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회암사지 출토 청기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586
한자 檜巖寺址 出土 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서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98년 - 양주 회암사지 발굴 조사
현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 6가 168-6]
원소재지 양주 회암사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양주 회암사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14-3
성격 청기와
재질 소조
크기(높이, 길이, 너비) 45㎝가량[길이]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지(檜巖寺址) 8단지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청기와.

[개설]

청기와는 평기와에 유약을 발라서 청색의 색채가 드러나도록 번조한 것이다. 특히 중국 명나라에서 성행하였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세종 대에 처음으로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형태]

회암사지 출토 청기와는 양주 회암사지 발굴 조사 시 왕의 집무 공간으로 사용되었던 정전(正殿)의 옆에 위치하는 대장전 터에서 발굴되었다. 출토된 청기와는 5점으로 모두 수키와이다. 그러나 파편이 대부분이며, 전체 길이는 45㎝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발굴 조사 결과를 보면 대장전에 청기와를 올렸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수량이 그리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대장전 지붕 전체가 청기와로 시공된 것이 아니라 용마루 중앙에만 상징적으로 올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청기와를 번조하려면 재정적 부담이 막대하였고, 또한 그 원료를 수급하기도 어려웠기 때문에 왕실과 관련된 특정한 건물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서 회암사가 갖는 높은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11.20 내용 수정 일부 문장 삭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