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888
한자 韓逑孝子旌門
영어음역 Han Gu Hyoja Jeongmun
영어의미역 Monument Shrine to the Filial Piety of Han Gu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 중대마을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양윤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려
양식 익공식 목조 한식 골기와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조선 전기|조선 후기[중수]
정면칸수 1칸
측면칸수 1칸
소재지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 중대마을
소유자 광주한씨 문중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 중대마을에 있는 조선 전기 효자 한구의 정려각.

[개설]

한구(韓逑)[1376~1447]의 본관은 광주로, 다섯 살 때 부친을 여의고 장성하여 모친상을 당하였다. 이에 두 분을 합장하고 광주의 여막에서 육 년간 상복을 벗지 않고 몸소 상식을 올렸으며, 혹 사람과 더불어 말할 때라도 이가 드러나지 않았고, 상기를 마칠 때까지 한 번도 집에 들어오지 않으며 피눈물을 흘려 상기를 마쳤다고 한다. 이러한 효성이 귀감이 되어 유림이 조정에 상소하므로 1446년(세종 28)에 정려문을 내리고 성균진사로 표정하였다.

[변천]

약 70년 전 광주군에 있던 효자정문과 묘소를 이곳 중대마을로 옮겨 왔다. 익공의 형식이나 전체적인 치목 수법으로 볼 때 현존하는 건물은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형태]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익공식 겹처마 맞배집이다. 정려각 전면에는 홍살을 넣어 개방하고 중방 아래로 출입문을 내었으며, 측면과 후면은 벽체로 막았다. 측면과 후면의 중방 아래는 화방벽을 쌓았다. 조선시대 정려각의 일반적인 특징을 갖추고 있다.

[현황]

정려각 내부에 정려문 편액과 한구의 효행을 기록한 효행기가 함께 걸려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1.04 [개설] 수정 이러한 효성이 귀감이 되어 사림이 조정에 상소하므로 ->이러한 효성이 귀감이 되어 유림이 조정에 상소하므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