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0912
한자 褒忠祠
영어공식명칭 Pochungsa Templ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금학로425번길 32[화지리 산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학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665년연표보기 - 포충사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90년 - 포충사 이전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포충사 이전 개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5년 9월 13일 -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99년 - 포충사 정조 사액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83년 - 묘정비
현 소재지 포충사 -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금학로425번길 32[화지리 산1-1]지도보기
원소재지 포충사 - 강원도 철원군 철원부 화전리
성격 사우
소유자 관내 유림 철원군 및 안동김씨종중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정의]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김응하의 절의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우(祠宇).

[개설]

포충사(褒忠祠)는 1665년(현종 6) 강원도 철원부 화전리에 세워진 사우(祠宇) [사액 1668년]이다. 1683년 사우 앞에 묘정비(廟庭碑)가 세워졌는데, 송시열(宋時烈)이 글을 쓰고 박태유(朴泰維)가 글씨를 썼으며 김수항(金壽恒)이 글자를 새겼다. 1799년 정조가 자필로 쓴 어시(御詩)를 내려 현판에 걸어 두었다. 어시는 다음과 같다. “남아성명문사이(男兒聲名聞四夷)[남아의 명성이 천하에 떨치니] 요동화고해동자(遼東華詰海東姿)[요동백 추증의 화로운 사령은 조선의 면목이다] 심하노유여인립(深河老柳如人立)[심하의 늙은 버들이 서 있는 사람 같으니] 여시장군의검시(如是將軍倚劍時)[알겠도다 장군이 검을 잡았던 옛 일을].”

광복 후와 6·25전쟁 때에는 향교가 유치원으로 쓰였으므로 포충사에 향교에 모셨던 선현의 위패를 옮겨 놓았으나 6·25전쟁 때 모두 불탔다.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는 민간인출입통제선 안에 있던 것을 3군사령부 안으로 옮겼다가 1984년 4월 3일 현 포충사로 이전하였다. 8·15 광복 전에는 포충사에서 제례를 지낼 때 상당히 거대하였는데 전야제 때는 남자들이 싸리나무를 묶어 만든 횃불을 밝혀 축제 분위기를 만들었다. 이를 거화대령(炬火待令)이라 하였다. 포충사는 1990년 현재 위치로 옮겨 지었다.

[건립 경위]

포충사요동백 김응하 장군의 무공과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위치]

포충사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 산1-1에 있으며, 철원향교와 인접해 있다.

[형태]

포충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되어 있다. 서재와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5호]와 포충사 사적비가 있다.

[현황]

포충사김응하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제향(祭享)은 1년에 1회 철원향교 제향 다음 날에 지낸다. 요동백 김응하장군 묘비도 사우 앞에 옮겨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김응하 장군을 배향하는 포충사는 철원 외에도 평안도 선천군[의열사]과 창성군[충렬사] 그리고 함경도[충렬사]에도 있었다. 강원도 철원군에 있는 포충사는 6·25전쟁으로 전소되었음에도 복원되어 현재까지 제향을 지내고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