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094 |
---|---|
한자 | 松江里褶曲構造 |
영어공식명칭 | Songgangri folds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황상일 |
해당 지역 소재지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293 |
---|---|
성격 | 습곡 |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일대에 있는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횡압력을 받아 물결처럼 휘어진 지질구조.
[개설]
송강리 습곡구조는 선캄브리아기부터 신생대까지 한반도가 겪은 3회의 습곡작용을 보여주는 지질구조이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 명소 중 하나이다.
[명칭 유래]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일대 길거리에 습곡구조가 나타나므로 송강리 습곡구조라 한다.
[자연환경]
습곡은 습곡축의 기울기, 습곡축면의 기울기, 날개 사이의 각도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송강리 습곡구조에서는 형성 시기를 달리하는 3회의 습곡작용이 확인된다. 첫 번째 습곡작용은 모든 지질 노두(路頭)[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광역엽리 형성과 관련된 습곡작용으로, 첫 번째 습곡축면에 평행한 광역엽리를 형성시켰다.
두 번째 습곡작용은 광역엽리를 습곡시키는 습곡작용이다. 세 번째 습곡작용에 의해 다소 분산되어 있으나, 습곡축면은 북서 주향에 고각으로 경사하는 우세한 방향성을 보이고, 습곡축은 고각으로 침강한다. 이러한 습곡구조 요소의 방향성으로부터 두 번째 습곡구조는 지각에 작용하는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응력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습곡작용은 광역엽리와 두 번째 습곡축면을 습곡시키는 습곡작용이다. 세 번째 습곡작용에 수반된 주요 변형된 암석 구조는 밀착습곡, 양 날개부가 이루는 각도가 90°~170° 범위를 보이는 개방[open] 습곡, 습곡된 부딘구조[boudinage structure, 강하게 변형 받은 퇴적암과 변성암에 흔한 구조] 등이 있다.
송강리 습곡구조가 형성된 송강마을 일대는 지체구조상 백악기 경상분지의 의성소분지 남부에 자리한다. 송강마을과 그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은 소백산 편마암복합체에 속하는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호상 편마암, 화강암질 편마암, 석회규산염암]와 이를 관입하는 선캄브리아기 화성암류[화강편마암]로 되어 있으며, 이들 암석은 경상분지의 기저를 이룬다.
송강리 습곡구조의 동편으로는 청송군 부남면 일대에서 발원하여 청송읍, 파천면을 거쳐 반변천에 합류하는 용전천이 북류하고 있다. 용전천은 송강리 습곡 일대에서 하도상에 사력 퇴적지 및 곡류 하도에서 공격사면 맞은편인 활주 사면의 중앙 부분에 모래나 자갈이 쌓여 이루어진 포인트바(point bar)를 형성하고 있다.
[현황]
송강리 습곡구조는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 명소 중 하나로, 연화굴, 용추협곡, 용연폭포, 절골협곡, 백석탄 포트홀, 노루용추계곡 등과 함께 지형명소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