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충주문화대전 > 충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전통시대인물 > 의병
-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국가가 위급할 때 백성이 스스로 조직했던 자위군. 의병은 어떤 특정한 시기에 국한되는 개념이라기보다는 우리 역사의 전 시기에 걸쳐 외침이 있을 때마다 일어났던 민병대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용어가 같다는 이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와 조선을 거쳐 한말 의병전쟁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일어났던 다양한 성격의 의병이 동일하게 이해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의병.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심원(深源), 호는 자재(字齋)이다. 세조 때 무신 권언(權躽)의 현손이다. 증조부는 어모장군 권팽(權伻)이며 조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어모장군 권사직(權司直),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첨지중추부사 권형, 어머니는 사인(舍人) 보성(輔誠)의 딸 진원윤씨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 증(贈) 사복시정(司僕寺正) 수...
-
1894년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약한 동학농민운동 지도자. 성두환(成斗煥)[1845~1895]의 출신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충청도 청풍 송계리에서 농사를 짓던 평민이었다는 설과, 조상 대대로 한의원을 하던 집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고, 그를 토대로 많은 사람들을 동학으로 끌어들였다는 설이다. 성두환이 동학에 입도한 시기는 정확...
-
1894년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약한 동학농민군 지도자. 신재련은 동학의 제2세 교조 최시형(崔時亨)이 1891년 12월 당시 충주 외서촌(外西村)[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내산리 미산마을]으로 숨어들자 자신의 집에서 약 한 달 가량 머물도록 해 주었다. 당시 신재련은 최시형에게 “오도(吾道)의 운이 언제 형통할 것입니까”라고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1894년 동...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부인은 윤치호(尹致昊)의 조카이다. 이종훈은 25세 때 동학에 입교하였다. 1894년 9월 18일 북접교주 최시형이 각 지역 접주들을 청산에 소집하고 기포할 것을 지시하자 충주에서 기포하였다. 10월 초순에는 농민군을 이끌고 괴산에서 관군과 충청북도 충주시 가흥면에 주둔해 있던 일본 병참군과 접전하였다. 이후 공주 우...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정착한 무신이자 의병장.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사원(士愿). 한성좌윤(漢城左尹) 조승(趙勝)의 둘째 아들이다. 충청북도 괴산군 송평동(松坪洞)에서 태어났으나 뒤에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水龍里)에 옮겨와 살았다. 웅장한 모습에 관대하고 엄격한 기량이 있었으며 글재주에 능했고 글씨도 잘 썼다. 부모에게는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으며...
-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충청북도 충주에서 활동했던 의병장. 본관은 한양(漢陽). 호는 백기(白旗). 개국공신 조인옥(趙仁沃)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승정원좌승지에 추증된 조일(趙逸)이다. 충주 출신의 조웅은 1591년(선조 24) 조헌(趙憲)의 천거로 선전관이 되었다가 얼마 후 사직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스승인 조강(趙綱)을 따라 청주에서 의병을 일으켰다가 나...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동학농민군 지도자. 허문숙은 1894년 9월 10일 전라도 삼례에서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 농민군의 제2차 봉기가 시작되자, 최시형에 의한 교단 측의 기포령이 떨어지기 전부터 서장옥·황하일 등과 함께 충주 용수포(龍水浦)에서 수만 명의 농민군을 불러 모아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허문숙 등은 진천에서 역시 수만 명의 농민군을 이끌고...
-
1894년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약한 동학농민군 지도자. 『홍양기사(洪陽紀事)』의 「천도교회사초고(天道敎會史草稿)」에 따르면 1894년 9월 제2차 기포(起包) 당시 홍재길은 신재련과 함께 충주 지역 지도자로 기록되어 있다. 홍재길은 이용구, 신재련과 함께 충주 지역 농민군을 이끌고 충주 황산을 출발, 안성의 정경수(鄭璟洙), 이천의 고재당, 음죽의 박용구 등과 호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