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7년 3월에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가 주도한 24시간 시한부 총파업. 1947년에 접어든 후에도 남한의 사회경제 정세는 호전되지 않아 쌀 부족으로 인한 기근과 실업문제 등이 전년도 못지 않게 심각하였다....
-
1991년 12월부터 1993년 7월 사이에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있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임금협상 및 단체협약 갱신 협상 결렬로 발생한 노사분규. 대구 지역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노사분규인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노동조합은 1990년 12월 20일부터 노사간 단체협약 갱신을 위한 단체교섭과 임금인상을 위한 단체교섭을 19차례나 진행하였다. 그러나 노조 측이 제시한 기본급 1...
-
1989년 대구광역시에 있는 남선경금속 노동조합이 임금인상을 위하여 벌인 파업. 1989년 6·29선언 이후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 있는 알루미늄 제조업체인 남선경금속 노조원 1,000명이 기본급 10만 5000원 인상과 상여금 200%에서 400%로 지급, 가족 및 장기근속 수당 인상 등을 조건으로 임금인상을 요구하였다. 협상이 결렬된 후 1989년 2월 23일 남선경금속 노동...
-
1989년 대구광역시에 있는 남선물산 노동조합이 임금인상 투쟁을 위하여 일으킨 파업. 6·29 선언 이후 정치적 민주화가 진행되던 시기에 경제성장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노동자들이 단체교섭과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분규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남선물산 노조도 임금인상을 위하여 1989년과 1990년에 임금투쟁을 벌였다. 1989년 임금투쟁에서, 남선물산 노조 측은 임금을...
-
1946년 2월 대구광역시 남조선전기 대구지점에서 노동자의 해고를 반대하며 일어난 노동쟁의. 1946년 2월 말부터 남조선전기 대구지점에서 새로운 쟁의가 시작되었다. 남부지방을 시장으로 하는 남조선전기는 서울 및 중부지방의 경전전기, 관서 지방의 서전전기와 함께 유명한 전기회사였다. 남조선전기 사장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장직상이었다. 장직상의 남조선전기 사장...
-
일제 강점기 달성군에서 피폐된 농촌 개선을 명목으로 실시된 일제의 농업 정책. 농촌진흥운동은 1930년대 일제의 조선 지배와 세계 대공황으로 피폐된 조선 농촌을 개선시킨다는 명목으로 실시된 일제의 농업 정책이다....
-
1958년 1월 13일에 있었던 대구 지역 이용사노조의 노동조건 개선을 위한 노동쟁의. 대구 시내에 산재한 280여 개 이발관 종업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대한노총 대구지부 이용사노동조합에 가입하였다. 1957년 말부터 사용자 측과 노동조건의 개선을 위하여 교섭을 벌여 왔으나 사용자 측이 불응하여 단체교섭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었다. 1958년 1월 13일 대구 지역 이용사노조는...
-
일제강점기 대구 지역 인력거조합에서 임금 문제로 일으킨 노동쟁의. 일제강점기 대구인력거조합에는 기생만 태우는 경일조(京一組), 남문조(南門組), 대성조(大成組), 서성조(西城組) 등 4개 하부 조합이 있었다. 인력거부 80여 명이 1924년 2월 1일 만경관에서 모여 대구인력거노우회를 결성하고, 인력거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호·향상·단결하고자 활동하였다. 대구인력거조합은 주로 임금...
-
1924년 대구 지역 조선제사공장의 여성 노동자들이 노동조건 개선을 위하여 일으킨 노동쟁의. 1921년 대구 지역 공장 수는 100여 개, 노동자 수는 3,000여 명이었고, 1926년 공장 수는 200여 개, 노동자 수는 5,000여 명이었다. 주로 연초업, 제망업, 제사업 등 경공업 중심 공장이 주를 이루었다. 1920년대 대구 지역을 대표하는 제사(製絲) 공장이 바로 조선생사...
-
1934년 대구 지역에서 운송 노동자들이 일으킨 노동운동. 조선운송회사는 1930년 5월 24일 자본금 700만 원으로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조선운송회사는 사장 무라카미기이치[村上義一]를 비롯하여 부사장, 전무, 이사, 감사 모두 일본인이었으며, 대주주는 주로 중일본통운회사(中日本通運會社), 조운영락회(朝運永樂會), 조선신탁(朝鮮信託), 조선우선(朝鮮郵船), 오사카상선[大阪商船]...
-
대구광역시 택시기사들이 사납금 인하, 부제 완화, 노조 결성 허용 등을 요구하며 벌인 파업. 대구 지역 택시기사 파업은 불안정한 수입과 열악한 근로조건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통금이 해제되면서 사납금 인상으로 새벽 4시까지 운행해야 하고, 일정한 급료나 상여금 없이 사납금을 채운 나머지 돈으로 생계를 해결하므로 택시기사들은 생활이 불안정한 상태였다. 또한 제5공화국 출범으로 산별...
-
1959년 대구 지역에 있던 대한노총 섬유노조 산하 15개 방직공장 단위 노조가 일요 휴무제를 관철하기 위하여 벌인 노동쟁의. 1959년 2월 21일에 대한노총 섬유노조 산하 15개 방직공장의 단위 노조에서 1일 8시간 노동의 실현을 요구하는 쟁의를 제기하였으며, 1959년 10월에는 대구 합동직물 노동조합에서 일요 휴무를 요구하면서 쟁의를 벌였다....
-
1925년 9월 15일 대구노동친목회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일으킨 노동쟁의. 대구운수노동자친목계는 1923년 7월경 설립되었다. 신재모·김광서·김학삼·서병하·김성곤·장춘동 등 6명이 주축이 되어 운수 노동자 30여 명을 규합하여 설립하였다. 대구역은 대구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곳이자, 각종 문물이 모여드는 집산지였다. 따라서 물건을 나르는 일용직 날품팔이 육체노동자가 밀...
-
1926년 대구노동친목회가 임금 인하를 단행한 진목운송점을 상대로 일으킨 노동쟁의. 운수 노동자 친목계는 1923년 7월 설립되었다. 신재모, 김광서, 김학삼, 서병하, 김성곤, 장춘동 6명이 주축이 되어 운수 노동자 30여 명을 규합하여 설립하였다. 대구역은 대구에서 가장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곳이자, 각종 물산이 유통되는 집산지였다. 따라서 물건을 나르는 일용직 날품팔이 육체노...
-
1927년 11월 대구 지역 대구노동회 소속 정미공 노동자들이 임금 인하를 반대하며 일으킨 노동쟁의. 운수 노동자 친목계는 1923년 7월 설립되었다. 신재모, 김광서, 김학삼, 서병하, 김성곤, 장춘동 6명이 주축이 되어 운수 노동자 30여 명을 규합하여 설립하였다. 대구역 화물 운반 노동자 400여 명은 1925년 10월 23일 오후 1시 만경관에서 창립총회를 열어 친목계의 명...
-
1960년 개별 사업체 노조 결성에 반대하여 벌인 대구시내 버스 및 택시 총파업. 1960년 9월 16일 대구에서 시내버스와 택시 860대가 2시간 동안 총파업을 감행하였다. 대한노총 산하의 대구 자동차 노조원들이 독립 노조를 결성하려는 협성자동차노동조합의 대회장으로 몰려와 대회의 불법성을 규탄하려 하였다. 그러나 양측의 물리적 충돌을 우려하여 경찰이 대구 자동차 노조원들을 제지하...
-
1983년 대구은행노동조합이 추진한 4급 대리급 직원 노동조합 가입. 1967년 11월 2일 결성된 대구은행노동조합은 대구 시내에 있는 단위 기업 중에서 최대 규모였다. 1983년 12월 말 기준으로 총 직원 수 2,290명에 조합원 수 1,797명을 보유하였다. 단위 노조로 조합원 구성이 수적으로는 많았지만, 남녀 행원과 서무원 급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질적인 측면에서 다소 취약한...
-
1960년 대구광역시에 있는 전매청에서 노동자 집단해고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노동쟁의. 대구전매청 노조에서는 1960년 11월 17일 위원장 김영진을 비롯한 41명의 노동자를 집단 해고한 데 항의하여 노동 투쟁을 전개하였다. 노조는 대구전매청장 박영달의 사퇴를 요구하는 연판장 운동을 벌여 왔는데, 박영달은 반혁명 청장이라는 비난을 받아온 인물이다....
-
1955년 5월 20일 대한방직 대구공장 노동조합이 회사 인수로 인한 인원 정리에 반발한 노사분규. 대한방직 대구공장은 1955년 5월 20일 조선방직 대구공장을 설경동이 불하받은 것이었다. 이에 공장 인수에 따른 인원 정리가 대한방직 대구공장 쟁의의 시발이었다. 사장 설경동은 공장을 인수받아 2,600명의 근로자를 해고하였고, 근로기준법에 보장된 해고수당이나 법정 제수당을 지급하...
-
1964년 대구광역시에 있는 삼호방직 노동조합이 집단해고에 반발하여 일으킨 노동쟁의. 1964년 11월 20일에 삼호방직은 노후 시설 폐쇄를 이유로 노동자 110명을 집단 해고하였다. 1965년 1월 7일에 해고 노동자에게 1개월분의 위로금을 지급하자 노동자들이 심한 반발하였고, 1965년 1월 14일에 삼호방직 노동자 1,759명 전원이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쟁의를 벌였다....
-
1989년 대구 지역에서 발생한 노동쟁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버스지부 임금투쟁은 대구광역시에서 1989년 임금협상을 둘러싸고 발생한 노동쟁의이다. 1989년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버스지부[지부장 진남식]는 전국 6개 도시 동일 임금 교섭안을 가지고 6월 15일부터 임금 29.1% 인상, 근속수당 1만 원, 교통비 1일 1,000원 지급을 요점으로 하는 1989년 임금협상...
-
1960년 6월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에 있는 제일모직 대구공장에서 노조 운동 방해로 발생한 노동쟁의. 1960년 6월 14일 제일모직 대구공장 여공 약 400여 명이 단식투쟁에 들어갔다. 제일모직 대구공장 여공들의 요구조건은 부당노동행위 즉각 중지, 152명에 대한 불법 휴직 조치 철회, 불법 폐업을 중지하고 정상 작업을 실시할 것이었다. 제일모직 대구공장 여공들은 회사 측의 휴...
-
1991년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의 파티마병원에서 있었던 노사 간 임금 교섭 결렬로 발생한 노사분규. 파티마병원 노사분규가 발생한 이유는 노사 간 임금 교섭에 따른 기본금의 차이이다. 노조 측은 기본급 4만 9461원 인상을 주장한 반면 병원 측은 기본급 5% 인상[1만~2만 원]안으로 맞서 임금협상이 결렬되면서 파티마병원 노동조합 측이 1991년 5월 4일 병원노련 산하 동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