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395
한자 映畵
영어음역 yeonghwa
영어의미역 film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허영선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연속 촬영으로 기록한 필름상의 화상을 스크린에 투영하여 영상을 보여주는 행위 및 그 작품.

[개설]

제주 지역의 극장은 시대와 삶을 소통시켜 주는 대중문화 예술의 공간이었다. 극장의 형태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이 만든 ‘창심관’이 원조이다. 이곳에선 무성 영화를 변사의 해설과 함께 보여주었으나, 얼마 안 돼 화재로 소실되었다.

극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춘 제주 지역의 첫 극장은 1950년대 제주인이 개관한 ‘제주극장’이다. 이후 많은 극장들이 속속 생겨났다. 제주 지역에서는 아태영화제, 춘사영화제가 개최되기도 했으며, 해마다 제주영화제가 열린다. 지역의 젊은 영화인들에 의해 다큐멘터리 영상 작업 등도 이뤄지고 있다.

[제주의 극장 변천사]

1953년에 개관한 제주극장은 제주시민들의 대중문화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 주는 탈출구였다. 이어 칠성로에 1956년 12월 중앙극장이 문을 열었다. 나무 의자였고 방음이나 음향 효과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으나 현대식이어서 관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어 등장한 것이 제일극장이다. 1960년대 들어서는 코리아극장, 동양극장, 제주시민회관이 문을 연다. 1960년대 중반은 제주극장, 대한극장, 제일극장, 시민회관, 동양극장 등에서 ‘10원 균일’, ‘20원 균일’이란 홍보를 하며 영화를 상영하던 시기였다. 1970년대 후반 아세아극장과 제주극장이 극심한 경영난으로 폐업을 했다.

1980년대는 아카데미극장과 단성사, 푸른소극장 등이 개관했으나 곧 소극장들은 폐업했다. 1990년대에는 아카데미극장, 피카디리극장, 탑동시네마 등이, 2000년대에는 코리아극장, 시네하우스, 아카데미극장 등이 새롭게 최신 시설을 갖춘 극장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현황]

1992년 2월 22일 한국영화인협회 제주도지회가 발기인 총회를 개최하면서 제주영화인협회가 탄생, 활동하고 있다. 1999년 6월 5일 영화배우 신영균이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에 설립한 신영영화박물관은 국내 유일의 대형 영화 박물관으로 특히 중국, 일본의 한류 마니아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최초로 제주 지역을 소재로 한 영화는 한라산을 배경으로 한 「해의 비곡」(1924)이다. 1940년대부터는 문화 영화와 기록 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1946년의 「제주도 풍토기(濟州島 風土記)」(이용민 감독·각본, 1946)는 삼다도 제주도의 풍물을 촬영한 문화 영화이다. 조선영화사가 촬영 기술이 뛰어났던 이용민 감독을 기용해 제주도의 명소들을 샅샅이 기록한 것이다.

지금까지 제주도를 무대로 하거나 배경으로 한 영화는 「이재수의 난」, 「연풍연가」, 「인어공주」 등 200여 편이 넘는다. 제주 지역에서 자생한 4·3 영상 다큐멘터리 제작 활동도 활발하다.

김동만 감독의 주도로 제작된 「다랑쉬의 슬픈 노래」(1993), 「잠들지 않는 함성, 4·3항쟁」(1995), 「제주도의 메이데이의 실체」(1998), 4·3사건 체험자들의 증언을 영상으로 기록한 다큐멘터리 「본풀이」(4·3다큐멘터리제작단, 1998) 등이 4·3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이다.

또한 인권 영화제 상영작인 「무명천 할머니」(1999), 「유언」(1999)은 대학가 등지에 널리 유포돼 4·3사건을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해왔다. 제주의 정체성에 대한 영화적 접근과 실험 정신을 중시한 독립 영화 제작소 ‘설문대영상’은 작고한 김경률 감독을 대표로 4·3극영화 「끝나지 않는 세월」을 제작하는 등 활발한 영상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한편 제주도 차원에서 영상 산업을 발전시키고, 관광, 영화 관련 산업 유치, 고용 효과 창출을 도모하며, 제주도를 21세기 국제 영화, 영상 문화 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 2003년 제주영상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2005년 문화관광부의 지역영상미디어센터 건립 지원 사업 대상 지역으로 확정됨에 따라 20억 원을 투입, 제주시 제주민속관광타운을 리모델링해 제주영상미디어센터가 2006년 개관했다.

제주영상미디어센터에는 3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전용 상영관을 비롯, 영화와 드라마를 제작, 편집할 수 있는 각종 녹음 시설 등이 갖춰졌고, 영화 촬영에 필요한 기자재와 장비도 마련되어 있어 영상 제작을 지원하고 영상 미디어 교육 등도 추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21세기 영상 시대를 맞아 각 자치단체마다 국내외 영상물 제작 유치를 위한 경쟁 시대에 돌입했다. 천혜의 자연 풍광을 자랑하는 섬 제주도는 영화 촬영지가 관광 자원화되면서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제주도는 영상 촬영지 최적지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일대 도약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제주 지역을 배경으로 한 영화의 양적 팽창과 더불어 질적으로 수준 미달인 영화들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드라마나 영화의 촬영지로 인해 자연 경관이 심하게 훼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되는 점은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