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422 |
---|---|
한자 | 閔升鎬墓 |
영어음역 | Min Seungho Myo |
영어의미역 | Tomb of Min seungho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주홍 |
성격 | 묘 |
---|---|
양식 | 원형합장분 |
건립시기/일시 | 조선 후기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민승호의 묘.
민승호(閔升鎬)[1830~1874]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복경(復卿),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민치구(閔致久)의 아들로 민치록(閔致祿)에게 입양되었으며,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오빠이다.
민승호의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하동의 민재궁마을 흥국생명연수원 왼쪽 구릉의 풍창부부인(豊昌府夫人) 조씨(趙氏) 묘소 아래에 있다.
처음에는 서부(西部)의 연화봉(蓮花峰)에 장례하여 후실(後室) 김씨 묘의 우측에 있었으나 동부(東部) 안암동(安巖洞)으로 이장하였다. 그뒤 1898년(고종 35)에 용인 수동(壽洞) 언덕으로 다시 이장하였다.
묘는 후실 김씨와의 합장묘이며, 원형의 봉분이다. 봉분 중앙에 혼유석·상석·향로석이 있고, 상석 좌우로 망주석·문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석물 중 혼유석·상석·향로석은 새로 교체된 것이다. 원래 향로석은 봉분 왼쪽에 놓여져 있었다. 묘갈(墓碣)은 팔작지붕 옥개석 양식으로 봉분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비문은 4면에 있으며, 비신 상부의 전액(篆額)은 “병조판서증영의정시충정여흥민공묘갈명(兵曹判書贈領議政諡忠正驪興閔公墓碣銘)”이라고 쓰여 있다. 비문은 홍문관 대학사 김영수(金永壽)가 찬하고 민영환(閔泳煥)이 쓴 묘갈문을 각자하였으나 전액을 쓴 사람은 기록하지 않았다. 건립 연대는 1899년(고종 36)이다.
민승호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는 곳은 ‘민재궁’이라 지칭될 정도로 민씨 일가 여럿의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묘역과 석물, 묘갈의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조선 후기의 묘역과 석물의 양식사를 검토하는 데 우수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