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부여문화대전 > 부여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전통 시대 인물 > 의병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의병. 박혼(朴渾)[?~1592]은 부여 출신이며, 자는 호연(浩然)이다. 조헌(趙憲)[1544~159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집안 대대로 유학을 숭상하여 글을 배우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고 한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스승 조헌이 의병을 일으키자 박혼은 의진에 가담하였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의병. 순성걸(荀成傑)[?~1592]의 본관은 홍산(鴻山)이다. 홍산[현 부여군 홍산면]에서 태어나 조헌(趙憲)[1544~159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선조 때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스승 조헌이 의병을 일으키자 순성걸은 박혼(朴渾) 등과 함께 의진에 가담하였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유동수(柳東秀)[1579~1654]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수보(秀甫), 호는 노곡(老谷)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유선민(柳先民)이고, 어머니는 김응상(金應祥)의 딸 언양 김씨(彦陽 金氏)이다. 부인은 해주 오씨(海州 吳氏)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유명(柳蓂)[1548~?]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字)는 서숙(瑞叔), 호는 죽정(竹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정휘(柳正徽)이고, 할아버지는 유응상(柳應祥)이다. 아버지는 유경지(柳敬智)이고, 형은 유봉(柳菶)이다. 아들은 유진춘(柳震春)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의병장. 유봉(柳菶)[1546~1604]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성숙(盛叔), 호는 정재(定齋)·망기정(忘機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유정휘(柳正徽)이고, 할아버지는 유응상(柳應祥)이다. 아버지는 유경지(柳敬智)이고, 아들은 유승춘(柳承春) 등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의병. 이강(李日+工)[1558~1592]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며, 자는 강지(絳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평안도관찰사를 지낸 이세응(李世應)이고, 할아버지는 대사간 이림(李霖)이다. 아버지는 이창형(李昌亨)이고, 어머니는 풍양 조씨(豐壤 趙氏)이다. 부인은 판관 오세인(吳世仁)의 딸 하동 오씨(河東 吳氏)이고, 아들은 이순성(李純誠)·이순억(李純億)이다....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활동한 의병장. 이관민(李寬民)[?~?]은 1579년(선조 30)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부여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조익(趙翊)이 지은 『공산일기(公山日記)』에 따르면, 이관민은 한양에서 벼슬살이를 하다가 정유재란 당시 홍산(鴻山)[현 부여군 홍산면]에 머물고 있었다. 이관민은 왜군이 재침하였다는 소식을 듣자 수천 명의 의병을 모아 한양을 지키기 위하여 북상하...
-
조선 후기 부여 지역에서 발생한 이몽학의 난 진압에 공을 세운 의병장. 장의용(張義龍)[1573~159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부여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