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2672 |
---|---|
한자 | 新院里禪長- |
영어음역 | Sinwon-ri Seonjang Seonangdang |
영어의미역 | Village Guardian Shrine of Seonjang Village in Sinwon-ri |
이칭/별칭 | 박석고개 서낭당,배오개 서낭당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민간 신앙 유적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이숙 |
성격 | 서낭당 |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선장마을에 있는 서낭당.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 선장마을에는 박석고개 서낭당과 배오개 서낭당이 있는데, 이들 서낭당은 각각 포곡읍과 모현읍의 경계 지점인 박석고개와 배오개고개에 있다. 박석고개는 일명 ‘고밀고개’라고도 하며, 선장마을 사람들이 모현장을 갈 때 주로 이용하던 고갯길이었다. 박석고개 서낭당이 있는 부근에는 예전에 여덟 무당이 묻혀 있다는 ‘팔무당터’가 있다.
배오개 서낭당이 있는 배오개고개는 ‘아홉머리고개’라고도 하는데, 예전에는 경상도 등지에서 과거를 보러 한양에 갈 때 주로 이용하는 길이었다. 곧 배오개고개는 모현읍 매산리와 광주 오포읍 문형리, 모현읍 능원리, 말죽거리(현 양재동), 서울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지였다.
박석고개 서낭당과 배오개 서낭당은 신원리 선장마을 마을회관에서 각각 1.5㎞ 정도 떨어진 포곡읍과 모현읍의 경계 지점인 박석고개와 배오개고개에 있다. 두 서낭당 사이의 거리는 직선거리로 약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박석고개 서낭당과 배오개 서낭당은 모두 신목과 돌무더기로 된 형태이다. 현재 두 서낭당의 돌무더기는 사라지고 없다. 박석고개 서낭당의 신목은 참나무 고목이며, 서낭나무 밑에는 치성을 위한 자그마한 건축물을 만들어 놓았다.
형태는 높이와 길이가 60㎝ 정도 내외의 크기로, 삼면에 돌을 쌓고 그 위에 슬레이트를 얹어 치성 때 눈이나 비, 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배오개 서낭당의 신목은 벚나무인데, 고목은 없어지고 새로 나온 것이다.
선장마을의 두 서낭당은 동제의 대상이 아니라 개인 치성을 드리던 신당이었다. 예전에는 서낭당을 지날 때 돌멩이를 한 개씩 던지고 갔으며, 집안에 우환이 있을 때는 무당을 불러다 개인 치성을 드리기도 했다. 서낭당 앞으로 상여가 지나가서는 안 되며, 서낭나무에 함부로 손을 대서는 안 된다는 금기가 전해 온다.
현재 서낭당에 대한 의례는 거의 사라졌으나 박석고개 서낭당의 경우 지금도 무당들이 치성을 드리는 신앙처로서의 구실을 하고 있다. 박석고개 서낭당이 있는 길은 1970년대에 새로 낸 길이나, 배오개 서낭당이 있는 길은 30여 년 전부터 이용하지 않게 되면서 치성이나 의례도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