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783
한자 龍仁瑞鳳寺址玄悟國師塔碑
영어음역 Seobongsa Hyeonoguksa Tapppi
영어의미역 Monument of National Preceptor Hyeono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산110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임석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3년 1월 21일연표보기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보물 제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보물 재지정
성격 석조 국사탑비
양식 고려시대 탑비
건립시기/일시 1185년(명종 15)연표보기
관련인물 현오국사|종린|이지명|유공원|해구
재질 점판암|화강암
높이 188㎝
너비 97㎝
소재지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산110 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탑비.

[개설]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용인의 불교문화 유적으로, 서봉사의 사지(寺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편이 발견되어 고려시대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봉사는 1185년(명종 15) 현오국사(玄悟國師) 종린(宗璘)의 비(碑)가 세워지면서 유명해졌다고 한다.

[건립경위]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현오국사(玄悟國師)의 행적을 후대에 알리고자 세웠다.

[형태]

보통 탑비는 부도와 함께 건립되는데, 서봉사 절터에는 부도의 흔적이 없다. 화강암의 비좌(碑座) 위에 점판암의 비신석이 놓여 있는 모습이다. 비좌는 화강암 석재로 평면 장방형이며, 하부 규격은 134×66㎝이고, 높이는 18㎝이다. 비신은 이수부가 없이 상단의 양각면을 비스듬히 잘라낸 귀접이 형태로 보경사 원직국사비, 억정사 대지국사비, 보광사 중수비 등과 같은 12, 13세기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양식이다.

[금석문]

비문 위쪽에 ‘증시현오국사비명(贈諡玄悟國師碑銘)’이라는 제액을 2열로 전서하였고, 그 아래에 비문을 종서로 배치하였다. 비문은 당대의 대문호이며 학자였던 이지명(李知命)이 지었고, 글씨는 글과 문장에 능했던 문간공 유공권(柳公權)이 썼다.

[현황]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서봉사지를 대표하는 유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9호로 지정되었고, 3단의 사역(寺域) 위에 건립된 보호각 내에 보존되어 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는 전체적으로 간략한 조형미를 보이고 있는 고려 후기 석비 양식의 하나로, 의천 입적 이후의 화엄종단과 고려 왕실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또한 현오국사의 행적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서, 사료적 가치가 아주 큰 중요한 불교 문화재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1.06 [금석문] 수정 비문 위쪽에 ‘증익현오대사비명(贈謚玄悟國師碑銘)’이라는 제액을 2열로 전서하였고 ->비문 위쪽에 ‘증시현오대사비명(贈諡玄悟國師碑銘)’이라는 제액을 2열로 전서하였고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