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331
한자 巫俗
영어공식명칭 Shamanism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창언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 지역에서 행해지는 무당과 관련된 풍속.

[개설]

무속은 무당과 관계된 한국의 전래 신앙, 종교적 행위들을 망라한다. 무속의 기본 제의(祭儀)는 크게 셋으로 가신(家神)에게 기원하는 제의, 마을의 수호신에게 기원하는 제의. 그리고 초자연적 존재의 힘을 빌려 개인의 길흉을 점치는 점복 의례 등이 그것이다. 무속의 신은 하나가 아닌 다양한 존재들이며, 신을 모시는 공간은 굿당으로 칭해진다. 무당은 대부분 굿당에서 제의를 행하지만 마을, 가정에서도 신을 초청하여 굿을 벌이기도 한다. 청송군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무속의 흔적은 객귀물리기, 자동차고사 등이 있다.

[안택]

주왕산면 주산지리 상이전마을에서는 집을 짓고 난 다음이나 매년 겨울 안택(安宅)[집안에 모신 신령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을 할 때, 안택고사를 무당이 주관하였다. 청송읍이나 진보면 등지의 무당을 불러 돈과 쌀이나 콩 등의 곡식을 주고 안택을 하였다.

[객귀물리기]

객귀(客鬼)는 제사를 지내 줄 후손이 없이 죽은 무주고혼(無主孤魂)이나, 장례를 제대로 치르지 못한 망자의 혼백이다. 이들은 조상신이 되지 못한 원한에 사무쳐 이승을 배회하다 산 사람에게 붙어 해를 입힌다고 믿어진다. 예로부터 청송 지역에서는 별 다른 이유 없이 아픈 사람이 생겼을 때, 점쟁이를 찾아 원인을 살피게 했다. 점쟁이가 객구가 들었다고 하면, 곧이어 객구물리기를 하였다. 우선 된장국을 끓여 객구가 물러나도록 축언(祝言)을 하였으며, 그다음 칼로 환자의 머리카락을 베어 내고, 환자가 바가지에 침을 세 번 뱉게 한 뒤 바가지를 내던졌다. 그러고 난 뒤 추가적인 축언을 하며 칼을 문밖으로 던졌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객귀가 환자의 몸에서 떨어져 나가며 병이 치유된다고 한다.

[자동차고사]

청송군 지역은 전형적인 산간 농촌 지역으로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이 많아 자동차는 생활필수품의 일종이다. 청송군 사람들은 일반 승용차나 여가용 자동차, 소형 트럭을 자가용으로 운행하며 트랙터, 경운기와 같은 농기구도 빈번히 사용한다. 이러한 교통수단과 농업 기계를 구입했을 때는 자동차고사를 올리는데, 자동차의 운전석 방향을 향해 정면에 상을 차린 뒤 제물을 진설하고, 차주와 다른 사람들이 뒤이어 절을 올리고 술을 잔에 부어 자동차 바퀴에 뿌리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이러한 자동차고사는 현대의 문물과 전통적인 액막이가 현대적으로 결합한 산물이다.

[마을신앙]

과거와는 달리 현재 청송군 지역의 동제(洞祭)에서 무당에 의한 굿이나 마을굿의 방식으로 진행되는 무속형 제의를 전승하는 곳은 드물다. 대부분 유교형 제의로 변경하거나 중단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현서면 화목2리의 원화목마을에서는 매년 단옷날 자시 무렵에 마을 입구의 당나무에서 무당으로 하여금 당굿을 통해 동제를 지냈다. 이런 방식의 제의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자 1970년대에 유교형 제의로 바꿨다.

[무속인들의 의례장소]

주왕산면 주산지리 상이전마을 일대는 영험한 기운이 있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어, 무속인이나 일반인들이 치성을 드리러 오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상이전마을에서 주산지 방면의 골짜기는 ‘절골’이라 불리며, 치성을 드리러 오는 사람이 특히 많았다. 이곳에서 치성을 드리기 위해 바위틈에 촛불과 제물(祭物)을 놓고 빌었는데, 제물을 두고 가는 사람이 많아 주변 환경을 오염시켰다. 현재는 주산지 일대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음식물을 반입할 수 없기 때문에 치성을 드리러 오는 사람들도 빈손으로 방문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4.05 행정지명 현행화 부동면 -> 주왕산면, 이전리 -> 주산지리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