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충주를 노래한 한시. 조선 후기 실학자인 이덕무[1741~1793]는 본관 전주(全州)이고 자는 무관(懋官), 호 형암(炯庵)·아정(雅亭)·청장관(靑莊館)이다. 정종 별자(別子) 무림군(茂林君)의 후손으로, 정조가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하여 검서관(檢書官)을 등용할 때 박제가·유득공·서이수 등과 함께 뽑혀 여러 서적의 편찬 교감에 참여했다. 「...
-
조선 전기 충주목사와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한 맹사성이 강호의 한가한 생활을 읊은 연시조. 맹사성(孟思誠)[1360~1438]은 세종 때의 명상(名相)으로 자는 자명(自明), 호는 고불(古佛)이다. 양촌에 사는 권근(權近) 문하에서 수업했으며 효자였다. 충주목사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는 평시조로 된 연시조(連時調)이다. 강호(자연)에 봄...
-
고려 후기 문신 이색이 충주목사 김존성과 판관 김조에게 부쳐 올린 한시. 칠언절구의 한시로 모두 3수이다. 첫 수는 원(轅)·문(門)·원(原), 둘째 수는 량(凉)·망(茫)·방(房), 셋째 수는 분(奔)·번(繁)·곤(坤)으로 압운한 연작시이다. 장편 연작시 중 일부로, 충주목사 김존성과 판관 김조의 공적을 찬미한 것은 둘째 수이다. 첫 수에서는 목은(牧隱) 자신의 문생이 충주에 있...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에서 활동한 문인이며 서예가인 김구가 지은 평시조. 김구(金絿)[1488~1534]의 자는 대유(大柔), 호는 자암(自庵)이다. 예산이 고향으로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일찍부터 성리학 연구에 전념해 학문 실력이 조광조(趙光祖)·김식(金湜)과 겨눌 만했다 한다. 글씨에도 뛰어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서울 인수방(仁壽坊)...
-
조선 전기 문신 서거정이 충주를 노래한 칠언절구의 한시. 서거정[1420~1488]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이다. 시화(詩話)의 백미(白眉)인 『동인시화(東人詩話)』와 『동문선(東文選)』 등을 남겨 한문학(漢文學)을 대성하게 하였다. 저서로는 『사가정집(四佳亭集)』, 『역대연표(歷代年表)』, 『태평한화(太平閑話)』, 『필원잡기(筆苑...
-
조선 중기 충주 지역에서 유배 생활을 했던 노수신이 지은 시조. 단시조 형태의 평시조이다. 조선의 유학 이념을 바탕으로 한 시조로, 특히 『대학장구(大學章句)』의 명명덕(明明德)에서 지선(至善)에 이르는 길을 인생의 성의에 비유하였다. 명명덕 실은 수레 어드메 나가더이고(明明德 실은 수레 어드메나 더이고) 물격치 넘어들어 지지고개 지나더라(物格峙 넘어드러 知止고ㅣ 지...
-
조선 전기 충주사록(忠州司錄)을 지낸 정도전이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개국에 대한 감회를 노래한 시조. 단시조 형태의 평시조로, 초장에서 변함없는 산천의 모습을, 중장에서 망국에 대한 안타까움을, 종장에서 새로운 왕조에 대한 애민 충정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선인교 내린 물이 자하동에 흐르니(仙人橋 나린 물이 紫霞洞에 흐르나니) 오백 년 왕업이 물소리뿐이로다(半千年 왕업이...
-
고려 전기 문신 정지상이 충주에 있던 영곡사의 절경을 읊은 한시. 정지상(鄭知常)[?~1135]은 서경 출생으로 호는 남호(南湖), 초명은 정지원(鄭之元)이다.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을 주장해 김부식(金富軾)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사대적 성향이 강하던 개경 세력과 대립하였다. 정시상은 정치인으로서만이 아니라, 뛰어난 시인으로서 문학사에서 큰 비중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임경업이 유비무환의 마음을 담아 지은 한시. 「용천검」은 서(書)·여(如)·부(夫)로 압운한 측기식 칠언절구이며, 「추련검」은 연(筵)·년(年)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용천검」은 임경업이 실전용 칼인 용천검을 얻고 지은 시로 하늘이 낸 대장부임을 천명하였고, 「추련검」에서는 대장부의 충성심을 읊었다. 「용천...
-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인 정약용이 충주 하담에 있는 어머니와 이별하며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약용이 충주 하담에 살고 있는 어머니와 이별하며 가흥역의 정경을 읊은 시이다. 사휴정하수연연(四休亭下水漣漣) : 사휴정 아래 물줄기 넘실넘실 흐르는데 객마비명상도선(客馬悲鳴上渡船) : 나그네의 말 슬피 울 제 나룻배에 올랐네 행도가흥강구망(行到嘉興江口望) : 가흥역 당도하여...
-
조선 중기 문신 윤결이 충주를 노래한 오언율시의 한시. 윤결[1517~1548]은 문신으로, 자는 장원(長源), 호는 취부(醉夫) 혹은 성부(醒夫)로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윤결의 「제충주루헌」은 오언율시로 되어 있다. 중원이라, 예로운 명승지(中原古名勝) 물색마다 박눌재의 제영일세(物色訥齋餘). 나그네 누대에 올라보니(有客登樓處) 상큼한 가을 막...
-
조선 중기 문신 유항이 충주시 중앙탑면 누암리 청금정의 정경을 노래한 한시. 유항은 우륵이 가야금을 타며 쉬어간 네 개의 정자 중 하나인 중앙탑면 누암리 청금정을 소재로 한시를 지었는데, 여기서 사휴정(四休亭)은 청금정 외에 금가면의 옥강정, 금가면 하담리 하소와 엄정면 목계리에 있던 정자를 함께 지칭하는 것이다. 대(臺)·고(古)·오(午)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로 이...
-
조선 중기 문신 이만영이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에 있던 청룡사에 들른 뒤 감회를 적은 한시. 유(幽)·유(流)의 압운을 사용한 측기식 오언절구로 이루어져 있다. 행도청룡사(行到靑龍寺) : 걸어서 청룡사에 이르니 사한승역유(寺閑僧亦幽) : 절은 한가롭고 스님 역시 조요롭구나 여하종부보(如何鍾不報) : 어찌하여 종소리마저 들리지 않는가 혹공세간류(或恐世間流) : 아마도 속인 세상일까 두...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권근이 판관 김대소를 전송하며 지은 한시.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양촌리에서 태어나 성장한 권근(權近)[1352~1409]은 여말선초에 걸친 대학자이며 문신이다. 초명(初名)은 진(晋), 자는 가원(可遠)·사숙(思淑), 호는 양촌(陽村)이다. 「충주」는 「송김대소판관조부충주(送金大素判官肇赴忠州)」라고도 불린다. 「충주」는...
-
조선 후기 문신 김수항이 충주 지역을 유람하던 중 지은 한시. 김수항(金壽恒)[1629~1689]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구지(久之), 호는 문곡(文谷)이다. 서인으로서 두 차례의 예송(禮訟) 때 남인과 대립했으며, 뒤에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갈리자 노론의 영수가 되었다. 저서에 『문곡집(文谷集)』과 「송강행장(松江行狀)」 등이 있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
-
조선 전기 문신 김종직이 충주 지역에 있던 국원성의 경영루를 보고 지은 한시.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자(字)는 계온(季昷), 호는 점필재(佔畢齋)이다. 성리학자로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조(宗祖)로 추앙받고 있다. 저서로 『점필재집(佔畢齋集)』이 있다. 칠언율시로 구성되었다. 진한 천년의 국원성에(辰韓千載國原區) 다시 층루가 있어...
-
조선 전기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이승소가 충주 지역에 있던 국원성의 경영루에 오른 뒤 감회를 적은 한시. 구(區)·우(隅)·도(圖)·호(呼)·무(蕪)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율시이다. 1구와 2구는 충주의 아름다운 정경을, 3구와 4구는 내면에 면면히 흐르는 애상적 정서를, 5구와 6구는 두보의 시와 왕유의 「망천도」에 비겨 깨끗한 흥취를, 7구와 8구는 자연과 같이 즐기는 모습을 노래...
-
조선 후기 학자 권상하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사망한 신립 장군을 회고하며 지은 한시. 운(雲)과 군(軍)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황성고각가감문(荒城鼓角可堪聞) : 황폐한 성 북과 나팔 소리 즐겨 들을 만한데 고도공비일모운(古渡空飛日暮雲) : 옛 나루터 속절없이 저문 구름 날리네 인인강파유대원(咽咽江波猶帶怨) : 울어 예는 강여울 아직도 원기 띠었으니 부지하처조장군(不知何...
-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적은 한시. 황(荒)·량(凉)·장(場)·장(長)으로 압운한 측기식 오언율시이다. 1~4구는 우륵이 충주 탄금대에서 어스름 황혼에 홀로 선 심정을, 5구와 6구는 나그네가 임진왜란 때 전사한 8천 고혼을 조문하는 애국 충정을, 7구와 8구는 8천 고혼의 넋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노래하였다. 우륵탄금처(于勒彈...
-
조선 전기 충주목사를 역임한 박상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읊은 한시. 탐(探)·남(藍)·암(庵)·삼(三)·참(慚)으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율시이다. 1구와 2구는 충주 탄금대에서 있었던 지난 일을 회고하고, 3구와 4구는 문장가 강수와 서예가 김생의 흔적 없음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4구와 5구는 무심한 자연의 운행을, 7구와 8구는 작자의 부끄러운 마음을 노래하였다...
-
조선 중기 문신 이소한이 충주 탄금대에 올라 감회를 읊은 한시. 대(臺)·회(回)·애(哀)로 압운한 평기식 칠언절구이다. 기구(起句)는 비오는 충주 탄금대 정경을, 승구(承句)는 술잔을 올려 호국 충혼을 조문하는 모습을, 전구(轉句)는 당시의 감회를 묻는 것으로, 결구(結句)는 물소리에 가슴을 에는 듯한 절절함을 노래하였다. 편운비우과금대(片雲飛雨過琴臺) : 조각구름 날리는 빗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