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오수채 초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214
한자 吳隧采肖像
영어음역 O Suchae Chosang
영어의미역 Portrait of O Suchae
이칭/별칭 오수채 초상화,오수채 영정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은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인물화|초상화|일반회화
제작시기/일시 조선 후기
서체/기법 견본설채
소장처 해주오씨 문중
소장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소유자 해주오씨 문중

[정의]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오수채의 초상화.

[개설]

오수채 초상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오수채(吳遂采)[1692~1759]의 초상화 두 점으로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모두 반신상으로 한 점은 사모단령의 관복상이고, 또 한 점은 양관조복의 관복상이다.

오수채 초상 두 점 역시 해주오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는 오도일(오수채의 아버지)의 초상화와는 다른 형태와 양식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오수채 초상 두 점은 원래 전신상을 다시 이모한 상으로 보이며, 얼굴의 음영법과 단령의 구름 모양 등의 양식을 볼 때, 19세기 이후의 작품으로 보인다.

[형태 및 구성]

흉배 이하 각대 부근까지 그린 그림이다. 좌안칠분면(左眼七分面)에 신체도 칠분상(七分像)이다. 높은 오사모를 쓰고 있으며 모정(帽丁)도 높은 편이고, 양 각은 크고 둥글다. 가슴에는 단학 흉배를 달았고 허리에는 삽금대(鈒金帶)를 둘렀다. 양관은 선으로만 간략하게 표현하여, 초본 내지는 간략화한 초상화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두 그림 모두 후대에 간략하게 그려진 이모본으로 초상화를 비교하는 시대적 자료가 될 수는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