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으로 넘어가는 국도 304호선변의 안골마을 뒤쪽, 해발 170m 정도의 야산에 위치한다.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용인시 문화유적 지표 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적으로, 많은 양의 백제 토기편들이 채집되었다고 한다. 채집된 토기편들은 외면에 격자문과 승석문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고매동 유물산포지는 세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각을 고매동 유물산포지1, 고매동 유물산포지2, 고매동 유물산포지3으로 구분하고 있다. 고매동 유물산포지1은 공세천 변의 신고매 주변과 배후의 구릉지 일대에 위치하며 넓은 범위에 걸쳐 유물이 산포되어 있다. 고매동 유물산포지2...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에 있는 백제의 취락 유적. 구갈동 유적은 경기개발공사에서 시행한 구갈3 택지개발 지역에 위치하며 기전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이후 삼국시대의 원형 수혈유구들은 현 위치에 보존되었으며, 나머지 유구들은 조사 후 모두 훼멸되었다. 이 지역은 조사자에 의해 편의상 A, B, C 세 개 지역으로 나뉘어 보고되었는데, 각...
-
신라 하대 김범문이 용인 지역을 공격하였던 사건. 김범문이 한산주를 공격할 때 한산주의 직할 영현인 거서현이 그 직접적인 공격 대상이 되었다. 거서현은 지금의 용인 지방으로 비정되고 있으므로 김범문의 난을 당하여 직접적인 전투를 치룬 정병들이 바로 용인 출신의 장정들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범문의 할아버지 김주원은 원성왕과의 왕위 계승 경쟁에서 패하여 강릉...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횡구식 석실분. 동백동 고분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과 중동 일원에 건설 중인 용인동백 택지개발지구 내에 위치한다. 동백동 고분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해, 건설 공사에 따른 구제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양상이 밝혀졌다. 출토된 유물은 없다. 고분은 입구가 남단벽에 위치한 횡구식 석실분으로 자연 경사...
-
한반도 중부 이남 지역에 있었던 삼한 중의 하나. 용인이 마한 54개 소국 중 어느 집단에 속하였는지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소국들인 중 속로불사국(速盧不斯國), 일화국(日華國), 고탄자국(古誕者國) 등이 용인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확실한 것은 3세기 무렵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을 거듭한 백제...
-
고구려·백제·신라가 서로 정립하던 시대의 용인 지역의 역사. 삼국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은 백제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쇠퇴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마한 군장사회들 중 하나였던 백제가 백제국가로 흥기하게 됨에 따라 그 중심지로부터 불과 30여㎞ 떨어져 있던 경기도 용인 지역은 백제 세력권 안으로 흡수·통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용인 지방은 『대동...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성복동 유물산포지는 모두 세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성복동 유물산포지 1·2·3으로 구분하여 부르고 있다. 성복동 유물산포지1은 성복2리 성서마을 서쪽의 성불골 일대 곡간 경작지에 위치하며, 완만한 경사지에 유물이 산포되어 있다. 성복동 유물산포지2는 성서마을 서쪽의 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리에 있는 선사시대, 고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송전리 유물산포지는 두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송전리 유물산포지1, 송전리 유물산포지2로 구분하고 부르고 있다. 송전리 유물산포지1은 송전1리 신사동산이라고 하는 공동 묘지의 남쪽 경사지 일대이다. 송전리 유물산포지2는 이동-송전 간 도로 공사로 인해 절토된 능선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산포지. 해발 216m의 어산에서 남동편으로 흘러나간 가지 능선부에 위치한다. 유적이 위치한 능선의 북쪽에는 형진농장이라고 하는 묘목농원이 넓게 자리하고, 동편으로는 진위천에 합류되는 완장천이 흐르며 아곡제2저수지가 인근에 위치한다. 아곡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한 능선은 해발 80m 가량으로 협장한 상태지만, 능선 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 터. 양지관아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는 자료로 1899년 당시 양지군수 신용균(申容均)이 만들어 중앙에 올린 『양지군읍지』가 있다. 『양지군읍지』공해조(公廨條)에 따르면 양지관아는 동헌(東軒)이 12칸, 내동헌(內東軒)이 29칸, 책실(冊室)이 4칸, 향장청(鄕長廳)이 4칸이었다. 또한 순교청(巡校...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 있는 시대 미상의 돌무지군. 운학동 돌무지군은 해발 346.2m의 국사봉 남서 끝자락에 위치하며, 운학동 석실묘에서 북서쪽으로 약 10m 정도 떨어져 있다. 8기의 돌무지가 군을 이루고 있다. 돌무지는 한 변의 길이가 4~5m, 높이 50~100㎝ 정도인데, 평면 평태는 일정하지 않다. 운학동 돌무지군은 경기도 용인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천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류형원의 묘 류형원(柳馨遠)[1622~1673]의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류형원이 죽은 지 100년 뒤에 영조는 경세제민(經世濟民)을 위한 제도 개혁을 주장한 『반계수록(磻溪隨錄)』을 높이 평가하여 이를 인쇄하여 세상에 널리 반포하도록 명하였다. 이를 계기로 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장평리에 있는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장평리 유물산포지는 두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장평리 유물산포지1과 장평리 유물산포지2로 구분하고 있다. 장평리 유물산포지1은 장평리 율애마을 뒤편의 능선 정상부 일대에 형상되어 있다. 유물산포지2는 장평리 유물산포지1이 위치한 능선에서 서쪽으로 뻗어나간 가지 능...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곽묘. 전대리 고분은 포곡읍 전대리의 구릉지 남사면 자락에 위치한다. 에버랜드 대형버스 주차장에서 영동고속도로 방향으로 넘어가는 고갯마루 못 미쳐 전관마을로 진입하는 콘크리트 소로를 따라 내려가면, 진입로에서 250m 가량 떨어진 지점의 소로 좌측(북쪽)에 접한 구릉 자락에 있다. 명지대학교 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채제공의 공덕을 기리는 뇌문비. 채제공 뇌문비는 처인구 역북동 낙은마을 채제공의 묘역 입구 산기슭에서 북서향 방향에 있는 비각 내에 보존되어 있다. 네모난 모양의 백색 화강암제 비좌와 흑요색의 비신으로 이루어진 비는 팔작지붕에 옥개석 형태이다. 비신 상부의 전액(篆額)은 “어제뢰문(御製誄文)”이며, 본문은 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용천리 조비산 정상부 일대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조비산 유물산포지는 해발 294m의 조비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조비산은 융기로 인해 형성된 암산으로 산정부에는 약간의 평지가 조성되어 있지만, 암반이 튀어나온 부분이 많아 그다지 넓은 편이 아니다. 산 정상 조금 못 미쳐 있는 큰 암석 하단부에서 무문양...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었던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고분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경기도 용인시 죽전동의 경계를 이루는 숫돌봉에서 서편으로 흘러나간 능선부 중 해발 100m 내외의 야트막한 구릉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적은 죽전동에 건설 중인 죽전택지개발지구 내의 유적 조사의 일환으로 기전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한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채제공의 묘. 채제공(蔡濟恭)[1720~1799]의 본관은 평강(平康), 자(字)는 백규(伯規), 호(濩)는 번암(樊巖)·번옹(樊翁)이며,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1743년(영조 19)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도승지였던 1762년에는 살해 위기에 놓인 사도세자를 옹호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청덕동 유물산포지는 모두 네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청덕동 유물산포지1부터 청덕동 유물산포지4까지 구분하여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청덕동 유물산포지3은 발굴조사 후 청덕동 유적2로 개칭되었고, 청덕동 유물산포지4는 유적의 일부가 중동에 포함되어 중동 유물산포지2로 개칭되었다. 여기서는 초기에 구분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출토된 흙을 빚어 불에 구워 만든 용기. 우리나라에서 토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이 시기의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로 통칭한다. 빗살무늬 토기는 입구가 넓고 바닥은 뾰족하여 포탄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양이다. 청동기시대의 토기는 무문 토기로 통칭되며, 바닥이 납작해지고 문양은 점차 축소되거나 없어진다. 그러나 입구를 두겹으로 겹쳐 만든 후 몸통...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통삼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남사면 봉무리에서 통삼천을 따라 난 도로를 타고 유평마을을 지나 북으로 1㎞ 가량 올라가면 남으로 뻗은 작은 능선부에 위치한 민초농원에 이르게 된다. 통삼리 유물산포지는 이 민초농원 일대에 형성되어 있다. 민초농원 내에는 묘목이 식재되어 있고 농원 뒤편의 능선 정상부에는 키...
-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부터 고려 건국 이전까지의 경기도 용인 지역의 역사. 북쪽의 발해와 통일신라가 병존한 것을 들어 남북국시대라고 칭하기도 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용인 지역은 685년(신문왕 9)에 한산주(漢山州)로 편제되었다. 통일신라의 서북단에 위치한 한산주는 그 지리적인 위치로 인해 당나라 뿐 만 아니라 북방의 발해와 말갈 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군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평창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산포지. 양지에서 백암 방향으로 가는 국도 17호선에서 평창리로 진입하는 도로가 분기되는데, 분기점에는 대규모의 전원주택 단지가 위치해 있다. 평창리 유물산포지는 이 전원주택 단지(1998년 서울대학교와 경기도박물관에 의해 구석기유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짐)가 조성된 구릉 전 지역이다. 조사 당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학일리 유물산포지는 학일리 제2저수지 동북쪽의 야산 동사면상 경작지 일대에 형성된 유물산포지이다. 유적의 남쪽으로는 작은 개울이 흐르고 있고 이 개울의 상류부 안쪽에는 학일리 백자 요지가 위치한다. 학일리 유물산포지의 동쪽 자락은 저수지의 제방과 연결되어 있고, 주변에는...
-
685년 경기도 용인을 포함한 한강 하류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통일신라시대의 행정 구역. 신라는 685년(신문왕 5)에 확대된 영토를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9주 5소경의 지방 제도를 새롭게 마련했다. 한산주는 광주를 주치로 하여 한강 하류를 둘러싼 광범위한 지역을 관활하였는데, 지금의 용인 지방인 구성현도 이 한산주에 포함되었다. 한산주는 본래 고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