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2327 |
---|---|
한자 | 新世界韓國商業史博物館 |
영어음역 | Sinsegye Hanguk Sangeopsa Bangmulgwan |
영어의미역 | The Museum of Korean Commercial History, Shinsegae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 산 43[화곡로 7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운용 |
성격 | 박물관 |
---|---|
설립연도/일시 | 1995년 5월 31일![]() |
설립자 | 신세계백화점 |
전화 | 031-339-1204 |
홈페이지 | 신세계한국상업사박물관(http://www.shinsegae.com/museum/index.jsp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에 있는 유통산업사 박물관.
1995년 5월 31일 신세계백화점이 상업 유물의 보존 및 수집, 상업사의 체계적인 정리를 통하여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백화점의 역사 및 유통업의 미래와 전망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한국 상업사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며 보존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울러 신세계백화점의 역사를 정리하면서 한국 유통산업의 역사를 정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유물을 전시할 뿐만 아니라, 입체적이고 동적인 다양한 전시 매체를 활용하여 관람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단체 관람객에게는 박물관에 대한 안내를 해주고 있다. 관람하는 어린이들[초, 중고생]을 위하여 학습지를 나누어 주고 현장체험학습을 하도록 한다. 2011년 1월 연수원 리모델링에 따라 휴관하였으며, 2012년 7월말 현재 박물관을 서울로 이전하거나, 폐관을 고려중이어서 박물관을 관람할 수 없다.
전시실은 총 2층으로 되어 있으며, 1층[826m²] 한국상업사실과 2층[826m²] 유통산업사실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상업사실은 고대사회에서 일제시대까지의 상업 발달을 시장의 기원, 고대[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중세[고려 및 조선전기], 근대로 시대를 구분하여 전시하고 있다.
이 중 근대는 자본주의 발전 단계에 따른 시대 구분을 더하여 근대 자본주의의 태동[조선후기], 근대 자본주의의 성립[개항기], 근대 자본주의의 전개[일제기] 등으로 공간을 배치하였다. 이 외에 각 시대별 화폐, 돈궤, 도량형, 운반 수단, 장부 및 산술서, 교통수단 등 상거래 용품을 주제별로 전시하고 있다.
유통산업사실은 해방 이후의 유통산업과 신세계백화점의 기업 발전사를 전시하여 열악한 유통산업 구조개선 및 업태 개발, 백화점 본연의 기능, 유통업의 미래 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