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에 속하는 법정군. 부여군(扶餘郡)은 동쪽에 논산, 서쪽에 서천과 보령, 남쪽은 금강, 북쪽은 공주, 청양과 경계를 마주하고 있다. 행정 구역은 1읍, 15면, 437개 행정리[191개 법정리]가 있다. 부여군청은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다....
부여읍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읍. 부여읍(扶餘邑)의 ‘부여(扶餘)’는 소부리 혹은 사비(泗沘)라고 불리었는데, ‘부리’는 우리 말로 ‘밝다’, ‘붉다’는 뜻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삼리(松三里)의 송(松) 자와 대곡리(垈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송곡리(松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수락리(上水落里)의 상 자와 금암리(錦岩里)의 금 자를 따서 상금리(上錦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염창리(鹽倉里)는 백제 시대에 의염창(義鹽倉)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정동리(井洞里)의 ‘정동(井洞)’은 조선 시대 부여군 몽도면 지역에 큰 샘이 있어서 불려진 지명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과 함께 법정리 지명이 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석교리(石橋里)의 석(石) 자와 진목리(眞木里)의 목(木) 자를 따서 석목리(石木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용전리(龍田里)의 용 자와 석정리(石井里)의 정 자를 따서 용정리(龍井里)라 하였다고 한다. 용전[용밭]에는 소정방이 조룡대(釣龍臺)에서 용을 낚아 채서 떨어져 썩어 밭이 되었다고 하는 전설이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증리(佳增里)’ 명칭은 조선 후기부터 불린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지리지인 『여지도서(輿地圖書)』, 『호구총수(戶口總數)』 등에 몽도면 소속으로 한자를 달리하여 가증리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증리는 부여군 몽도면의 동남쪽으로부터 가증리의 중심을 지나 서남쪽으로 흘러서 금강으로 합류하는 냇물인 가징개 옆에 있기 때문에 ‘가징개’...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동산리(東山里)의 동 자와 남산(南山)의 남 자를 따서 동남리(東南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관청이 있었던 지역이므로 구아리(舊衙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관북리의 지명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시대 관아가 있었던 지역의 북쪽이기 때문에 ‘관북리’로 불리게 된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쌍구리(雙九里)의 쌍 자와 북포리(北浦里)의 북 자를 따서 쌍북리(雙北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옛날에 부여향교가 있던 곳이라 하여 구교리(舊校里)라 하였다. 구교리는 백제 시대 빙고(氷庫)와 구드래나루터가 있던 곳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가속리(佳束里)의 가 자와 탑리(塔里)의 탑 자를 따서 가탑리(佳塔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중리(中里)의 중 자와 구정리(九井里)의 정 자를 따서 중정리(中井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능산리(陵山里)는 백제의 왕릉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지명이다. 능뫼, 능메, 능미 또는 능산이라고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주장산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자왕리(自旺里)라 하였다고 전한다. 다른 한편, 나당 연합군이 사비성을 침략하였을 때 의자왕(義慈王)이 주장산(珠藏山)을 넘어서 도망갔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주자왕리(走自王里)라고 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저석리(楮石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저채리(楮采里)의 저 자와 석탄리(石灘里)의 석 자를 따서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대리(新垈里)의 신 자와 정곡리(正谷里)의 정 자를 따서 신정리(新正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정리(松亭里)의 송 자와 중간리(中間里)의 간 자를 따서 송간리(松間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백제 때는 주로 군사 주둔지여서 지역적으로 번창하였지만, 백제 멸망 당시 나당 연합군에 의하여 황폐화되었다가 조선 시대 촌락이 다시 형성되었다. 백제 때 군사들이 주둔하던 곳이라 하여 군수들(軍守들) 혹은 군수평(軍守坪)이라 부른 데서 군수리(軍守里)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백제 때 여성들이 찬란한 옷차림으로 해당 지역을 왕래하였다 하여 꽃...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왕포리(旺浦里)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대왕리(大旺里)의 왕(旺) 자와 구포리(九浦里)의 포(浦) 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현북리(縣北里)라 하였다. 석성현의 북쪽에 있기 때문에 ‘현북’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규암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규암면(窺岩面)은 조선 시대 천을면(淺乙面)으로 불리었다. ‘규암(窺岩)’이라는 지명은 조선 말 부여군 천을면 지역에 있던 바위를 ‘엿바위’ 또는 ‘규암’이라 부르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또한 엿바위의 명칭은 과거 바위 뒤에서 망을 보던 병사가 당나라의 소정방이 침공하고 있다는 소식을 사비성에 알린 일로 인하여 붙여진 것이라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모양이 소반처럼 생긴 산이 있다 하여 소반뫼 또는 반산이라 부른 데서 반산리(盤山里)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나복리(羅福里) 지역의 지형이 소라가 엎드린 형국이라 하여 나복(羅福)이라 한 데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띠가 많이 나 띠울 또는 모동(茅減)이라고 한 데서 모리(茅里)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함양리(咸陽里)는 하루 종일 햇빛이 내리는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호암리(虎岩里)는 뒷산의 범바위를 부르던 것에서 ‘호암(虎岩)’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 마을에 있는 우물을 마을 전체가 사용하였다 하여 한우물, 합우물 또는 합정(合井)이라 부른 것에서 합정리(合井里)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성리(新城里)라는 지명은 자연 마을 가운데 하나인 신대(新垈)의 신 자와 성산(城山)의 성 자를 따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 ‘신대[새터]’는 새로 생긴 마을을 뜻하며, ‘성산[성재]’은 증산성 아래에 있는 마을을 뜻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금암리(金岩里)라는 지명은 자연 마을인 금사(金沙)와 돌고개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금사는 마을 밖에 금모래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돌고개는 돌이 많은 고개인 돌고개 아래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리(新里)라는 지명은 조선 후기에 마을이 새로 생겼다고 하여 새말, 신촌(新村)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오곡리(午谷里)의 오(午) 자와 수원리(水原里)의 수(水) 자를 따서 오수리(午水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마강[금강] 나루터를 의미하는 나룻가 또는 진변이라 불린 데서 진변리(津邊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규암리(窺岩里)는 천을면(淺乙面)에 속하였다. ‘규암(窺岩)’이라는 지명은 천을면 지역에 엿바위라는 바위가 있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이 내리에 있는 여울의 바깥쪽에 있다고 한 데서 외리(外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리(內里)라는 지명은 여울 안쪽에 마을이 자리하고 있는 데서 유래된 것이라고 하며, 속뜸 또는 속말이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동리(松東里), 송서리(松西里)가 합쳐졌다는 의미에서 합송리(合松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갈고랑이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갈고, 갈구지 또는 노화(蘆花)라고 불린 데서 노화리(蘆花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수천리(秀川里)의 수 자와 시목리(柿木里)의 목 자를 따서 수목리(秀木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모퉁이에 돌이 많이 있다고 하여 돌모루 혹은 석우동(石隅洞)라 부른 데서 석우리(石隅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여두리(扶餘頭里)라는 지명은 조선 말 천을면(淺乙面)에 속하여 부여, 홍산, 임천 세 지역의 경계가 되었을 때, 부여로 가는 입구가 된다고 하여 ‘부여머리’ 또는 ‘부여두리’라 불린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은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은산면(恩山面)은 조선 시대 이인도찰방에 딸린 은산역(恩山驛)이 있다 하여 ‘은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대리(新垈里)와 대은리(大恩里)의 이름을 따서 신대리(新大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하홍리(下洪里)의 홍(洪) 자와 검산리(檢山里)의 산(山)를 따서 홍산리(洪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리울, 삼괴정(三槐亭) 등으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오리리(午利里)의 오(午) 자와 번포리(番浦里)의 번(番) 자를 따서 오번리(五番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은산리(恩山里)는 이인도찰방에 딸린 은산역(恩山驛)이 있다 하여 은산 혹은 은산역말이라 하였다. 산속에 숨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은산(隱山)이라고도 불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에는 전나무가 많이 있다 하여 전나무골이라 불리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회곡리(檜谷里)로 명명되었다. 자연 마을 양지뜸은 마을의 동쪽으로 있어 제일 먼저 해가 뜨고, 양지 바른 곳에 마을이 있어서 ‘양지뜸’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양지뜸은 순흥 안씨, 전주 이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세가 햇빛을 잘 받아들이는 형국이라 하여 대양리(大陽里) 또는 댕이라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조선 시대에 대관(大官)이 많고 이들이 한양(漢陽)에 가 있는 양반촌이기 때문에 대관의 대 자와 한양의 양 자를 따서 대양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나마리(羅霉里)의 나(羅) 자와 조령리(鳥嶺里)의 령(嶺) 자를 따서 나령리(羅嶺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대가리(大佳里)의 가(佳) 자와 내중리(內中里)의 중(中) 자를 따서 가중리(佳中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외경리(外敬里)의 경(敬) 자와 상둔리(上屯里)의 둔(屯) 자를 따서 경둔리(敬屯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숭각리(崇角里)의 각(角) 자와 대대리(大垈里)의 대(垈) 자를 따서 각대리(角垈里)라 명명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거리(三巨里)의 거(巨) 자와 저전리(楮田里)의 전(田) 자를 따서 거전리(巨田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용머리 혹은 용두(龍頭)라 한 데서 용두리(龍頭里)가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대리(內垈里)의 내(內) 자와 지경리(地境里)의 지(地) 자를 따서 내지리(內地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수양리(內首陽里)와 외수양리(外首陽里)를 합친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합수리(合首里)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강리(琴江里)의 금(琴) 자와 공동(公洞)의 공(公) 자를 따서 금공리(琴公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옥가곡리(玉佳谷里)과 중리(中里)를 병합하면서 가곡리(佳谷里)라 명명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장좌리(長佐里)의 장(長) 자와 벌리(伐里)의 벌(伐) 자를 따서 장벌리(長伐里)라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별다른 유래는 없으나 지세가 길고 계곡 등이 길어 ‘장벌리’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잇다....
외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산의 바깥쪽에 있다 하여 외산면(外山面)이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인근에 3개의 산이 있어 삼산리(三山里)라 불리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하비리(下飛里)의 비(飛) 자와 주암리(舟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비암리(飛岩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지단리(芝丹里)의 지(芝) 자와 장선리(長仙里)의 선(仙) 자를 합쳐 지선리(芝仙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문상리(文祥里)의 문(文) 자와 구신리(九新里)의 신(新) 자를 따서 문신리(文臣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에 나무가 많아서 나무를 이용하여 나무바가지[가리박]을 가공하여 파는 집이 많아서 가점골 또는 가리정골로 불리었고, 이어 가덕이라 불린 데서 가덕리(佳德里)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널판으로 놓은 다리가 있다 하여 판교(板橋)라 부르다가 반교라고도 부른 데서 유래하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반교리(盤橋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꾀깔봉이라 불리는 산 아래에 마을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괴까리 혹은 고갈, 갈산이라 불렸던 것에서 갈산리(葛山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위 고개의 지형이 노루목처럼 생긴 노루목고개가 있으므로 노루모기 또는 장항(獐項)이라 불리게 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수리(上水里)의 수(水) 자와, 상신리(上新里)의 신(新) 자를 따서 수신리(水新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만수산(萬壽山)의 이름을 따서 만수리(萬壽里)라 하였다. 만수산은 전설에 의하면 어느 승려가 홍산과 남포 사이에 만인이 살 곳이라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복이 많은 사람들이 정착해서 기름진 땅을 일구어 넉넉한 생활을 다졌다는 의미에서 복덕골 또는 복덕동(福德洞)이라 한 데서 복덕리(福德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암리(花岩里)의 화(花) 자와 신성리(新城里)의 성(城) 자를 따서 화성리(花城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장리(前場里)는 북쪽에 넓은 들판이 있어서 ‘전장’이라 불렸다는 설과 산 아래 넓은 들판 위에 마을이 있기 때문에 ‘전장’이라 불렸다는 설이 있다. 또한 『한국지명총람』과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조선 시대에 이곳에서 여러 차례 전쟁이 치러졌기 때문에 ‘전장(戰場)’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내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성주산, 만수산, 아미산, 월명산의 안쪽에 있다고 하여 산내면(山內面)이라 불리었다가, 중간에 외산내면(外山內面)과 내산내면(內山內面)으로 바뀌어 불린 데서 내산면(內山面)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서운리(棲雲里)의 운(雲) 자와 안치리(鞍峙里)[안티]의 치(峙) 자를 따서 운치리(雲峙里)라 하였다고 한다. 운티, 운티리라고도 부른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천보리(天寶里)라는 지명은 천보산(天寶山)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천보산은 현 서쪽 2리에 있는 진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가뭄 때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린다고 하여 ‘천보산’이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저동리(苧洞里)가 되었다고 한다. 저동리는 저동, 미암, 지우 세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저동마을은 처음에 모시밭이 넓게 형성되어 ‘모시울’이라 불리었다가, 후에 ‘저동’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미암마을은 뒷산 바위에서 부처님께 봉양할 쌀이 나왔다는 쌀바위 전설에 따라 ‘미암’이라 불리었다고 한다. 지우마을은...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온수리(溫首里)의 온 자와 해치리(蟹峙里)의 해 자를 따서 온해리(溫蟹里)라 하였다고 한다. 온수마을은 본래 병자호란 때 척화신으로 잡혀 화를 당한 윤집의 옷을 말이 물고 와 윤집의 옷을 마을 북쪽 산에 묻었다 하여 ‘옷말’이라 불리다가, 그 후 마을이 마을 부근 온수가 나오는 샘의 머리 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티리(芝峙里)는 『전국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지티[지치], 산소말, 괴목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부락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한편 지티는 외산면 경계인 지티고개 아래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인데, 지금으로부터 약 200여 년 전 어떤 도사가 지나다가 보고 선인채지형(仙人採芝形)이라 한 때부...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암리(珠岩里)라는 지명은 바위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마을의 축융봉 7부 능선에 ‘또드락’이라 불리는 바위가 있는데, 아래쪽 바위가 위를 받치고 있고, 위쪽에는 두 개의 둥근 바위가 포개어져 있는 모양이다. 바위 틈으로 두 사람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바위 틈에 들어가 평평한 바닥 바위를 두드리면 경쾌한 소리가 나는데,...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삼밭이 많이 있다고 하여 삼바실 또는 마전곡(麻田谷)이라 불린 데서 마전리(麻田里)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금지사(金池寺)라는 절이 있어서 금지리(金池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에 행인의 편의를 돌봐 주는 묘원(妙院)이 있다고 하여 묘원골 또는 묘원동, 원골[院谷] 또는 면동(面洞)이라 불린 데서 묘원리(妙院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율치리(栗峙里)[율티]의 율 자와 용암리(龍岩里)의 암 자를 따서 율암리(栗岩里)라 하였다고 한다. 율치마을은 마을을 둘러싼 뒷산에 밤나무가 많다 하여 밤고개라 불리어 ‘율치’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용암마을은 마을 뒷산의 서쪽에 있는 바위 밑에 용이 살았다고 하여 ‘용암’이 되었다고 한다....
구룡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구룡면(九龍面)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구룡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구룡’ 명칭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아홉 마리의 용·용못에서 유래하였다는 전설이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봉리(九鳳里)의 가장 큰 산인 봉황산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뒤에 봉황산이 있는데 산의 모양이 구(九) 자와 같아서 ‘구봉리’라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죽절리(竹節里)는 봉황(鳳凰)은 영조(靈鳥)로 죽실대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고, 벽오동(碧梧桐)이 아니면 깃들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지형이 대나무 마디와 같이 띄엄띄엄 있어서 ‘죽절리’라 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배매리의 주(舟)와 망정리(望亭里)의 정(亭) 자를 따서 주정리(舟亭里)라 하였다고 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마을의 모습이 배를 매 놓고 쉬어 있는 형국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태양리(太陽里)라는 지명은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마을의 가운데가 태양의 혈이 쏟아지는 ‘태양낙지(太陽落地)’의 형국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하였으며, 일력(日歷) 또는 장승백이라고도 불린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제 시대 홍산과 부여를 왕래하는 길을 논티라고 하였다고 전한다. 논티고개 밑에 있는 지역이라고 하여 논티리(論峙里)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혹은 금양의 서쪽 마을이라 하여 금서리(金西里)라고도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금동리(金東里)의 금(金) 자와 대사동(大寺里)의 사(寺) 자를 따서 금사리(金寺里)가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중앙부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현암리(玄岩里)라는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죽리(松竹里)의 죽(竹) 자와 석교리(石橋里)의 교(橋) 자를 따서 죽교리(竹橋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동촌(東村)의 동(東) 자와 방계리(芳溪里)의 방(芳) 자를 따서 동방리(東芳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구룡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에 용못(龍池)이 있고, 용못 옆에 할미당이 있다 하여 용당이 혹은 고당(姑堂)이라 하였는데, 용당이에서 용당리(龍塘里)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
홍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조선 시대 홍산군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조선 시대의 지명을 따라 홍산면(鴻山面)이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토동(土洞)의 토(土) 자와 정동(亭洞)의 정(亭) 자를 따서 토정리(土亭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정리(上井里)의 정(井) 자와 가동(加洞)의 동(洞) 자를 따서 정동리(井洞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홍산군청(鴻山郡廳)의 북쪽이 되므로 북촌(北村)이라 한 데서 북촌리(北村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 홍산군청 남쪽에 있어서 남촌이라 한 데서 남촌리(南村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비홍산(飛鴻山)의 홍(鴻) 자와 안량리(安良里)의 양(良) 자를 따서 홍양리(鴻良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좌촌(坐村)의 좌(坐) 자와 홍양리(鴻陽里)의 홍(鴻) 자를 따서 좌홍리(坐鴻里)라 하였다. 2003년 편찬된 『부여군지』에 따르면, 기러기가 많이 내려앉는 절경을 예찬하면서 ‘좌홍리’ 명칭이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교촌(校村)의 교(校) 자와 서원(書院)의 원(院) 자를 따서 교원리(校院里)라 칭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 기록에 따르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마을에 있는 새재라고 하는 고개의 이름을 따서 조현리(鳥峴里)라 칭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노리(上老里)의 상(上) 자와 와천리(瓦川里)의 천(川) 자를 따서 상천리(上川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무량리(務良里)의 무(務) 자와 선정리(仙亭里)의 정(亭) 자를 따서 무정리(務亭里)라 하였다....
옥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옥녀봉(玉女峰)의 이름을 따서 옥산면(玉山面)이라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서북쪽에 있는 산의 봉우리인 옥녀봉(玉女峰)의 옥(玉) 자와 산이 많다 하여 산(山) 자를 따서 ‘옥산’이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립리(上笠里)의 상(上) 자와 신기리(新基里)의 기(基) 자를 따서 상기리(上基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이 많이 날아드는 고개가 있어 학산리(鶴山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비홍리(飛鴻里)의 홍(鴻) 자와 용연리(龍淵里)의 연(淵) 자를 따서 홍연리(鴻淵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시루 모양의 바위가 있다 하여 시루바위, 혹은 증암(甑岩)이라 하였으며, 이후 이름이 수암(秀岩)으로 바뀐 데서 수암리(秀岩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봉곡리(鳳谷里)의 봉(鳳) 자와 당산리(堂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봉산리(鳳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방중리(防中里)의 중(中) 자와 양암리(陽岩里)의 양(陽) 자를 따서 중양리(中陽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안리(新安里)는 신기리(新基里)의 신(新) 자와 안곡리(雁谷里)의 안(雁) 자를 따서 ‘신안(新雁)’이라 하였다가 ‘신안(新安)’으로 바뀌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대마동(大馬洞)의 대(大) 자와 부덕리(富德里)의 덕(德) 자를 따서 대덕리(大德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안서리(安西里)는 안곡(雁谷)의 서쪽이라 하여 안서(雁西)라고 부르다가, 1914년 이후 안서(安西)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동(內洞)의 내 자와 차대리(車垈里)의 대 자를 따서 내대리(內垈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갈대가 엄청 무성하고 황폐한 지역이어서 갈때기 또는 가덕이라 부른 데서 가덕리(加德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남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홍산군의 남쪽이라 하여 남면(南面)이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이 날아들고 송림이 유명하여 송학리(松鶴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역에 큰 우물이 있다고 하여 마정(馬井) 또는 말우물이라고 부른 데서 마정리(馬井里)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송곡리(松谷里)의 송(松) 자와 호암리(虎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송암리(松岩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선리(大船里)는 마을에 배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고 하여 대선(大船)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 하며, 배아구, 바이아위 또는 바야위라고도 불리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1913년 토지 조사 당시 회동, 유곡, 회서를 병합하면서 회동리(檜洞里)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동리(內東里)의 내(內) 자와 진곡리(眞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내곡리(內谷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기리(新基里)의 신(新) 자와 조선 시대 행정 구역인 홍산군(鴻山郡)의 산(山) 자를 합하여 신홍리(新鴻里)라 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마을 앞에 흐르는 하천의 이름인 금천을 따서 금천리(金川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삼천리(三川里)의 삼(三) 자와 용성리(龍城里)의 용(龍) 자를 따서 삼용리(三龍里)라 하였다고 한다. 삼천리는 냇물이 세 갈래로 흘러 들어오다가 마을 앞에서 한데 합쳐 흐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용성리는 마을의 지형이 용이 꿈틀대며 틀어올린 형태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충화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팔충면(八忠面)의 충(忠) 자와 가화면(可化面)의 화(化) 자를 따서 충화면(忠化面)이 되었다. 팔충면은 백제 시대 성충·계백 등 8명의 충신들이 출생한 곳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하천리(下天里)의 천(天) 자와 당동리(堂洞里)의 당(堂) 자를 따서 천당리(天堂里)라 하였다고 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마을의 서남쪽에 있는 천등산(天燈山)의 천(天) 자와 북쪽에 있는 당골[堂谷]의 당(堂) 자를 따서 천당리라 하였다고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복심리(福深里)의 복(福) 자와 상금리(上金里)의 금(金) 자를 따서 복금리(福金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덕리(五德里)는 마을에 있는 오덕사(五德寺)라는 절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오덕사의 유래는 절이 있는 금계산(金鷄山)과 연관이 있는데, 금계(金鷄)는 다섯 가지 덕을 가지고 있는 동물로 알려져 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 기록에 따르면, 마을 뒤에 있는 산에 선인취하(仙人醉下)형의 명당이 있으며, 마을의 모습이 잠든 선인의 눈썹 같다 하여 선미(仙眉)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현미리(玄眉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마을 앞에 아름다운 산이 외따로 서 있으므로 선미 또는 현미라 하였다고...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상지석리(上支石里)와 하지석리(下支石里)를 병합함에 따라 지석리(支石里)라 하였다. ‘지석’이라는 명칭은 마을에 있는 고인돌, 즉 백제 삼충신이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사비성으로 갈 때 바위를 하나씩 가지고 와서 충성을 맹세하였다고 전하는 표충암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지명총람』에는 고인돌이 있기 때문이라 되...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가화면사무소가 있었던 곳이라서 가화리(可化里)라 하였다. 가화면은 갈화면(乫化面)이라고도 불리었는데, ‘갈화면’의 명칭 유래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 기록에 따르면 ‘팔충’이란 백제 말의 여덟 충신이 팔충리(八忠里) 출신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팔충신이란 성충(成忠), 흥수(興首), 계백(階伯), 복신(福信), 도침(道琛) 등을 말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지리(晩智里)에는 처음 문화 유씨(文化 柳氏)가 정착하였으며, 이후 영월 신씨(寧越 辛氏)가 정착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풍류를 즐기는 선비들이 정착하는 곳이라 하여 만지울 또는 만지동(晩智洞)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등리(靑燈里)의 청(靑) 자와 시남리(時南里)의 남(南) 자를 따서 청남리(靑南里)라 하였다....
양화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적량면(積良面)의 양(良) 자와 홍화면(洪化面)의 화(化) 자를 따서 양화면(良花面)이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소나무가 많은 지역에 정자가 많다 하여 소정이 또는 송정(松亭)이라 한 데서 송정리(松亭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내항리(內項里)의 내(內) 자와 검성리(檢城里)의 성(城) 자를 따서 내성리(內城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삿갓의 모양과 유사하기 때문에 갓개, 관포, 혹은 입포라 부르던 데서 입포리(笠浦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오송리(五松里)의 오(五) 자와 적량리(赤良里)의 량(良) 자를 따서 오량리(五良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람들이 소원을 비는 원당(願堂)이 있어서 원당(元堂) 혹은 원댕이라 부른 데서 원당리(元堂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원앙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족다리가 있어 족다리 또는 족교라 불린 데서 족교리(足橋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는 발로 냇물을 건너 다리 행세를 하였다 하여 발다리라고 부르던 것에서 ‘족교리’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유래가 마을에 전하고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많은 배들이 기항하던 상지포라는 포구가 있었기 때문에 상촌이라 불린 데서 상촌리(上村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견암리(犬岩里)의 암 자와 목수리(木樹里)의 수 자를 따서 암수리(岩樹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초동리(草洞里)의 초(草) 자와 왕동리(旺洞里)의 왕(旺) 자를 따서 초왕리(草旺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벽절(碧節)’의 벽 자와 ‘덕용골’의 용 자를 따서 벽용리(碧龍里)라고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벽룡심수(碧龍尋水)’의 명당이 있다 하여 벽용리로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물이 풍부하게 좋은 마을이라 수원골 또는 수원곡(水原谷)이라 한 데서 수원리(水原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에 속하는 법정리. 뒷산이 시루처럼 생겼다 하여 시루, 금강 가가 된다 하여 시름개라 하였고 다시 시음(時音)이라 변한 데서 시음리(時音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임천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북부에 산지가 형성되고 있고, 남쪽에는 금강의 분류에 접하여 있기 때문에 물이 좋고 산림이 아름다워 임천(林川)이라고 부른 데서 임천면(林川面)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말에 임천군청의 소재지였기 때문에 임천읍내, 이어읍내 또는 군사라 부른 데서 군사리(郡司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가라리(加羅里)의 가(加) 자와 검신리(檢神里)의 신(神) 자를 따서 가신리(加神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임천향교가 있었으므로 향교골 또는 구교(舊校)라 한 데서 구교리(舊校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가운데 낮은 일곱 봉우리의 산이 있어서 칠산리(七山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비동리(飛洞里) 비(飛) 자와 송정리(松亭里)의 정(亭) 자를 따서 비정리(飛亭里)라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뒷산인 비료산의 비 자와 마을 안에 있는 정자인 송정의 송자를 따서 비정리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발산리(鉢山里)는 옛날에 바랏나무가 무성하였다 하여 바랏 또는 발산이라 하였다고 전하기도 하고, 마을의 지형이 바라와 같다고 하여 발전(鉢田), 발산(鉢山)이라 하였다는 설도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만우리(萬隅里)의 만(萬) 자와 사산리(社山里)의 사(社) 자를 따서 만사리(萬社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에 옹기점이 있어서 점골, 점굴, 점동이라고 불린 데서 점리(店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 냇물이 합쳐지는 곳이라 하여 도모곡 또는 두모골(豆毛골), 두므곡, 두곡(豆谷)이라 한 데서 두곡리(豆谷里)가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탑리(塔里)의 탑(塔) 자와 달산리(達山里)의 산(山)를 따서 탑산리(塔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 옥(玉)이 나왔다 하여 옥실 혹은 옥곡(玉谷)이라 한 데서 옥곡리(玉谷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장암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장암(場岩)’은 마당바위라는 뜻으로, 정암리 백마강 변의 마당처럼 넓은 바위에서 장암면(場岩面)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점말 위쪽이기 때문에 윗점말 또는 상점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어 점상리(店上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일대의 산과 들의 흙빛이 모두 누렇다 하여 누른드리·누루다리·황교라 불렸는데, 황교의 위쪽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황(上黃)’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한국지명총람』에 따르면 주변 산과 들의 흙빛이 모두 누렇다 하여 누른드리, 누른다리, 황교라 불렸다고 전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백제 시대 하황리와 상황리 사이에 황교(黃橋)라는 다리가 있었고, 하황리는 황교의 아래에 위치여 있기 때문에 붙어진 이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장정리(長亭里)의 장(長) 자와 하곡리(蝦谷里)의 하(蝦) 자를 따서 장하리(長蝦里)라고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정자리(亭子里)의 정(亭) 자와 장암리(場岩里)의 암(岩) 자를 따서 정암리(亭岩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을 들어서는 산 양쪽을 깎아서 길을 내어 사람들을 드나들게 한 마을이라, 문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서 타 지방 사람들이 원문(元門)이라고 부른 데서 원문리(元門里) 이름이 유래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석우리(石隅里)의 석(石) 자와 산동리(山東里)의 동(東) 자를 따서 석동리(石東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지장리(紙匠里)의 지(紙) 자와 토산리(土山里)의 토(土) 자를 따서 지토리(紙土里)라 하였으며, 『전국 지명조사철』에 따르면 과거 종이를 많이 생산하여서 ‘지토리‘라 하였다고도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합하리(閤下里)의 합(閤) 자와 상곡리(上谷里)의 곡(谷) 자를 따서 합곡리(閤谷里)라 하였다고 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여러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 통합하여 이뤄진 마을이라 ‘합곡리’라 칭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북고리(北皐里)라 명명되었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조선 말에 임천군에 속하였고 군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북고리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북구천(北仇川)의 가이기 때문에 부꾸내 또는 북구천, 북구천리라고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세도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세도면(世道面)이라는 지명은 금강의 세도나루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구덕, 즉 큰바구니처럼 생겼다고 하여 구덕 혹은 구데비라고 하다가 귀덕이 된 데서 귀덕리(歸德里)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장토리와 중산리가 병합되고, 이때 장토리(長土里)의 장(長) 자와 중산리(中山里)의 산(山) 자를 따서 장산리(長山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홍가동(洪佳洞)의 가(佳) 자와 회화정리(檜花亭里)의 회(檜) 자를 따서 가회리(佳檜里)라 하였다고 한다. 홍가동은 홍씨의 집성촌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회화정리는 마을에 회화나무 정자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청룡리(靑龍里)의 청 자와 하송리(下松里)의 송 자를 따서 청송리(靑松里)라 하였다고 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과거 장송목이 무성한 지역이어서 ‘청송리’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있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동신리(東神里)의 동(東) 자와 사동리(寺洞里)의 사(寺) 자를 따서 동사리(東寺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간리(艮里)의 간(艮) 자와 상대리(上大里)의 대(大) 자를 따서 간대리(艮大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수다해리(水多海里)의 수 자와 고추리(古楸里)의 고 자를 따서 수고리(水古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남쪽이 금강과 접하여 있어 포구 근처에 부락이 길게 자리 잡고 있다는 뜻에서 청포리(菁浦里)라 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형이 곶으로 되어 있어 곶지 또는 고다지(古多只)라고 하였고, 고려 시대 고다지소가 있어서 고다지소(古多只所) 또는 고다진(古多津)이라고 하였으며, 조선 시대 고다진원(古多津院)이 있어서 고다진원 또는 반조원(頒詔院)이라 한 데서 반조원리(頒詔院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화중개, 화징개(花中開) 또는 화중(花中) 또는 화수라 불렀기에,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화수리(花樹里)라 하였다고 한다. 화중개는 마을이 산형이 마치 꽃 가운데 열린 것 같다 하여 불린 이름이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사랑리(沙浪里)의 사(沙) 자와 산사리(山寺里)의 산(山) 자를 따서 사산리(沙山里)라 하였다....
석성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석성면(石城面)은 이곳에 백제 시대부터 돌로 쌓은 성, 즉 석성(石城)이 있었기 때문에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성리(石城里)는 돌로 쌓은 성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는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하며, 석성군[석성현]의 옛 중심지라 하여 석성읍내(石城邑內)라고도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백제 시대에 군대가 주둔하던 봉두정(鳳頭亭)이 있다고 하여 봉두정, 봉두정이, 원무정(圓舞亭)이라고 불린 데서 봉정리(鳳亭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람들이 정성을 들이는 서낭당이 있고 비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비당(碑堂)이라 붙여진 데서 비당리(碑堂里)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에 마을 뒷산이 시루처럼 생겼다고 하여 시루미, 미르메 또는 증산이라 부른 데서 증산리(甑山里)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1895년 석성군(石城郡) 북면(北面)에 속하였을 당시 마을에 정각사(正覺寺)라 불리는 사찰이 있어 정각리(正覺里)라 하였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 기록에 따르면, 조선 시대 석성현의 치소였기 때문에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부터 현내리(縣內里)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
초촌면
-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조선 시대 부여군의 지역으로, 새울 또는 초촌을 따서 초촌면(草村面)이라 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산과 들에 풀이 우거져 있어 ‘초촌’이라 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莘岩里)는 바위가 많은 지역에 마을이 있으므로 신암, 신뜸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처음 신씨가 거주하였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과 마을 부근에 풀이 무성하다 하여 소사, 소새, 소래라 한 데서 소사리(素沙里)가 유래하였다. 『전국 지명 조사철』에는 지형이 소뒷다리 형으로 되어 있다 하여 ‘소새리’로 불려오다 발음이 변하여 ‘소사리’라고 칭하게 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지기가 살았기 때문에 산직말, 산직촌이라 불리다가 산직리(山直里)가 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응동(鷹洞)의 응(鷹) 자와 중평리(中坪里)의 평(坪) 자를 따서 응평리(鷹坪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연화리(蓮花里)는 연화지(蓮花池)라는 큰 연못이 있어서 연못골 또는 연화동이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추양리(楸陽里)는 통일 신라 이후 마을 앞에 오래된 떡나무[楸木]가 있어 고추동, 고추골로 불렸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고추동의 추 자와 응양리의 양 자를 따서 추양리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신송리(新松里)의 송(松) 자와 하국리(下菊里)의 국(菊) 자를 따서 송국리(松菊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세동(細洞)의 세(細) 자와 탑동리(塔洞里)의 탑(塔) 자를 따서 세탑리(細塔里)라 하였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뒷산 마루에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하여 송정, 소정이, 장마루, 정마로라 한 데서 송정리(松丁里) 이름이 유래되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국 지명 조사철』에 따르면, 조선 시대 노성군 소사면 지역이었을 당시 마을 앞 맑은 호수를 진물 또는 진호(眞湖)라 하였고, 이에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진호리(眞湖里)라 하였다고 한다. 『한국지명총람』에는 긴 호수가 있기 때문에 진물, 진호라고 불렀고 여기에서 지명이 유래되엇다고 한다....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초리(草里)의 초(草) 자와 하평리(下坪里)의 평(坪) 자를 따서 초평리(草坪里)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