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000780 |
---|---|
한자 | 閔聖徽 |
영어공식명칭 | Min Seonghwi |
이칭/별칭 | 사상(士尙),사상(士祥),용졸당(用拙堂),숙민(肅敏),민성징(閔聖徵)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근호 |
출생 시기/일시 | 1582년 - 민성휘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 - 민성휘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609년 - 민성휘 증광시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12년 - 민성휘 강원도도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14년 - 민성휘 영변판관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23년 - 민성휘 여주목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25년 - 민성휘 전라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27년 - 민성휘 형조참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630년 - 민성휘 평안도관찰사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42년 - 민성휘 호조참판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46년 - 민성휘 호조판서 제수 |
몰년 시기/일시 | 1647년 - 민성휘 사망 |
출생지 |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
묘소|단소 | 민성휘 묘소 -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여흥(驪興) |
대표 관직 | 병조판서 |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민성휘(閔聖徽)[1582~1647]의 본관은 여흥(驪興)이며, 초명은 민성징(閔聖徵), 자는 사상(士尙, 士祥), 호는 용졸당(用拙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승지 민기문(閔起文)이고, 할아버지는 민이(閔涖)이다. 아버지는 호조정랑 민유부(閔有孚)이고, 어머니는 정척(鄭惕)의 딸 해주 정씨(海州 鄭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의정(李義貞)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 두 번째 부인은 이흡(李洽)의 딸 한산 이씨(韓山 李氏), 세 번째 부인은 황정열(黃廷悅)의 딸 창원 황씨(昌原 黃氏)이다. 아들은 민진량(閔晉亮)·민사량(閔思亮)이고, 사위는 오두인(吳斗寅)·이갑(李柙)이다. 형은 민성후(閔聖後)·민성도(閔聖徒), 동생은 민성복(閔聖復)이다.
[활동 사항]
민성휘는 1582년(선조 15) 부여 임천[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1605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09년(광해군 1)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문원정자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북평사(北評事)를 거쳐 예조와 공조, 형조의 좌랑을 지냈다. 1612년 강원도도사로 부임하였고, 1614년 영변판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금산군수를 거쳐 1620년 여주목사를 역임하였으며, 1623년 동부승지로 있을 때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능양군(綾陽君)[인조(仁祖)]를 호위해 인목대비가 있는 경운궁(慶運宮)으로 나아갔다.
민성휘는 인조반정 이후 경상도관찰사와 개성유수를 거쳐 1625년(인조 3)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갔으며, 정묘호란 때 세자가 분조(分朝)를 이끌고 전주에 이르자 적절하게 공궤(供饋) 등을 대응하였다. 1627년 형조참판에 제수되었고, 1628년 숭정제(崇禎帝) 즉위를 축하하는 사절단의 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안동도호부사가 되었다. 1630년 한성부우윤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로 재직 중에는 산성을 정비하여 국방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1634년 병조참판에 임명되었다가 함경도관찰사로 부임하였고, 1637년 평안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
1640년 민성휘는 척화파 대신 중 한 명으로 지목되어 청나라 심양(瀋陽)에 끌려가 구금되었다가, 1642년 귀국하여 호조참판에 제수되었다. 1643년(인조 21) 호조판서 겸 도총관에 임명되었으나 청나라에서 민성휘의 관직 제수를 문제 삼자 파직되어 임천으로 낙향하였다. 1646년 호조판서를 거쳐 형조판서에 제수되었고, 1647년 사은사(謝恩使)의 부사에 임명되어 사행을 떠났다가 도중에 병이 들어 연경(燕京)에 도착하자마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민성휘의 저서로는 『송경방고록(松京訪古錄)』이 있다.
[묘소]
민성휘의 묘소는 지금의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에 있다고 전한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