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3279
한자 李宇炯
영어음역 Yi Uhyeong
이칭/별칭 유평(幼平)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최일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성별
생년 1731년(영조 7)연표보기
몰년 1803년(순조 3)연표보기
본관 전주
대표관직 사헌부감찰

[정의]

조선 후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의 삼남 석보군(石保君) 이복생(李福生)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송년(李松年)이며, 할아버지는 이성유(李聖裕)이며, 아버지는 이명하(李明夏)이며, 어머니는 진천 임재춘(林再春)의 딸 진천임씨(鎭川林氏)이다.

[활동사항]

이우형은 1731년(영조 7) 진사가 되았다. 1785년(정조 9) 유생들과 함께 “김세필(金世弼)의 아들 김저(金䃴)는 을사사화가 일어났을 초기에 지평(持平)으로서 항소하다가 드디어 중형을 받고 안동으로 유배되었으며, 정미년 벽서(壁書)의 변(變)에 삼수(三水)로 이배되었다가 마침내 사사되고, 그 처자는 종이 되었습니다. 그때 화를 입은 여러 신하들은 혹은 증직이 시행되고 혹은 시호가 내려졌으나, 유독 김저는 후손이 외롭고 약하여 위에 계문(啓聞)할 길이 없었으므로 피차의 구별이 없이 똑같이 대우하는 은혜를 입지 못하였습니다. 원컨대, 특별히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사화에 죽은 다른 신하의 준례에 의하여 속히 관작과 시호를 내려주게 하소서.”라고 상소하여 정조)가 그대로 시행하였다.

1794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합격하였으며 1795년 수차(水車)를 이용하여 관개를 하여 곡식을 생산하여 국가의 저축을 늘리자고 상소하였다. 이후 좌랑과 사헌부감찰을 역임하였으나 1800년(순조 즉위년) 정조의 산릉 택일 문제로 울진으로 유배당하였다.

[묘소]

묘소는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양촌리에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