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1483 |
---|---|
한자 | 地質資原-寶庫, 靑松-世界地質公園 |
영어공식명칭 | Cheongsong UNESCO Global Geopark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4년 04월 11일 - 청송군 국가지질공원 지정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7년 05월 01일 - 청송군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
기암 단애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346[상의리 산24] | |
주방천 페퍼라이트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33 | |
급수대 주상절리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산45 | |
법수 도석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신점리 산9 | |
병암 화강암 단애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 1063-1 | |
나실 마그마 혼합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 산110 | |
면봉산 칼데라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월매리 산49-1 | |
수락리 주상절리 -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수락리 산54-1 | |
파천 구상 화강암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신흥리 408 | |
청송 구과상 유문암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괴정리 644-3 | |
청송자연휴양림 퇴적암층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청송로 3478-96[대전리 산69-1] | |
방호정 감입곡류천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656 | |
만안 자암 단애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근곡리 649-1 | |
주산지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73 | |
청송얼음골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 1 | |
달기약수탕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735 | |
신성리 공룡발자국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산100-1 | |
연화굴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공원길 346[상의리 산24] | |
용추협곡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면 공원길 346[상의리 산24] | |
용연폭포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산83 | |
절골협곡 -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산124 | |
백석탄 포트홀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백석탄로 133-70[고와리 648] | |
송강리 습곡구조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산72 | |
노루용추계곡 -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외리 산104 |
[개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청송군 일대 846.05㎢ 규모의 지질공원으로, 2014년 4월 11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선정되었고 이후 2017년 5월 1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선정되었다. 국가지질공원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교육, 관광 등에 활용하기 위해 「자연공원법」에 따라 환경부 장관이 인증한 공원으로,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보전 가치가 높은 지질명소뿐만 아니라 훼손된 지질학적 관련 지역[폐광산, 절개지, 지질 발생지 등]을 활용함으로써, 희귀하고 교육 가치가 높은 지질명소[Geosite] 보존·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질공원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지질명소를 20개 이상 포함하고 지구과학적 중요성, 경관적 가치, 희귀한 자연적 특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고고학적·생태적·문화적으로 우수해 보전할 필요성이 있고 지질유산을 보호함으로써 경제적 부가가치가 창출돼야 하는 등의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여 청송군 일대는 제주도 지질공원[2012. 12. 27], 울릉도·독도 지질공원[2012. 12. 27], 부산 지질공원[2013. 11. 27], 강원 평화지역[DMZ] 지질공원[2014. 3. 31]에 이어 2014년 4월 11일 국내에서 5번째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17년 5월 1일에는 한국에서 제주도에 이어 2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다.
청송군 일대가 국가지질공원 및 세계지질공원으로 선정될 수 있었던 이유는 청송군 일대의 지질학적 특색 때문이다. 청송군 일대는 지체구조상 백악기 경상분지에 위치한다. 경상분지는 남한에서 가장 큰 퇴적분지이며, 크게 영양소분지, 의성소분지, 밀양소분지 등으로 세분되며, 청송군 일대는 북동부를 점하는 영양소분지와 남서부의 의성소분지에 포함된다.
경상분지는 하부로부터 신동층군, 하양층군, 유천층군 및 이들을 관입한 백악기 말~신생대 초의 불국사관입암류로 구성된다. 청송군 일대는 선캄브리아기에서부터 신생대까지의 긴 시간적 범위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이 모두 분포한다. 또한 이들 암석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지질학적으로 전형적인 혹은 보기 드문 특징들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청송세계지질공원의 지질 명소]
청송세계지질공원의 총면적은 청송군 전체 면적에 해당하는 846.05㎢이다. 지질명소는 기암 단애, 주방천 페퍼라이트, 급수대 주상절리, 병암 화강암 단애, 나실 마그마 혼합대, 면봉산 칼데라, 수락리 주상절리, 파천 구상 화강암, 법수 도석, 청송 구과상 유문암 등의 화성명소 10개소와 청송자연휴양림 퇴적암층, 방호정 감입곡류천, 만안 자암 단애 등의 퇴적명소 3개소, 주산지, 청송얼음골, 달기약수탕 등의 수리명소 3개소, 신성리 공룡발자국 등의 고생물명소 1개소, 연화굴, 용추협곡, 용연폭포, 절골협곡, 백석탄 포트홀, 송강리 습곡구조, 노루용추계곡 등의 지형명소 7개소로 총 24개소이다.
이 중 청송 구과상 유문암, 주방천 페퍼라이트, 기암 단애, 용연폭포 등 4개소는 국가지질공원에서 선정하는 ‘한국의 지질유산 100선’에 해당하며, 기암 단애, 주산지, 방호정 감입곡류천 등의 3개소는 ‘한국의 지질유산 20선’에 해당한다.
[탐방로]
현재 청송세계지질공원 내 탐방로는 주왕계곡 지질탐방로, 신성계곡 녹색길 지질탐방로, 청송자연휴양림 지질탐방로로 총 3개소를 운영 중이다. 주왕계곡 지질탐방로는 총 4.5㎞ 길이로, 탐방안내센터-기암 단애-주방천 페퍼라이트-연화굴-급수대 주상절리-용추협곡-절구폭포-용연폭포-주왕굴-무장굴-기암 단애-탐방안내센터 순으로 운영되고 있다.
신성계곡 녹색길 지질탐방로는 총 12.4㎞ 길이로 신성계곡 녹색길 안내센터-신성리 공룡발자국-방호정 감입곡류천-신성계곡 한반도 지형-만안 자암 단애-백석탄 포트홀-도자기 체험장- 목은재 휴게소 순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송자연휴양림 지질탐방로는 총 5.5㎞ 길이로 관리사무소-퇴적암 층리-퇴적암 퇴적환경변화-쐐기파괴-사층리-연수의집-암맥-잔디광장-관리사무소 순으로 운영되고 있다.
3개의 지질탐방로 외에도 돌가루로 만든 백자탐방, 영원히 지지 않는 꽃돌여행, 슬로시티와 느림의 공감, 공룡시대 명동과 감입곡류천, 선비의 얼과 문화를 찾아서, 기암과 주왕의 전설이 있는 곳 등의 추천 여행코스 8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지질명소와 함께 현비암, 청운하천, 중평솔밭, 목계솔밭, 부곡교 퇴적층, 신촌약수탕, 신기리 느티나무, 관동 왕버들, 홍원리 개오동나무, 장전리 향나무 등의 생태자연명소 10개소와 객주문화관, 항일의병기념공원, 청송향교, 소헌공원, 병암서원, 송학서원 등의 문화역사명소 6개소, 청송백자체험, 청송전통옹기체험, 청송전통한지체험, 천연염색체험, 장난끼공화국 등의 체험명소 5개소로 구성된 비지질명소 21개소가 연계되어 운영 중이다.
[청송세계지질공원과 지오파트너]
청송세계지질공원과 연계하여 지오파트너와 지질시범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지오파트너란 청송세계지질공원 내의 지질명소를 모티브로 음식, 숙박, 체험, 관광상품 등을 개발하여 판매하면서 이용자들에게 지질공원안내 및 홍보를 하는 협조자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청송세계지질공원의 지질명소에 대한 체계적인 보전관리와 관광산업 및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지질시범학교는 청송군 내의 학교를 선정하여 지질 해설사와 함께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청송 일대의 명소들을 체험학습을 통해 지형과 지질 그리고 역사와 문화 등을 경험하고 교육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2016년 3월부터 파천초등학교가 시범학교로 운영 중이다.
[지질학적 특징, 선캄브리아기 암석]
청송군 일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은 대체로 화강암질 암석의 변성작용으로 형성된 소백산편마암복합체에 속하며 호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화강편마암 등으로 대표된다. 호상편마암은 대보화강암에 의해 관입되고 있으며, 비교적 세립질이다. 화강암질편마암은 미약한 편리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국부적으로 미그마타이트질편마암, 흑운모편마암 등의 다양한 편마암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화강편마암은 그 분포 형태가 불규칙적이며 일반적으로 조립질이고 등립질이며, 약한 편마구조(片麻構造)[gneissosity, gneissose structure]를 발달시킨다. 편마구조란 편마암과 같은 변성암에서 조립질 암석이 압력을 받아 광물이 재결정되면서 엽리구조가 미약해지면서 불완전하고 불규칙한 평행구조를 나타낸다. 편마암복합체에 속하지 않는 석회암도 청송 북서부와 임하호 일대에서 산출되는데 대체로 괴상을 이루나 편마암 혹은 편암과 같은 퇴적암 기원의 변성암류와 번갈아 나타나기도 한다.
[지질학적 특징, 중생대 암석]
청송군 일대에 분포하는 중생대 쥐라기의 암석은 중생대 쥐라기부터 백악기 초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지각변동인 대보조산운동에 의한 화강암류이다. 중립질 내지는 조립질의 암상을 보이며, 알칼리장석이 최대 수 ㎝ 크기의 반정(斑晶)[phenocryst]으로 나타난다. 그 외 사장석, 각섬석, 흑운모 등이 반정으로 포함되기도 한다.
청송군 일대에 분포하는 중생대 백악기의 암석은 주로 의성소분지와 영양소분지의 기원을 갖는 하양층군 퇴적암류이며 안동소분지의 상부층에 해당하는 유천층군의 화산암층도 일부 분포한다. 의성소분지는 하부로부터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사곡층, 춘산층 순으로 나타나며, 영양소분지는 하부로부터 동화치층, 가송동층, 도계동층 순으로 나타난다. 유천층군의 화산암류는 하부로부터 유문 내지 안산암질 응회암, 안산암 및 석영안산암질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문 내지 안산암질 응회암은 주왕산과 무포산, 내연산 줄기를 이루고 있다.
의성소분지의 중심부는 안동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분지의 동쪽에서 청송과 단층으로 접하고 있다. 일직층은 하부의 사암, 셰일(shale), 저색미사암 및 역암대와 중부의 암회색 셰일, 사암 및 이회암대 그리고 상부의 저색셰일 및 사암대로 구성된다. 후평동층은 하부의 사암, 적색미사질셰일 및 역암과 상부의 사암, 미사암 및 미사질셰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와 하부는 잡색각력암층에 의해 나뉜다. 점곡층은 주로 암회색 내지 흑색셰일과 이암 등의 환원성 점토질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녹색 내지 사질암석이 소규모로 불연속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손진담의「경북 의성지역 전기 백악기 점곡층의 공룡발자국화석」에 따르면 의성 지역에 분포하는 점곡층 상부 이질암층에서는 공룡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바가 있다. 사곡층은 주로 회색 내지 암회색의 미사질셰일 및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화환경에서 형성된 저색층이 협재되고 상부로 갈수록 적색층이 우세하다. 또한 드물게 협재되는 회색층 내에는 빗방울 자국, 건열, 사층리 등의 다양한 퇴적구조가 나타난다.
영양소분지의 최하부층인 동화치층은 주로 역암 및 담회색알코스사암으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이암과 번갈아 나타나고 연속성이 불량한 흑색셰일이나 역질사암을 포함하기도 한다. 가송동층은 저색이암, 저색셰일, 알코스사암, 녹회색이회암의 호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상에서 주왕산의 서쪽을 감싸며 분포한다. 도계동층은 역암, 사암, 이암, 셰일 등으로 이루어진 퇴적층이며 지역에 따라 현무암층이 협재되기도 한다. 임성규 등(2006)에 따르면 적색셰일층 내에서 6개의 용각류 발자국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지질학적 특징, 신생대 암석]
청송군 일대에 분포하는 신생대의 암석은 신생대 제3기 초의 불국사관입암류로서 각섬석화강암과 산성반암이 이에 해당한다. 신생대 퇴적암류는 충적층을 제외하면 청송 일대에 분포하지 않는다. 각섬석화강암은 전형적인 경상분지의 불국사관입암류의 특징을 보이며, 염기성 내지 중성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석영몬조니암을 거쳐 화강암으로 점차적으로 변한다. 청송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하나인 구과상 유문암의 관입암체로 대표되는 산성반암은 도처에서 맥상으로 발달하나 국지적으로 큰 암주상을 이루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