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001384 |
---|---|
한자 | 軍司里 洞火祭·堂山祭 |
영어공식명칭 | Religious Ritual for the Village Tutelary Spirit and the Mountain Spirit in Gunsa-ri |
이칭/별칭 | 군사리 산제,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종익 |
의례 장소 | 산제당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
---|---|
성격 | 마을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정월대보름 |
신당/신체 | 산제당|위패 |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서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서는 해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저녁에 산제당에 올라 임천면민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며 군사리 동화제·당산제를 지낸다. 군사리 동화제·당산제는 본래 군사리의 정월대보름 마을 제사로 전승되어 오다가, 최근 임천면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및 마을 축제로 확대되어 당산제를 지내고 나서 동화제와 쥐불놀이 등의 부대행사를 갖는다.
[연원 및 변천]
군사리 동화제·당산제는 주민들의 구전 또는 구술에 따르면 유래가 오래된 것으로 전하지만, 전설이나 설화에 가까운 내용일 뿐이고 분명한 문헌이나 기록으로 입증된 바는 없다. 다만 실제 경험한 이들의 기억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에도 행하여졌다고 한다. 본래 군사리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삼일 또는 초하루 새벽에 제를 지냈다고 한다. 최근 군사리 당산제·동화제는 제일을 정월대보름으로 옮겨서 마을 축제로 거행하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당산제 또는 산제를 지내는 산제당은 마을 주산인 성흥산 중턱에 있다. 산제당의 형태는 기와집 단칸이고, 당내에는 ‘대신왕신위(大神王神位)’라고 쓰인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절차]
제의 준비는 제관 선정으로 시작된다. 길일인 생기복덕이 닿는 깨끗한 사람을 제관으로 선정하면, 제관은 일주일 동안 비린 음식을 먹지 않고 부부관계를 피하는 등 엄격하게 금기를 지켰다. 제의 당일이 되면 오후에 산제당에 올라 유교식 절차에 따라 당산제를 지내고 나서 하산한다. 그리고 보름달이 떠오를 무렵에 미리 준비하여 둔 동화(洞火)를 불사르고 액운이 없기를 축원한다. 동화는 ‘동네 불’이라는 뜻이다. 또 행사에 참여한 주민들은 정월대보름을 맞이하여 쥐불놀이를 행하며 여흥을 즐긴다.
[현황]
군사리의 동화제와 당산제는 옛 ‘군사리 산신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 과거 산신제는 온 마을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시행되었다. 제장 정비나 제물 준비, 제의 시행 등 모든 것이 주민들의 정성 속에서 이루어졌다. 제의의 말미에는 주민 소지를 올렸다. 이때 집마다 한 장의 소지를 올려 주어, 제관이 140여 호의 소지를 모두 올리고 나면 손바닥이 노랗게 될 정도였다고 한다. 오늘날의 산신제는 ‘군사리 동화제·당산제’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데, 기존의 마을신앙 전통을 현실에 맞게 계승하여 면민이 함께하는 행사로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