독조봉으로 이어진다. 사암리는 위의 능선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원삼면소재지에서 용인 방향으로 지방도 57호선을 따라 가면 사암리주유소가 있고, 이 곳에서 길을 따라 곱등고개 쪽으로 500m쯤 더 가면 오른쪽에 고인돌 유적이 있다. 고인돌이 위치한 이 곳은 청미천의 가장자리로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으며 주변에 청미천의 발원지인 용담저수지가 있다. 8기 가운데 1호는 덮개돌의 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에 있는 약 200년 수령의 느티나무.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일그러진 편구형으로 10월에 익으며, 뒷면에 능선이 있고 지름은 4㎜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긴 타원형 또는 계란형이며, 잎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가 발달한다. 어릴 때 성장이 빠르고 비옥한 땅에서 잘 자라며, 햇볕을 좋아하는 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모래실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사암리 모래실에서 산제사를 지내게 된 이유는, 마을 사람들이 산을 두려워하는 마음을 산신이 알아주고 보살펴 주기를 바라서라고 한다. 산신제는 태조산 정상에서 지내는데, 근래에 마을에서 돈을 모아 제사지내는 산제당을 만들었다. 제사는 매년 10월 초이튿날에 지내는데, 9월에 마을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선돌. 용인에서 양지인터체인지 방향으로 지방도 57호선을 따라가다 보면 오른쪽에 이정표가 있고, 사암리 안골 입구에 들어서면 선돌 3기가 나란히 서 있다. 남쪽에서 북쪽으로 차례로 1호, 2호, 3호로 명명하여 각각의 규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호는 높이 220㎝, 너비 103㎝, 두께 60㎝이고, 2호는 높이 210㎝,...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좌항리에서 392호선을 타고 사암리 쪽으로 가다 보면 사암교에 이른다. 사암교를 건너기 직전에 북쪽으로 사암천을 따라 난 작은 포장도로로 가면, 북쪽의 해발 432m의 독조봉으로부터 흘러나온 가지 능선 말단부 자락에 넓은 경작지가 있다. 사암리 유물산포지는 이 일대에 형성되어 있다. 채집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사언(士彦). 증조부는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 조부는 장연령(長淵令) 이은동(李銀同), 아버지는 순안령(順安令) 이여귀(李如貴)이다. 외조부는 윤맹경(尹孟卿)이고, 부인은 남정진(南廷縉)의 딸이다. 1576년(선조 9)에 식년시(式年試) 문과의 병과(丙科) 7위로 급제하였다. 묘비에 의하면 고양군수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優), 호는 동원(東園). 증조부는 정옥형(丁玉亨)이며, 조부는 정응두(丁應斗), 외조부(外祖父)는 한경상(韓景祥)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이다. 1601년(선조 34)에 진사(進士)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지평(持平)·정언(正言)·수찬(修撰)·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1...
-
경기도 용인시에 분포되어 있는, 조상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제향을 행하는 장소. 지역에 따라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사당(祠堂) 등으로 불리는 사우(祠宇)는, 조상의 신주와 영정을 모셔 두고 연 수 차례에 걸쳐 제향을 행하는 장소이다. 보통 반가의 사우에서는 부모와 조부모, 증조, 고...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흥. 자는 사원(士元), 호는 섬촌(蟾村)·정암(貞庵)이다. 여양부원군 민유중(閔維重)의 손자이고, 문충공(文忠公) 진후(鎭厚)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연안이씨(延安李氏)로 현감 이덕로(李德老)의 딸이다. 1714년(숙종 40) 사마시(司馬試)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권상하(權尙夏)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하동마을과 보라동 음지촌을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은 사은현·사은고개·사은정고개·사은정이고개·산쟁이고개 등으로 불리는데, 최신 지도에는 사은정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사은고개 북쪽 두암산의 동사면 중턱에 있는 사은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쪽에 두암산이 있으며, 서쪽은 보라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주변 남쪽에는 나곡초등학...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하동마을과 보라동 음지촌을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은 사은현·사은고개·사은정고개·사은정이고개·산쟁이고개 등으로 불리는데, 최신 지도에는 사은정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사은고개 북쪽 두암산의 동사면 중턱에 있는 사은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쪽에 두암산이 있으며, 서쪽은 보라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주변 남쪽에는 나곡초등학...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두암산에 있는 조선 전기 정자.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정암 조광조, 방은 조광보, 회곡 조광좌, 음애 이자 등이 모여 학문을 논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정자의 이름을 사은(四隱)이라 한 것은 정암, 방은, 회곡, 음애가 서로 친하게 지내며 도의(道義)로써 사귀어 더불어 즐거워하고, 농사 짓고[耕], 나무하고[薪], 낚시질하며[釣], 나물 캐는[菜]...
-
지곡동으로 향하는 삼거리에는 좌우로 큼지막한 주유소가 있다. 좌회전은 지곡동으로 향하는 화살표가 직진은 화성으로 향하는 이정표가 있다.그 삼거리 오른쪽 주유소 옆에는 작은 글씨로 ‘사은정’이라는 작은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를 따라 50m쯤 올라가보니 아늑한 전통 정자가 나온다. 사은정은 조선 중종조의 학자인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 선생이 종형제인 방은 조광보(...
-
조선 후기 이용구가 사은정의 중수를 기념하여 지은 기문. 「사은정 중수기(四隱亭 重修記)」는 조국형(趙國衡)과 이인규(李麟珪)가 사은정(四隱亭)을 중수한 뒤에, 작자인 이용구(李容九)에게 중수기를 부탁하자 지어 준 기문(記文)이다. 글씨는 정영소(鄭榮韶)가 썼으며,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에 있는 사은정(四隱亭)에 현판으로 걸려 있다. 사은정은 정암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하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하동마을과 보라동 음지촌을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은 사은현·사은고개·사은정고개·사은정이고개·산쟁이고개 등으로 불리는데, 최신 지도에는 사은정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사은고개 북쪽 두암산의 동사면 중턱에 있는 사은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쪽에 두암산이 있으며, 서쪽은 보라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주변 남쪽에는 나곡초등학...
-
조선 후기 정범조가 사은정의 중창을 기념하여 지은 기문. 「사은정기(四隱亭記)」는 조광조의 9세손인 조국인(趙國仁)이 사은정(四隱亭)을 중창하고 나서 정범조(鄭範祖)[1833~1898]에게 부탁하자 지어준 기문(記文)이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에 있는 사은정에 현판으로 걸려 있다. 사은정은 정암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하여 중종 때의 유학자로 식견이 높았던 조광보(趙光輔)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하동마을과 보라동 음지촌을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은 사은현·사은고개·사은정고개·사은정이고개·산쟁이고개 등으로 불리는데, 최신 지도에는 사은정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사은고개 북쪽 두암산의 동사면 중턱에 있는 사은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쪽에 두암산이 있으며, 서쪽은 보라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주변 남쪽에는 나곡초등학...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사전마을에 있었던 사립 강습소. 신교육과 기초 생활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사전강습소는 가정 형편이 어렵거나 원삼보통학교와 거리가 멀어 초등 교육을 못 받는 학생을 위하여 성균관 박사를 지낸 이명세가 1937년에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 건물은 2칸이었으며 학생이 점차 증가하여 5칸으로 증축하였고, 1946년에 폐소하였...
-
조선 후기 용인의 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조 태종의 서자인 경녕군(敬寧君)의 11대 손으로, 남편은 목천현감인 유한규(柳漢奎)이고, 아들 유희(柳僖)는 『언문지(諺文志)』를 저술한 한글학자이다. 충청도 청주(淸州) 서면(西面) 지동(池洞)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부녀자의 솜씨를 익히고 옛 열녀를 마음으로 사모하여 이에 『소학(小學)』, 『가례(家禮)』, 『여사서(女四書)』...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용인의 금령 전투에서 승리한 의병장. 본관은 언양. 자는 사중(士重), 호는 건재(健齋)·극념당(克念堂)이다. 증조부는 김응복(金應福), 할아버지는 김식(金湜), 아버지는 김중기(金重器)이며, 외할아버지는 이용(李蓉), 부인은 박덕창(朴德昌)의 딸이다. 1573년(선조 6)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되고, 1578년 임실현감(任實縣監)을 지냈다. 1592년...
-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카메라를 통해 표현해 내는 예술의 한 장르. 사진은 가시광선·자외선·적외선·감마선·전자선 등의 작용에 의해서 감광층(感光層) 위에 물체의 반영구적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사진은 빛으로 그린다는 의미의 라틴어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전 과정을 포함한다. 카메라를 통한 사물과 현실의 기록과 표현은 복제와 시각적인 전달 매...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우리나라 불교는 중국을 거쳐 고구려, 백제, 그리고 신라의 순으로 수용되었는데,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 전진의 아도와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들어와 불법을 전한 것이 시초이다. 당시의 용인 지역은 백제의 영역이었는데, 백제는 384년(침류왕 1)에 동진(東晋)에서 온 호승(胡僧) 마라난타로부터 불교를 수용하...
-
목효기를 시조로 하고 목종화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시조는 고려 때 낭장(郞將)을 지낸 목효기(睦孝基)이다. 고려시대에는 목충(睦忠)·목인길(睦仁吉)·목자안(睦子安) 등이 왜구를 격퇴하는데 공을 세웠다. 조선 중종 때의 학자 목세칭(睦世秤)과 그 자손들이 목씨를 중흥시켰다. 아들 목첨(睦詹)은 선조 때 도승지를 역임하였고, 목첨의 아들 3형제가 문과에 급제함으...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사추(士秋), 호는 귀락당(歸樂堂)·행호거사(杏湖居士)이다. 좌찬성에 추증된 이할(李劼)의 증손이며, 호조참의(戶曹參議) 이유겸(李有謙)의 손자이며, 우의정 이숙(李䎘)의 둘째 아들이다. 후에 사헌부 지평(持平)에 추증된 중부(仲父) 이흡(李翕)의 후사가 되었다. 부인은 안동김씨로 영의정 김수흥(金壽興)의 딸이다. 효종 대에서 경종 대...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탁(士卓), 호는 갈천(葛川). 계림군 김균(金稛)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찰방 김성진(金聲振)이다. 처는 정응규(鄭應奎)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성균관에 있을 때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모하자 몇몇 유생들과 함께 이를 비판하는 복합상소를 올려 광해군의 미움을 받아 하옥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 1627년 전주정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사하(士夏)이다. 좌찬성에 추증된 이할(李劼)의 증손이며, 호조참의(戶曹參議) 이유겸(李有謙)의 손자이며, 우의정 이숙(李䎘)의 둘째 아들이다. 병조판서를 지낸 이만성(李晩成)의 형이며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아버지이다. 외가인 부안에서 출생하였으며, 10세 전에 경사(經史)에 통달하는 총명함을 드러내었다. 1675년(숙종 1) 사...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 자는 사호(士鎬), 호는 대재(大齋)이다. 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유일로 천거되어 세자시강원 자의(諮議)가 되었다. 그 후 사헌부 지평, 집의, 경연관 등을 역임하였고, 이조·형조·호조의 참의를 거쳐 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가 사직한 후 안성에 은거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1782년(정조 6)부터 1783년까...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창원(곡부). 자(字)는 사홍(士弘)·성지(星之). 공서린(孔瑞麟)의 9대손이며, 공원인(孔源仁)의 아들이다. 공윤항은 가세가 몹시 빈곤하였으나, 1792년(정조 16) 정조가 초계문신(抄啓文臣)을 직접 시험하는 과강(課講)과 일차유생의 전강을 실시할 때 학문이 뛰어나다고 해서 왕명으로 특별히 전시를 볼 수 있었다. 17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사회복지는 교육, 문화, 의료, 노동 등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와 관계되는 조직적인 개념으로 「사회복지법」, 「생활보호법」, 「아동보호법」등의 법률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진다. 한국의 사회보장기본법에서는 사회복지의 범주를 사회보험, 공공 부조,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복지 제도로 대별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에서 사회 복지와 사회 봉사를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된 조직이나 단체. 사회복지는 그 주체에 따라 크게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뉜다. 공공 영역의 사회복지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제반 사회 보장 제도를 말한다. 민간 영역의 사회복지는 개인이나 민간 사회단체들이 마련하여 시행하는 사회적 방책을 말한다. 사회복지단체는 주로 민간 영역의 사회복지나 사회복지 시설의 운영과...
-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 변화를 일으키거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집단적으로 전개하는 일체의 행동. 사회운동은 구체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현존 사회 체제를 근본적으로 변혁하기 위하여 대중이 자발적으로 하는 조직적이고 집단적이며 지속적인 행위이다. 정당이나 이익 단체의 활동보다는 덜 체계적이지만 군중 행동이나 대중 행동보다는 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사회운...
-
경기도 용인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있는 지형. 보통 상대고도 300m 이상 되는 경우를 산지라고 하고 그 이하는 구릉지 또는 저산성 산지라고 표현한다. 산지가 연속된 것은 산맥이라고 한다. 보통 산이라는 명칭이 붙지만 드물게는 봉이라는 지명 접미사가 쓰이는 경우도 있다. 용인시 지역은 전형적인 구릉지로서 대부분 저산성 산지이며, 1/25000 지형도에 표시된 용...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학동 원님의 명판결 이야기. 1982년에 채록되어 1984년에 출간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려 있다. 이서방과 김서방이 한 동네에 살았다. 구봉산에 산삼이 있는데도 산이 험준하고 나무가 우거져서 사람들은 산삼을 캘 생각을 못했다. 어느 날 이서방과 김서방이 산삼을 캐러 가기로 의논을 하고, 집으로 돌아가 기도를 드리고...
-
고려 전기 용인 출신의 개국공신이자 용인이씨의 시조. 왕건의 누이를 아내로 맞이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附馬)가 되었다. 신라 말에 용구(龍駒)[경기도 용인시의 옛 이름]에서 태어난 토호(土豪)였는데,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왕건이 고려의 태조가 되었을 때 개국공신의 예우로서 식읍(食邑) 500호를 하사하고 산성군(山城君)에 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일 년에 한 번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서 지내는 제사. 묘사(墓祀)라고도 하는 묘제는 조상의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영혼에 대한 제사인 기제사 등과는 달리 고인의 체백(體魄: 육신)에게 지내는 제사로서, 일 년에 한 번 날을 잡아서 행한다. 원래 3월 상순에 지내도록 되어 있으나 요즘에는 음력 10월에 한 날을 잡아 지내는 것으로 정착되면서 시제(時祭...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아이의 출산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 산속(産俗)이라고도 하는 출산의례(出産儀禮)에는 넓은 의미에서 아이를 갖기 위해 행하는 기자의례(祈子儀禮)부터 금기, 태교, 해산, 태처리 등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행해지는 여러 가지 의례들이 포함된다. 출산의례는 크게 산전의례(産前儀禮)와 산후의례(産後儀禮)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모두 산모와 아이 모두 건강하고...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산신제 및 고유제는 포은문화제 행사의 개막을 알리는 행사로 모든 행사의 첫째 날 일찍 올린다. 포은 선생 묘역에서 포은공파 종약원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포은 선생이 잠들어 있는 문수산(文秀山)의 산신과 선생께 올리는 제사이다. 이는 전통에 바탕을 두고 진행하는 행사로 모든 큰일 을 치르고자 할 때 신명(神明)에게 고하는 풍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자기를 향상시키는 어린이, 새롭게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신갈동 산양골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하여 2001년 5월 2일 14학급으로 개교하였고, 초대 김승호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2년 2월 제1회 졸업식(70명)을 가졌다. 2001년...
-
경기도 용인시에서 산업 경제 발전에 기여한 시민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 산업평화대상은 매년 시민의 날에 시장이 시상하고 있으며 상패와 부상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는 각급 기관, 단체 및 기업체장과 구청장이 추천한 수상 후보자들 가운데 각 분야 교수와 전문 경영인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발된다. 산업의 합리화와 기술 혁신 및 고품질화로 국가 경쟁력...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하동마을과 보라동 음지촌을 연결하는 고개. 고개의 이름은 사은현·사은고개·사은정고개·사은정이고개·산쟁이고개 등으로 불리는데, 최신 지도에는 사은정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사은고개 북쪽 두암산의 동사면 중턱에 있는 사은정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북쪽에 두암산이 있으며, 서쪽은 보라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주변 남쪽에는 나곡초등학...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공언(功彦), 호는 악록(岳麓)·산전(山前). 아버지는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서 학자·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엽(許曄)이며, 어머니는 둘째 부인인 강릉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판서(禮曹判書)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이복동생인 허봉(許篈)과 허균(許筠)이 있으며, 여동생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있다. 허성...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의 조상신과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연중 무병과 평온 무사를 비는 의례. 용인시의 각 마을에 따라 산제(山祭)라고도 하는 당제는, 산제사와 구별해서 주로 마을 입구에 있는 제단이나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사당에서 제사를 지낸다. 대부분 정월 초나 시월 상달에 제를 지내며, 제삿날은 보통 운수가 길한 날을 택한다. 제물은 전날 차려 놓으며, 유교식 절차에...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경기도 용인시 전역의 야산이나 정원, 공원에 서식하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 우리나라 각처의 야산에 주로 자생하거나 인공적으로 정원 등지에 관상수로 식재하는 식물로 연분홍색이나 흰 꽃이 핀다. 철쭉은 중국이나 러시아 우수리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라도, 경상도 지방에서는 500m 이상의 고지에서 볼 수 있으나 경기 지방에서는 산록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신두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 산신제는 마을신앙에서 가장 중시되는 의례의 하나이다. 각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데, 진산(鎭山)을 공유하는 마을에서는 함께 지내는 것이 관례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
고려 후기 처인성을 공격해온 원나라 장수. 살리타는 1231년(고종 18) 몽고 사신 저고여(箸古與)가 고려인에게 살해되었다고 여겨 함신진(咸新鎭)을 넘어 고려를 공격해왔다. 그러나 구주(龜州)에서 박서(朴犀)에게 패하였고, 다시 군대를 정비하고 개경 성의문(省義門) 밖까지 침공해왔다. 이에 고려는 살리타가 있는 안북부(安北府)[安州郡]까지 사신을 보내어 강화하게 하였다. 1232...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법정동. 본래 용인군 수여면(용인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동을 병합하여 삼가리가 되었다. 1937년 4월 1일 용인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용인면이 용인읍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었으며, 2005년 10월 31일 구가 신설되면서 처인구 역삼동...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정통) 소속 교회.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하여 하나님을 섬기고, 성숙한 그리스도인이 되도록 훈련하여 교회와 사회에 봉사하며 땅 끝까지 선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삼가리교회에서 삼가동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06년에 한아름교회라는 이름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2003년 김충률[현재 중국 선교사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참되고 착하며 아름다운 심성을 갖춘 창의적인 삼가인을 기른다를 교육지표로 바르게 행동하며 예절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2000년대 삼가동 일원에 아파트 입주하여 설립된 학교로 2004년 3월 1일 초대 박종형 교장이 취임하여 2004년 6월 5일 1...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생긴 이름이다. 『연혁대장』에는 “대략 390여년 전 원수골과 도사리, 승저골에서 나오는 세 갈래 계곡의 냇물이 이곳에서 한데 모여 흐른다.”고 하여 삼계리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 본래 용인현 포곡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당곡과 두계리, 상도리(일명 도래리) 지역을...
-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정립하던 시대의 용인 지역의 역사. 삼국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은 백제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쇠퇴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마한 군장사회들 중 하나였던 백제가 백제국가로 흥기하게 됨에 따라 그 중심지로부터 불과 30여㎞ 떨어져 있던 경기도 용인 지역은 백제 세력권 안으로 흡수·통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용인 지방은 『대동지지(大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백암면 고안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조선시대부터 삼남대로 또는 영남대로라고 불리는 서울에서 영남을 왕래하는 대표적인 도로였다. 여천~용인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사거리이고, 종점은 안성시 일죽면의 경계인 백암면 고안리 아곡마을이다. 양지면 양지리에서 국도 42호선인 인천~동해 선과 접합되며, 이어 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에 있는 전기안정기 전문 제조업체. 자기식 안정기, 모듈형 안정기, 고효율 메탈할라이드 램프, 이그나이터, 네온 트랜스포머 등 전압 조정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이다. 1969년 8월 서울시 성동구 풍납동에 삼립제작소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1972년 전압 조정기 형식 승인을 취득하였다. 1973년 9월 현재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으로 본사 및...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삼배울에서 결성된 동계(洞契). 삼배울 대동계는 마을의 각 가호를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주민총회의 성격을 가진다. 주로 매년 말에 열리는데, 1년간 마을 공동체와 관련된 사업을 정리·평가하고 새로운 사업 계획을 세우거나 마을 지도자 등을 선출하기도 한다. 또한 마을기금을 조성하여 형편이 어렵거나 자금이 필요한 회원에게 낮은 이자로 빌려주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전기 전문 건설업체. 1998년 7월 삼성 에버랜드(주) 리조트 사업부에서 분사한 시설팀과 환경안전팀의 67명 종업원들이 같은 해 8월 (주)삼보엔지니어링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8년 9월부터 삼성 에버랜드(주)에서 캐리비안베이의 시설물 관리·수질 관리·청결 관리 위탁을 받아 운영하였다. 1998년 11월 전기공사업 면허를 취득하였으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시미리·화산리·묵리에 걸쳐 있는 산. 주 능선은 북서~남동 방향인데, 북서쪽으로는 407고지를 거쳐 굴암고개로 연결되고, 남동쪽으로는 시궁산으로 이어진다. 전체적으로 경사가 상당히 급한 편이나, 정상에서 406고지까지는 3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으며, 이 구간은 상당히 평탄하다. 해실천이 서류하여 용덕저수지를 거쳐 진위천으로 흘러들며, 서쪽...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었던 사립 강습소. 선교 활동과 기초 생활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삼성강습소는 압고지 성당에서 전교하던 정레오 신부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지역에 신식 교육 기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22년 현재 포곡중학교 오른쪽에 해당하는 성당 북쪽에 교사를 짓고 경기도로부터 인가를 받아 설립한 사립 초등 교육 기관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자동차 전문 박물관. 자동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유익한 배움과 즐거움을 제공하고, 우리나라 자동차 문화의 발달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8년 5월 삼성화재교통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2006년 1월에 2번가 이야기, 9월에 자동차 체험관, 12월에 철도관 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개관하였으며, 2007년 제 4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다가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으로 이전한 문화재단.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의 경영 이념에 따라 육영과 문화 복지 사업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65년 2월 이병철 회장의 재단 설립 발표에 이어 같은 해 4월 재단법인 삼성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1976년 5월 공익 법인으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8월 삼성미술문화재단으로 명칭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에 있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 공장. 삼성전자는 지난 1983년 기흥공장을 6개월이라는 단기간에 준공하면서 반도체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첨단 산업의 근간인 국내 반도체 분야의 육성으로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준공되었다. 삼성전자(주) 기흥공장은 1983년 설립되어 20여 년간 반도체를 제조·판매해 온 반도체 개발·생산 전문 업체이다. 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에 있는 각종 첨단 레이더의 연구·개발을 위해 설립된 연구소. 위성 통신 장비, 레이저 거리 측정기, 장갑차 사격 통제 장비, 중거리 유도탄용 3차원 레이더 등을 생산 하는 첨단 방위 산업체인 삼성탈레스(주)의 레이더 연구소이다. 단거리 지대공 무기 체계의 핵심 장비인 천마 탐지기 추적 장치와 중거리 지대용 무기 체계의 핵심 장비인 각종 표적에 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자동차 전문 박물관. 자동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유익한 배움과 즐거움을 제공하고, 우리나라 자동차 문화의 발달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8년 5월 삼성화재교통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2006년 1월에 2번가 이야기, 9월에 자동차 체험관, 12월에 철도관 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개관하였으며, 2007년 제 4회...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에 있었던 사립 교육 기관.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초 지식 습득과 함께 민족교육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삼악학교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지역에 신교육 기관이 필요함에 따라 이 고장 유지 여준(呂準)[1862~1932], 오태선, 오용근 등이 추진하여 1908년에 설립되었다. 원삼면 죽능리에 거주하는 오항선이 자신의 사랑을 내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와 가창리를 잇는 도로. 시점은 경기도 안성시와의 경계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 사천마을이고, 종점은 경기도 이천시와의 경계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이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서 출발하여 용천리·근삼리·근창리·내수곡·백암시장·근곡리 등을 지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가창리에 다다른다.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서 고초동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삼학사 전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오달자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오달제(吳達濟)를 말한다. 오달제는 1609년(광해군 원년)에 용인에서 오윤해의 아들로 태어났다. 1634년(인조 12)에 문과에 합격하여 벼슬에 올랐고, 2년 뒤에 부교리가 되었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반대하였으나, 인조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리와 장평리에 전해져 내려오던 두레패.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해 마을 단위로서 만들어진 것이 두레다. 백암면 용천리와 장평리 일대는 농업이 크게 발전했던 만큼 두레 역시 크게 활성화되었으며, 특히 용천리의 안배미(율리), 골배미(곡율)와 장평리의 주막배미(평율)의 3개 마을 두레는 특히 유명하여 삼형제 두레로 전해진다. 두레 조직의 선후와 세력...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리에 있는 전자 축전기 제조업체. 전자 산업의 필수 핵심 부품인 각종 콘덴서 제품을 국산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6년 8월 14일 오한실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1960년 12월에 삼화전기산업 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63년 9월에 한국 최초로 고압 및 저압 진상용 콘덴서 양산을 개시하였다. 1968년 8월 삼화콘덴서공업 주식회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행정동. 마을 앞에 흐르는 내가 칡넝쿨 같은 형상이라 갈천이라 하였다고 하며 칼내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갈천의 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상갈동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화·중갈천을 병합하여 상갈리라 하여 기흥면에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기흥면이 기흥읍으로 승격되고, 199...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었던 신석기시대의 임시 주거 유적.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경기도박물관의 남쪽 해발 100m 이하의 잔구성 구릉에 자리하며, 루터신학교 정문의 동편 구릉에 해당한다. 임시 주거 유적으로서 뚜렷한 주거 형태는 남아 있지 않았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빗살무늬토기와 토제품 및 마제석부가 있다. 빗살무늬토기의 기종은 발(鉢)이며 바닥이 첨저(尖底...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주민들을 위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 주민센터의 여유 시설과 공간을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로 꾸며 주민 공동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기구이다.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 교육과 자치 의식 함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편익 시설을 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를 구성하고 있는 총 9개 행정동 중 상갈동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공기관이다. 상갈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기흥읍과 구성읍이 통합되어 기흥구로 개편됨과 더불어 이전의 상갈리, 보라리 및 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었던 신석기시대의 임시 주거 유적.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경기도박물관의 남쪽 해발 100m 이하의 잔구성 구릉에 자리하며, 루터신학교 정문의 동편 구릉에 해당한다. 임시 주거 유적으로서 뚜렷한 주거 형태는 남아 있지 않았다.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빗살무늬토기와 토제품 및 마제석부가 있다. 빗살무늬토기의 기종은 발(鉢)이며 바닥이 첨저(尖底...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자율·창조’이다. 나라를 사랑하고 전통 문화를 숭상하는 애국인, 법규를 준수하고 봉사하고 협동하는 도덕인,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주인, 기초 과학 및 정보화 교육에 충실하고 창의적 능력을 발현하는 창조인,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신체를 튼튼히 하며, 굳건한 의지를 가진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2012년 교육의 비전을 언제나 함께하고,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로, 교육지표는 더불어 생활하는 바르고 슬기롭고 건강한 어린이 육성으로 설정하였다. 교육목표는 세계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바른 어린이(도덕인), 열심히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자주인), 개성과 창의성이 있는 어린이(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어린이(건강인...
-
조선 전기의 문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이애(李薆)[1363~1414]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1396년 태조의 8남 5녀 중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1426]와 혼인하여 상당군(上黨君)과 상당후(上黨候)가 되었다. 본관은 청주(淸州). 아명은 백경(伯卿). 초명은 이저(李佇). 아버지는 청허자(淸虛子) 이거이(李居易)이며, 청평부원군에 봉하여졌다가 공신 명부에서 삭제...
-
조선 전기의 문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이애(李薆)[1363~1414]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1396년 태조의 8남 5녀 중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1426]와 혼인하여 상당군(上黨君)과 상당후(上黨候)가 되었다. 본관은 청주(淸州). 아명은 백경(伯卿). 초명은 이저(李佇). 아버지는 청허자(淸虛子) 이거이(李居易)이며, 청평부원군에 봉하여졌다가 공신 명부에서 삭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로, 죽음을 현실로 수용하는 초종례부터 시신을 처리하는 습과 염의 의례,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탈상까지의 과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예전부터 용인 지역에서는 유교식 상례가...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 자는 상보(尙甫), 호는 여호(黎湖)·요계(蓼溪)이다. 군수 박태두(朴泰斗)의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영의정 송상기(宋相琦)의 천거로 시강원자의(侍講院諮議)가 되었다. 지평(持平)·장령(掌令)·진선(進善)·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세자찬선(世子贊善)·이조판서·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 서원을 철폐한...
-
조선 중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이경석(李景奭)[1595~1671]은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 등 산림의 학자들을 대거 천거하여 요직에 오르도록 도와주었으나 훗날 그가 천거한 송시열과 정적이 되어 노소분당(老少分黨)이 이루어지면서 소론의 비조가 되었으며, 조선 중기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안팎으로 얽힌 난국을 적절하게 주관하였던 명상(名相)으로 꼽힌다. 병자호란을...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처인구 모현읍 일대에서는 「상사 타작」이라고도 부르는 「상사 소리」는 주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상사 소리」의 메김 선율은 한 마디가 주로 4~6자로 구성된 2음보씩으로, 후렴구가 “얼얼럴럴 상사뒤야”나 “에~얼럴럴 상사뒤야”로 붙는다고 하여 「상사 소리」라고 부른다. 상사라는 말은 상서롭다는 뜻의 상사...
-
조선 전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자영(子永), 호는 소원(少原). 증조부는 황을구(黃乙耈)이고, 할아버지는 황하신(黃河信)이며, 아버지는 증좌찬성(贈左贊成) 황사간(黃士幹)이다. 아들은 황석경(黃碩卿)과 황준경(黃俊卿)이 있다. 황효원(黃孝源)[1414~1481]은 세조 대부터 성종 대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특히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
백암농악의 맥을 잇는 상쇠 차용성 씨는 차정범(車正範)의 4대 독자로, 1928년에 백암면 용천리 45번지에서 태어났다. 출생해서 한 번도 이사를 가 본 적 없이 이곳에서 한평생을 살았다. 가족으로는 1년 전에 세상을 떠난 부인 김공순 여사와의 사이에 4남 4녀를 두고 있다. 백암농악에서 태평소를 불고 있는 차진복(48세) 씨가 세 번째 아들이다. 상쇠 차용성 씨의 풍물은 멀게는...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한역되어 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입을 통하여 전해 오며, 지혜나 교훈을 비유적·상징적으로 압축하여 민족 전체가 공유하는 훌륭한 민족적 언어 예술이요 문학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속담의 세 가지 요건을 들자면 첫째, 민중 속에서 생산된 관용적 표현이다. 둘째, 보편적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은 넓은 의미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재화의 사회적 유통 활동을 지칭한다. 따라서 사회적 유통 활동을 촉진·조성하는 금융업, 운송업, 보험업, 창고업 등도 넓은 의미로는 상업에 포함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의 상업은 단지 상인의 영리 목적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재화의 매매 활동만을 지칭한다...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의식요.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상여 소리」는 노래가 불리는 지역과 주변 여건, 선소리꾼의 구연 능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연되는 특성이 있다. 선소리는 「회심가」의 사설을 근간으로 하여 생로병사의 순환적인 운명과 극락왕생의 기원, 상주를 비롯한 자손들의 위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여 소리」는 주로 평지에서 부르는...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상여(相如). 아버지는 이백주(李白州)이다. 1651년(인조 20) 아버지 이백주가 시험관으로 있던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남달리 총명하고 시문(詩文)이 아름다우며 풍도(風度)가 있었다. 그러나 부친의 병간호로 마음을 졸이고, 부모상을 당하여 몸이 상하여 33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백눌(伯訥), 호는 풍서(豊墅) 또는 상와(常窩)이다. 증조부는 부제학 이단상(李端相),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이희조(李喜朝), 아버지는 사간원 대사간 이양신(李亮臣)이다. 1747년(영조 23) 진사시에 합격하여 음보(蔭補)로 시강원의 동궁요속(東宮僚屬)에 임명되었고, 장악원정을 거쳐 1788년 동부승지에 특배되었...
-
황석주를 시조로 하고 황윤충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한국 황씨의 원시조는 중국 후한(後漢)의 유신(儒臣)이었다는 황락(黃洛)으로 전해온다. 그는 서기 28년(건무 4년)에 후일 평해구씨의 시조가 되는 구대림(丘大林)과 함께 교지국(交趾國)에 사신으로 가던 길에 동해에서 풍랑을 만나 평해에 표착해 그곳에 자리잡고 살았는데, 이것이 황씨의 기원이다. 상주황씨는 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상하동은 기흥구의 동쪽에 위치하며, 구갈동 및 동백동·상갈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본래 고인돌이 아래위로 2개가 있어서 상지석과 하지석으로 불렸는데, 한 글자씩 따서 상하리가 되었다가 상하동으로 승격되었다. 본래 용인현의 동변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지석·하지석과 수원동을 합쳐서 상하리가 되었고 구성면에 속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이 곳에는 고인돌이 2기 있었는데 위쪽에 있는 것을 상지석(上支石), 아래쪽에 있는 것은 하지석(下支石)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이름을 따서 지명도 상하리(上下里)라고 하였다가 상하동으로 승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상지석을 ‘할아버지 바위’라고 불렀지만 지금은 없고, 하지석은 ‘할미 바위’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민제궁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던 마을 굿. ‘상하동 민제궁 서낭굿’의 형태는 정확하게 고증된 적이 없으나, 하주성에 의하면 수원 화랭이들이 주관하여 거행했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경기도 도당굿의 형태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짙다. 경기도 도당굿 기능보유자 오수복에 의하면, 상하동 민제궁 서낭굿을 주관하던 무속인은 이용우였다고 한다. 장승을 대상으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상하동 할미지석제’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기는 지석묘 앞에서 마을 사람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드리는 마을 제사이다. 지금은 지석제 보존위원회에서 ‘고인돌청년회’를 결성하여 매년 음력 10월 초순에 택일하여 지석제를 지내고 있다. ‘상하동 할미지석제’의 신체인 지석묘는 용인에서 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행정기관.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의 행정을 총괄 담당하면서 주민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동사무소이다. 주민편의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본래 1914년 읍삼면 어정마을 지역으로 1931년 4월 1일 읍삼면이 구성면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후 2000년 9월 1일 구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2005년 10월 31일 기흥구의 탄생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천주교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인근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12월에 상하성모세성당이 신설되면서 성전 부지를 매입하였다. 2004년 10월 1일 초대 전시몬 주임신부가 부임하였다. 같은 해 12월 10일 상하성모세성당으로 승인을 받은 뒤 상하동 임시 성당에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천주교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인근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3년 12월에 상하성모세성당이 신설되면서 성전 부지를 매입하였다. 2004년 10월 1일 초대 전시몬 주임신부가 부임하였다. 같은 해 12월 10일 상하성모세성당으로 승인을 받은 뒤 상하동 임시 성당에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2012년에는 체력이 좋고 녹색성장에 참여하는 어린이(건강한 어린이), 규칙을 바르게 지키고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따뜻한 가슴을 지닌 어린이), 창의력 계발의 기초인 호기심을 키우고 실력을 갖춘 어린이(많이 아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상하동에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면서 설립된 학교로 2002년 6월 3일 10학급...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마을의 북쪽에 만현이라는 고개가 있어서 상리에서의 ‘상’자와 만현에서의 ‘현’자를 따서 마을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리·가산·만현과 수진면의 정평리의 일부를 합쳐 상현리가 되어 수지면에 편입되었고,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 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1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9개 행정동 중 상현1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상현1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1년 12월 24일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수지읍 상현리가 상현동으로 변경되면서 상...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1동에 있는 주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편익 시설. 상현1동주민센터의 여유 시설과 공간을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로 꾸며 주민 공동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주민 자치 활동의 구심체이다.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 교육과 자치 의식 함양을 위한 각종...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법정동이자 행정동. 마을의 북쪽에 만현이라는 고개가 있어서 상리에서의 ‘상’자와 만현에서의 ‘현’자를 따서 마을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리·가산·만현과 수진면의 정평리의 일부를 합쳐 상현리가 되어 수지면에 편입되었고,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고,...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절골말에 있는 조선시대 절터. 절터는 수지구청에서 국도 43호선을 따라 수원 방향으로 1㎞ 가면 나타나는 상현2동 ‘절골말’이란 마을 뒷산 구릉자락에 자리한다. 구릉은 해발 226m인 응봉산에서 동남쪽으로 이어 내려진 능선에 해당하며, 완만한 능선의 남서 사면에 절터가 자리하는데 해발 103m 정도이다. 2011년 현재 아파트단지로 변해 있다. ‘절골...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2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9개 행정동 중 상현2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상현2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1년 12월 24일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수지읍 상현리가 상현동으로 변경되면서 상...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와 가마 터.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서 보정동 삼막곡으로 넘어가는 도로 동편 구릉의 남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상현동 요지에서 한신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기와 가마 2기가 발굴되었다. 제1호 가마는 풍화암반층을 굴토하여 가마 바닥을 조성한 반지하식 등요(登窯)로, 소성실(燒成室)은 계단식으로 만들었다. 가마의 길이는 8.3m이고, 내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와 가마 터.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서 보정동 삼막곡으로 넘어가는 도로 동편 구릉의 남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상현동 요지에서 한신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기와 가마 2기가 발굴되었다. 제1호 가마는 풍화암반층을 굴토하여 가마 바닥을 조성한 반지하식 등요(登窯)로, 소성실(燒成室)은 계단식으로 만들었다. 가마의 길이는 8.3m이고, 내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상현동 유물산포지는 모두 네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각을 상현동 유물산포지1부터 상현동 유물산포지4로 구분하여 이르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에서 광주시 방향으로 국도 43호선을 따라 수원과 용인 경계 지역을 지나면 동쪽으로 독바위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상현동 유물산포지1은 이 독바위마을 안쪽에 형성된...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상현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내의 용인수지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1791년 신해박해 때 순교한 유학자 출신 천주교인 권일신[?~1791]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성당이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초기 천주교의 주요 인물이었던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귀양지로 유배를 떠나던 도중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상현동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내의 용인수지지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1791년 신해박해 때 순교한 유학자 출신 천주교인 권일신[?~1791]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성당이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초기 천주교의 주요 인물이었던 권일신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귀양지로 유배를 떠나던 도중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1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 신도시 지역의 포교를 목적으로 1998년 승려 능현이 독바위마을에 창건한 사찰이다. 상현사는 포교당 형태로 지은 사찰로 월간 ‘좋은 인연’(2011년 현재 약 200회)이라는 포교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금강경 강설과 강설 법회를 하고 있다. 그밖에 4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 칠석, 백중 우란분...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참되게·슬기롭게·부지런하게’이다. 교육목표는 올바르게 행동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도덕인, 소질과 재능을 갈고 닦아 밝은 꿈을 키우는 창조인, 주체 의식을 가지고 자율과 책임으로 자아를 실현하는 자주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정서적인 건강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2004년 1월 16일 상현중학교 설립 인가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교육지표는 기본을 갖추어 더불어 살아가는 문화시민 육성이며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며 스스로 배우는 어린이(창의지성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소질과 적성을 키우는 어린이(감성인) 육성이다. 상현동 일원에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설립된 학교로 2000년 3월 7일 20학급으로 개...
-
「상호저축은행법」에 의거하여 설립·운용되는 경기도 용인 지역의 금융 기관. 1972년 8월 3일 설립된 서민 금융 기관으로 본래의 명칭은 상호신용금고였으나 2001년 ‘상호신용금고법’이 ‘상호저축은행법(법률 제6429호)’으로 개정된 후, 2002년 3월 1일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로는 수신 업무, 여신 업무, 부대 업무가 있다. 수신 업무로는 예금과 부금·적금...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위치한 현대가옥. 1970년대 박정희 전대통령이 설계하여 지은 새마을 운동 시범주택으로 현재는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부속 기흥농장 안에 있다. 최근 주택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건물 앞부분을 늘린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새마을 주택1호는 1971년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지도자들과 진솔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시범 농장을 개설...
-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하여 설립·운영되는 경기도 용인 지역의 협동 조합. 새마을금고는 1963년 경상남도 지역에서 재건국민운동의 향토 개발 사업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태동되었다. 당시 마을금고운동은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으며, 명칭도 금고가 아닌 신용조합이었다. 그러나 마을금고는 1973년 3월 마을금고연합회가 창립되어 법인화하고, 1982년 말 제정·공포된 「새마을금고...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위치한 현대가옥. 1970년대 박정희 전대통령이 설계하여 지은 새마을 운동 시범주택으로 현재는 재단법인 국제농업개발원 부속 기흥농장 안에 있다. 최근 주택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건물 앞부분을 늘린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새마을 주택1호는 1971년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 지도자들과 진솔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시범 농장을 개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경기지부 소속의 지회.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실천 원리로 하여 새마을운동 사업의 성격과 방향을 나라 살리기,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건설, 지속 가능한 환경 실현, 민족 통일 준비, 공생·공영의 세계화 운동에 맞추고 있다. 근면, 자조, 협동 이념을 바탕으로 농촌 잘살기 운동과 도시의 청결 운동을 펼쳐 도·농간의 불균형...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이재선 담임목사를 중심으로 행복한 교회, 사랑과 섬김을 실천하는 교회, 두 날개로 날아오르는 건강한 교회를 지향한다. 1970년 5월 3일에 김화석 목사와 12명이 모여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보정리 400번지에서 예배를 시작하였다. 2002년에 실로암교회와 새창교회가 통합됨에 따라 2002년 12월 15일에...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공동 우물의 정갈함과 무궁함을 빌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정제, 우물굿, 우물고사라고도 하는 샘굿은 수리 시설이 미흡할 때 음료수를 마을의 공동우물에만 의존해 온 사람들이 우물을 동신(洞神) 등 다른 신과 같이 신성시한 데서 유래한 의례이다. 가정에서 우물에 고사를 지내는 것도 샘굿과 무관하지 않은데, 정월 대보름에 행하는 샘물대기와 용알뜨기 등의 민속...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다른 사람 몸으로 환생한 사람 이야기.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용인의 대표적인 설화로 세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두 번째는 용인 남편이 죽자 진천사람에게 재혼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세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용인에 살다 죽은 유형이 그것이다. 『용인...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천주교 사회 복지 시설. 생명의 집은 천주교 수원교구 교구장이 인준한 미혼 임산부를 위한 사회 복지 시설이다. 생명의 집은 낙태를 줄이고 미혼모와 임산부들을 보호하며 출산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생명의 집에서는 낙태 위기에 있는 미혼 임산부들과 해산 여건이 마련되지 못한 여성들에게 복지 혜택을 주고, 출산 후의 아기는 본인의 의지에...
-
경기도 용인시에 분포되어 있는, 조상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제향을 행하는 장소. 지역에 따라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사당(祠堂) 등으로 불리는 사우(祠宇)는, 조상의 신주와 영정을 모셔 두고 연 수 차례에 걸쳐 제향을 행하는 장소이다. 보통 반가의 사우에서는 부모와 조부모, 증조, 고...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의 묘지석. 묘지석이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 묘의 위치와 좌향 등을 적어서 묘에 함께 묻은 판석(板石)을 말한다. 지석에는 주인공의 이름과 조상, 관직, 평생의 행적, 가족관계 등을 적어 후세에게 전하려는 것이다. 서거정선생묘지석은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 묘역이 도시계획으로 이전하면서 1975년 6월 13일 출토되었다. 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의 묘지석. 묘지석이란 죽은 사람의 인적사항, 묘의 위치와 좌향 등을 적어서 묘에 함께 묻은 판석(板石)을 말한다. 지석에는 주인공의 이름과 조상, 관직, 평생의 행적, 가족관계 등을 적어 후세에게 전하려는 것이다. 서거정선생묘지석은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 묘역이 도시계획으로 이전하면서 1975년 6월 13일 출토되었다. 이...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서광사는 비구계와 사미계를 받은 주지 남수명 승려가 1993년에 창건하였다. 사찰은 대웅전 삼존불, 극락전 아미타불, 전불과 삼성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전은 근래 완성되었고, 법당 왼쪽에 요사채와 산신각이 있다. 법당에는 석가모니불과 협시불로 지장보살,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있다. 주로 용인과 인접한 서울, 판교,...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성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서낭제, 또는 당고사(堂告祀)라고도 불리는 성황제는 한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신(서낭신)께 드리는 제사이다. 예부터 마을에 따라 공동으로 성황제를 지내는가 하면, 개인적으로 구복(救福)을 위해 지내기도 하였다. 용인 지역의 경우 마을 지명 가운데 서낭뎅이·서낭당고개·서낭나무·장승백이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는데, 이러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농서동과 서천동을 관할하는 행정동. 동의 이름은 서천동의 ‘서’자와 농서동의 ‘농’자를 각각 한자씩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기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농사리와 내서천리를 병합하여 농서리가 되어 기흥면에 편입되었다. 1985년 10월 1일 기흥면이 기흥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96년 3월 1일에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에 있는 서농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를 구성하고 있는 11개 행정동 중 서농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서농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기흥읍과 구성읍이 통합되어 기...
-
전통시대에 사족(士族)과 백성이 설립한 경기도 용인 지역의 사설 교육 기관. 서당은 민간 사설 교육기관으로 오늘날의 초중등교육을 담당하던 기관이다. 기원은 고구려의 경당(扃堂)에 있으며, 고려와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교육기관이다. 서당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가 증대된 것은 16세기 사림의 등장과 시기를 같이하는 것으로, 중종(中宗)대 사림파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하는 어린이,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책임질줄 아는 어린이,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82년 10월 4일 용인초등학교 학생 수가 늘어감에 따라 용인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역북동에 19학급(956명)으로 개교하였다. 1984년 2월 제1회 졸업식을 하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 속하는 법정리. 용인의 서쪽, 이동읍의 서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 화성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동(西洞)에서 유래되었다. 본래 용인현 상동촌면 서동 지역으로 마을이 서쪽에 있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반(上盤)·하반(下盤)·덕골·분당골·가무랑골을 합친 뒤 이동면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리(西里)라고 하였다. 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백자 가마 터. 서리 요지는 두 곳에 나뉘어 있는데, 이 곳은 서리 상반요지라고도 불리는 서리 요지2이다. 서리 요지1과 마찬가지로 고려백자 요지로 서리 고려백자 요지라고도 불린다. 서리 요지2는 좌우변과 위쪽에 산림이 우거져 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유적은 폭이 약 45m이고, 상하의 길이가 80여m에 달하는 큰 규모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백자 가마 터. 서리 요지는 두 곳에 나뉘어 있는데, 이 곳은 서리 상반요지라고도 불리는 서리 요지2이다. 서리 요지1과 마찬가지로 고려백자 요지로 서리 고려백자 요지라고도 불린다. 서리 요지2는 좌우변과 위쪽에 산림이 우거져 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유적은 폭이 약 45m이고, 상하의 길이가 80여m에 달하는 큰 규모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백자 가마 터. 서리 요지는 두 곳에 나뉘어 있는데, 이 곳은 서리 상반요지라고도 불리는 서리 요지2이다. 서리 요지1과 마찬가지로 고려백자 요지로 서리 고려백자 요지라고도 불린다. 서리 요지2는 좌우변과 위쪽에 산림이 우거져 있어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유적은 폭이 약 45m이고, 상하의 길이가 80여m에 달하는 큰 규모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가마 터.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는 서리 요지 두 곳 가운데 하나로, 서리 요지1로 불린다. 서리 중덕부락의 진입로 북편에 커다란 느티나무들이 서 있는 낮은 구릉이 있는데, 이 구릉이 바로 가마에 사용된 갑발더미이다. 1984년, 1987년, 1988년 3차례에 걸쳐 호암미술관에서 발굴조사하였다. 건물지와 가마유구, 퇴적층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하반 삼막골에 있었던 백제 석실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하반부락 중앙에 보호수로 관리되는 느티나무에서 서남쪽인 ‘부터골’ 방향으로 약 200m 진입하면 삼막골 입구가 나온다. 이 곳에서 북서쪽으로 개설된 삼막골 농로를 따라 약 200m 올라가면 농로가 갑자기 넓어지는 공터가 나타나는데 이 곳이 석실분 자리이다. 1986년 한양대학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하반 삼막골에 있었던 백제 석실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 하반부락 중앙에 보호수로 관리되는 느티나무에서 서남쪽인 ‘부터골’ 방향으로 약 200m 진입하면 삼막골 입구가 나온다. 이 곳에서 북서쪽으로 개설된 삼막골 농로를 따라 약 200m 올라가면 농로가 갑자기 넓어지는 공터가 나타나는데 이 곳이 석실분 자리이다. 1986년 한양대학교...
-
조선 후기 용인현령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평보(平甫), 호는 소고(嘯皐)·재간(在澗)·보졸재(保拙齋)·송현(松峴), 시호는 문익(文翼). 증조부는 남원부사 서정리(徐貞履), 조부는 병조참의 서문상(徐文尙), 아버지는 영의정 서종태(徐宗泰)이다. 어머니는 이헌의 딸이다. 아버지로부터 아들 서지수(徐志修)까지 3대가 대신을 지냈으며, 부인 또한 3대가 대신을 지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탑비.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용인의 불교문화 유적으로, 서봉사의 사지(寺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편이 발견되어 고려시대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봉사는 1185년(명종 15) 현오국사(玄悟國師) 종린(宗璘)의 비(碑)가 세워지면서 유명해졌다고 한다.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현오국사(玄悟國師...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고려시대 절터. 『태종실록』 7년(1407년) 12월 2일조에 따르면 용구(龍駒)[용인] 서봉사를 전국적인 자복사(資福寺)의 하나로 선정하고, 천태종 소속으로 삼았다 한다. 또한 조선 전기에 시행된 사찰의 혁파 대상에서 제외된 거찰(巨刹)로서, ‘명찰(名刹)’ 또는 ‘명당 터의 대가람’에 해당하는 절이었다. 그 후 1530년대의 『신증동국여지승...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소속 교회.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사회에 전파하며 사회에 봉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1년 11월 23일 용인읍 역북리 493번지에서 차추병 전도사를 중심으로 설립 예배가 있었다. 1983년 10월 27일에 용인읍 역북리 423-5호에 조립식 35평 교회를 건축하여 이전하였고 1990년 2월 28일에 역북리...
-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의 생산보다는 서비스 자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을 재화와 용역으로 구분하면, 재화 즉 유형의 물건을 만들어내는 산업은 제조업으로, 무형의 용역을 만들어내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클라크(C. G. Clark)가 산업을 3개 부문으로 나눈 산업 분류에 따를 경우 농림어업 등의 제1차 산업, 제조업...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에서 이동읍 묘봉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 45호선은 충청남도 서산에서 경기도 가평을 잇는 국도로 용인시 남북을 횡단한다. 서산~가평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광주시 경계인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독산마을이고, 종점은 안성시 경계인 이동읍 묘봉리 장률마을까지이다. 용인시 구간의 연장은 23.51㎞로 1999년 공사를 시작하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3리 상덕골에 있는 고려시대의 자기산포지. 용인대학교에서 서리로 넘어가는 도로를 따라가다 상덕골에 이르면 나타나는 남서쪽 밭에 있다. 사적 329호로 지정된 중덕마을 고려백자 가마 터와는 약 700m 거리에 있다. 199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 지표 조사에서 보고된 바 있는 유적이다. 1996년 조사에서 중덕 고려백자 가마 터의 발굴 층위 최상층에 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한국국제청년회의소 산하 용인 지역 지부. 국제청년회의소(JCI)의 이념을 실천하고,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여 지역민과 함께 조직의 발전과 지역 사회 개발에 동참하고 대외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4년 8월 27일 기흥청년회의소에서 서용인청년회의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청소년 문화 행사를 발굴·육성하여 지역에서 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공원 묘지. 1978년에 재단법인을 설립하였고, 1979년에 서울공원묘원으로 인가를 받았다. 이동읍 서리에 있으며, 학고개(하고개) 바로 남쪽에 있다. 서쪽으로는 부아산으로, 동쪽으로는 함박산으로 능선이 이어지며, 그 능선의 남서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묘지 개발 허가 지역은 149,205㎡(약 46,200평)이며, 2007년 현재 3,8...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골프장. 재일교포 윤익성이 고국에 자본을 투자하여 1990년 개장한 이후 회원제 18홀 72파, 퍼블릭 36홀 등 동일 법인이 한 장소에 총 54개 홀의 정규 시설 골프장을 구성한 동양 최대의 골프장이다. 1986년 8월 22일 서울국제관광개발(주)이라는 상호로 설립되었으며, 1987년 12월 29일 대중 골프장 36홀 사업을 승인받았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리에 있는 서울시립 정신 병원. 무의탁자 및 저소득층의 정신 질환자에 대한 전문화된 진료로 의료 보장 기능을 확보하고 시민의 의료 복지 증진 및 공공 의료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국민정신 보건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11월 서울시립백암정신병원을 준공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제1차 위·수탁 운영 계약을 체결하고, 건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에 있는 무의탁 부녀자들을 위한 천주교 사회복지 기관.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무의탁 부랑 부녀자들에게 최선의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웃 사랑 공동체이다. 부랑인의 인격을 존중함은 물론 이들 각자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장애별 질환별 특성별 욕구를 존중하며 차별 받지 않고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아스콘 제조업체. 아스팔트와 아스콘 전문 제작 업체로 국내 최초로 상온 유화 아스팔트 재생 공법을 개발하여 환경 친화적인 폐 아스콘 재활용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중소기업이다.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시험 무대인 21세기를 맞이하여 깨끗하고 환경 친화적인 도로 문화 환경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2년 도로 포장 공사 업체인 주식회...
-
조선 중기 이후 학문 연구와 선현 제향과 교육을 위하여 설립된 경기도 용인 지역의 사설 교육 기관. 우리나라의 서원은 1543년(중종 38)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향(安珦)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기 위하여 경상도 순흥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창건한 것이 그 효시이다. 조선의 서원은 성립 과정에서 중국의 영향을 받기는 하였으나 기능과 성격 등에서 큰 차이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튼튼한 몸과 마음을 지닌 건강한 사람, 지식 탐구의 노력을 통한 창조적인 사람, 서로 돕고 봉사하는 협동적인 사람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심(正心)’으로 ‘진실되고 아름답게, 어질고 성실하게’라는 뜻을 담고 있다. 서원고등학교는 2001년 12월 16일 15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고, 2002년 11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지성·성실·강건’이며, 꿈을 키워 주는 ACE(Active and Creative Elite)서원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교육목표는 질서를 존중하고 예절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인, 주인 의식을 가지고 공동체에 솔선하는 자주인, 소질을 개발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창조인, 건강한 신체와 심성이 조화로운 건강인을 기르는 것이...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로 도와가며 더불어 함께하는 어린이, 스스로 계획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행동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인근에 정암 조광조를 기리기 위한 심곡서원이 있어 서원초등학교라 이름하고 2001년 3월 2일 1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2년 2월 제1회 졸업식(46...
-
경기도 용인시에 있었던 시 동인 모임. 서정3세대는 해변동인에서 활동을 해 오던 임준규가 직접 운영하는 카페 동인에 「동인시선」이라는 제목의 시를 비치하면서 활동을 시작하였다. 1980년대의 시대적 아픔을 고민하며 시와 문학을 논하던 임준규, 박상돈, 장영옥, 이종대, 노영미, 김종경 등이 주축이 되어 결성되었다. 동인시집 『서정3세대』를 4권까지 발간하였다. 2012년 현재 모...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법정동. 서천동은 용인시 서쪽 끝에 있으며, 수원 및 화성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법정동인 농서동과 함께 행정동인 서농동에 속해 있다. 서그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서천(書川) 이전의 표기가 서근천(鋤斤川)인데, 187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 서근천은 서근내의 한자표기로, 서근내가 서그내가 되어 표기도 바뀐 것으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서천동 유물산포지는 모두 여섯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서천동 유물산포지1부터 서천동 유물산포지6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방도 343호선에서 외서천마을로 진입하여 소로를 따라 500m 정도 들어가면 소로가 급격히 꺾이는 지역에 소택지가 있는데, 서천동 유물산포지1은 이 소택지 서편의 구릉 일대이다. 서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전통문화를 존중하는 어린이, 질서를 존중하고 자율적이며 서로 돕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며 창조하는 어린이, 몸이 건강하며 환경을 깨끗이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서천리 인근에 경희대학교, 삼성반도체가 설립되면서 인구가 증가하자 서천리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학교로 2002년 5월 25일 6...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관지(貫之). 호는 서파(西坡). 영의정 오윤겸(吳允謙)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오달천(吳達天)이며 어머니는 한양조씨(漢陽趙氏) 도사(都事) 조간(趙幹)의 딸이고, 아들은 오수채(吳遂采)이다. 오도일(吳道一)[1645~1703]은 4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에게서 자랐다. 성강(星江) 조견소(趙見素)에게 글을 배웠으며, 어려서부터 글...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실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경(儆), 자는 계중(戒中), 호는 서파(西坡)·방편자(方便子)·남악(南嶽). 영의정 유순정(柳順汀)의 11세손이며, 아버지는 목천현감(木川縣監) 유한규(柳漢奎), 어머니는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師朱堂) 이씨이다. 영조 대에서 헌종 대까지 살았던 학자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여 『언문지(諺文志)...
-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오도일의 시문집. 조선 후기 숙종 때 대제학을 지낸 서파(西坡) 오도일(吳道一)[1645~1703]의 시문집으로 1729년(영조 5)에 간행되었다. 1729년(영조 5) 3월 아들인 오수채(吳遂采)에게 분무원종이 녹훈되어 오도일에게는 좌찬성이 추증되었는데, 본집의 총목(總目) 말미에 적힌 간기를 보면 곧이어 아들 오수엽(...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능(幼能)이며,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다. 증조부는 이계(李啓),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정구(李廷龜), 아버지는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이다. 외조부는 박동량(朴東亮), 부인은 이행원(李行遠)의 딸이다. 1649년(인조 27)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설서(說書)·대교(待敎)·교리(校理) 등을 거쳐 이조와 병...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문인화가. 본관은 함안. 자는 종보(宗甫), 호는 관아재(觀我齋) 또는 석계산인(石溪山人). 경기도 양지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조해(趙楷)이며, 형이 한성부우윤을 지낸 조영복(趙榮福)이다. 1713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천거로 등용되어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냈다. 1742년 선조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문집 『어계집(漁溪集...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석농(石儂), 자는 경집(敬集)이다. 유근은 1898년 5월 남궁억·나수연 등과 함께 『황성신문』을 창간하였으며, 1905년 11월에는 일제가 무력으로 고종과 대신들을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침탈하자 매국 관료를 통렬히 비판하고,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황제와 각부 대신들을 협박한 사실을 신문에...
-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한글로 편역하여 간행한 책. 『석보상절(釋譜詳節)』은 『석가보(釋迦譜)』, 『법화경(法華經)』, 『지장경(地藏經)』, 『아미타경(阿彌陀經)』, 『약사경(藥師經)』 등에서 석가의 일대기를 뽑아 한글로 엮은 책이다. 간행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釋譜詳節序)」가 세종 29년으로 되어 있고, 권9...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과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걸쳐 있는 산. 시의 진산으로 주 능선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북쪽으로는 작고개를 지나 보개산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멱조고개를 지나 동남쪽으로 부아산, 학고개, 함박산 등으로 이어진다. 산 북쪽 지하로는 마성터널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지나고, 산의 서쪽에는 동백택지개발지구로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다. 마성리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내지봉수(內地烽燧). 석성산 봉수는 동쪽으로 건지산 봉수(직선 거리 15.5㎞), 북쪽으로 천천산 봉수(18.75㎞)와 교신하였다. 용인 석성산 봉수터는 석축으로 규모는 둘레 65.7m, 높이 5m 가량이다. 상부는 평탄한 대지를 이룬다. 봉수대의 동쪽으로는 높이 2.5m 가량의 암반과 암반 사이에 크기 22×15㎝, 26×1...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축 산성. 보개산성은 경안천과 신갈천의 분수령을 이루는 보개산 정상부에 위치한 산성이다. 성내 시설물로는 성문과 건물지 등이 확인된다. 성문은 동문지, 남문지와 암문(暗門)의 성격을 가진 남벽 서측의 문지 등 세 곳이지만 원래는 이보다 더 많은 문 시설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성내에서는 주로 도기편과 자기편, 기와편 등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 시민 의식을 지니며 감정을 조절할 줄 아는 어린이, 창조적 능력을 키우는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도전, 배려이다. 석성초등학교는 2005년 12월 26일 석성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2월 4일 학교 건물이 준공되었고, 2006년...
-
조선 후기 용인 거주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석여(錫汝), 호는 연농(硏農)이다.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여 용인현 수여 남동에서 거주하였다. 집안은 가난하였지만 어버이를 봉양하는데 소홀함이 없이 항상 곁에서 모시고 입에 맞는 음식과 계절에 어울리는 옷을 준비하는 데 온갖 정성을 다하여 용인현에서 이름난 효자였다. 1859년(철종 10)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성...
-
1991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해곡동의 주민들이 수도권 유류비축기지 건설을 막기 위해 벌인 시민운동. 1970년대에 오일쇼크를 경험했던 정부는 고유가와 유류 소비량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유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한국석유공사는 1990년부터 택지가 아닌 공공 시설 설립이 가능한 경기도 용인시 호동과 해곡동 일원에 250만 배럴 규모의 석유...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 자는 백첨(伯瞻), 호는 석음와(惜陰窩). 호는 배우는 데 힘쓰고 시간을 아껴 매사에 부지런히 하라는 뜻으로 송시열이 지어주었다 한다. 고조부는 증직제학 병조정랑 이신충(李藎忠), 증조부는 증집의 정선군수 이영인(李榮仁), 조부는 증좌승지 이사익(李士益), 아버지는 증호조참판 이후망(李堠望)이다. 송시열과 동향으로 송시열의 자손들과 같이 가숙에서...
-
조선 후기의 문신. 윤행임(尹行恁)[1762~1801]은 시파(時派)의 중추적인 인물이다. 시파와 벽파(辟派)의 당쟁이 극심하였던 정조 대에 임금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탄핵 또한 빈번하여 자주 유배 생활을 하였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성보(聖甫), 호는 방시한재(方是閑齋)·석재(碩齋). 조부는 용안군(龍安君) 윤종주(尹宗柱)이며, 아버지는 익찬(翊贊) 윤염(尹琰), 형은...
-
고려 후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현풍. 호는 석천(石川). 시호는 문헌(文憲). 아버지는 밀직부사를 지낸 곽돈효(郭敦孝)이며, 어머니는 조운경(趙雲卿)의 딸이다. 곽원진은 문과에 급제하고 1306년(충렬왕 32) 총랑(摠郞)으로서 원 황제의 생일을 축하가기 위한 성절사로 파견되었다. 당시는 고려가 정치적으로 몽고의 간섭을 받던 시기였다. 여몽관계가 중요했던 시기에 곽원진은 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인시 처인구의 동남쪽 하단에 위치하며 안성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석천이라는 지명은 1914년에 생긴 이름으로, 황석리(黃石里)와 사천리(斜川里)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서 석천이 되었다. 석천리는 본래 준산군 근일이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인군으로 편입되어 황석리와 사천리, 그리고 옥천리의 일부를 합쳐 석천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 황덕마을회관에서 남쪽 산으로 이어지는 작은 길가에 자리하는데, 황새울 뒤산 북쪽 경사면에 해당한다. 작은 빗살무늬토기편 3점이 채집되었다. 토기 외면에 베풀어진 문양은 동일계 횡주어골문(橫走魚骨文)으로 단치구(單齒具)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문하였다. 토기의 태토는 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가마 터. 석천리 요지는 석천리 요지1·석천리 요지2·석천리 요지3·석천리 요지4의 모두 네 곳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석천리 요지1은 반계 유형원 묘소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묘소를 조성하면서 가마 터의 퇴적 일부가 노출되었고, 주변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석천리 요지2·석천리 요지3·석천리 요지4는 유형원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석천리 유물산포지는 두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각을 석천리 유물산포지1, 석천리 유물산포지2로 구분한다. 석천리 유물산포지1은 석천리 황새울골을 따라 난 작은 포장도로를 타고 계곡 안쪽으로 진입하다가, 황덕마을회관 앞의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반계 유형원(柳馨遠) 묘소 방향으로 250m 가량 들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 덕은마을에 있었던 일제강점기의 사립 초등 교육 기관. 교육을 통하여 민족정신을 일깨우고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정명근(鄭明根)은 일제강점기에 하와이 사탕수수 밭에서 일하고 돌아와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포천에 살고 있는 교사 유기헌을 자신의 사랑(舍廊)으로 초빙하여 신식 교육을 시작하였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고 창의적인 어린이, 배려하는 마음이 고운어린이, 운동을 즐겨하는 튼튼한 어린이. 2009년 석현초등학교 설립 인가 받았으며, 같은 해 5월 1일 초대 송해주 교장이 취임하였고, 6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같은 해 9월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4년 9월 1일 제2대 전흠하 교장이 취임하였고, 2016년 2월 16...
-
경기도 용인시에서 공무를 담임할 사람을 선출하는 행위. 선거는 정치 권력의 정통성 부여 기능, 국민의 이익 표출 및 집약 기능, 정치적 충원 기능을 한다. 정치 선거에는 대통령 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자치 단체장 및 지방자치 의회 선거가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16번에 걸친 대통령 선거와 17번의 국회의원 총선거가 있었으며, 5·16 이후 중단되었던 지방자치제가 부활하...
-
경기도 용인지역에 있는 길쭉한 자연석 혹은 일부를 손질하여 세워놓은 돌기둥. 돌을 세웠거나 서있다는 의미에서 선돌 이외에도 입석(立石, 笠石)·삿갓바위[笠岩]·입암(立岩)이라고 부르며 지역에 따라서는 구지바위·할머니탑·할아버지탑·수구막이·수살장군·돌장승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전사(戰士)라고도 한다. 큰돌문화[巨石文化]의 하나로 고인돌과 함께 널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 내동에 있는 선돌뱅이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5년에서 채록되어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되었다. 원삼면 내동 길 옆에는 선돌뱅이라고 불리는 바위 세 개가 있는데, 이곳은 본래 돈과 재산이 많은 부자가 살던 집터였다. 부잣집 주인은 수많은 하인을 거느리고 살면서도 늘 인색하여 어느 것 하나 마음대로 먹지 못하게 하였고,...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선명(善鳴). 문강공(文康公) 이석형(李石亨)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만상(李萬相), 어머니는 예조판서 오준(吳竣)의 딸이다. 부인은 전라감사 홍주삼(洪柱三)의 딸이며, 아들은 송벽당(松檗堂) 이정신(李正臣)이다. 경기도 용인에서 출생하여 1669년(현종 10) 진사시에 급제하였으며, 정릉참봉(貞陵參奉), 광흥봉사(...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선보(善甫). 아버지는 소문난 효자인 어진혁이다. 집안의 전통을 이어받아 『소학(小學)』을 학문의 근본으로 삼고 학업에 열중하였는데, 아버지가 병으로 6년 동안 고생하자 간병하는 일에 전심하여 과거도 보지 않았다. 마음은 물론 행동도 조심하면서 병구완에 힘썼지만, 마침내 상을 당하자 3년동안 시묘하면서 죽으로만 연명하는 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천주교 군종교구 소속 천주교회. 선봉성당은 선봉대성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유수일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와 98명의 군종 신부들로 구성된 군종교구에서 용인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육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특수 사목을 펼치는 성당이다. 현재 군종교구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을 7개의 지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는데, 선봉성당은 서울과 경기도를 망라하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군사령부. 1973년 7월 1일 육군본부 일반명령 제29호에 따라 제3야전군사령부가 창설됐다. 베트남이 공산화되고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증폭되던 1970년대 초반, 자주 국방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면서,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용인에 수도권과 중·서부 전선 등의 대한민국 핵심 지역을 방어하기 위하여 제3야전군사령부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천주교 군종교구 소속 천주교회. 선봉성당은 선봉대성당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유수일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신부와 98명의 군종 신부들로 구성된 군종교구에서 용인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육군 장병들을 대상으로 특수 사목을 펼치는 성당이다. 현재 군종교구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을 7개의 지구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는데, 선봉성당은 서울과 경기도를 망라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