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1750 |
---|---|
한자 | 水月觀音圖- |
영어음역 | Suwol Gwaneumdo |
영어의미역 | Portrait of the Buddist Goddess of Mercy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314-1[용구대로 1920]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정연학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5년 1월 2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수월관음도(2005) 보물 재지정 |
성격 | 불화 |
제작시기/일시 | 고려 후기 |
제작지역 | 미상 |
작가 | 미상 |
소장처 | 디 아모레 뮤지움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314-1[용구대로 1920]![]() |
소유자 | 디 아모레 뮤지움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디 아모레 뮤지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후기 불화.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2005)는 고려 후기인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화로, 크기는 가로 70.0㎝, 세로 215.0㎝이다. 조성 연대와 작가가 명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변색과 퇴색의 흔적이 보이고, 수리 및 덧그린 흔적이 엿보인다. 디 아모레 뮤지움이 2004년 6월에 일본의 마유야마사로부터 정식 절차를 밟아 구입하여 보관해 온 것으로, 2005년 1월 22일 보물 제142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환수한 해외 반출 문화재를 보물로 지정예고했다는 점에서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
수월관음도(2005)는 14세기에 그려진 고려시대 관세음보살도들과 비교해 보면, 마치 한 본을 사용하기라도 한 듯 구도와 인물의 형태가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 불화의 특징적인 화사한 색채와 세련되고 우아한 선을 구사한 인물 묘사 등 세부 묘사에서도 서로 유사한 점이 엿보여 예술성 높은 동일 시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수월관음도(2005)는 화면 구성이 충실하며, 표현 기법 역시 고려 불화의 전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는 제대로 된 고려시대 「수월관음도」가 두세 점에 불과하다는 자료의 희소성과, 나아가 이미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두 점의 「수월관음도」와 비교해도 질적인 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자료적 가치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