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006
한자 地形
영어음역 Jihyeong
영어의미역 Landform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동희

[정의]

경기도 용인 지역의 지표면의 기복 및 모양이나 형태.

[개설]

용인시는 전체적으로 요철 정도가 작은 전형적인 저평한 구릉성 산지이다. 일반적으로 기복이 높은 곳은 산지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곳은 평야와 계곡이 된다. 계곡이나 평야에는 하천이나 호수 또는 저수지가 있어 그 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결정하게 된다.

한반도 전체적인 입장에서 보았을 때 용인시 일대는 광주산맥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300m 내외의 구릉성 산지와 곡저 평야로 구성되어 있다. 시 중 가장 높은 산지는 동부에 위치한 말아가리산으로 높이는 595m이다.

경부고속국도영동고속국도를 비롯하여 국도와 지방도 등 교통로가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지가 높지 않기 때문에 터널이 많지 않고 대부분이 고개를 통과한다.

용인시 북서부 내륙에 위치한 석성산[471m]의 북쪽 사면으로 통과하는 마성터널이 대표적이다. 구릉성 산지는 개발이 용이하여 골프장을 비롯한 각종 리조트 건설에 활용되고 있다.

[지형 분포]

용인시의 지형은 시의 중심부에서 동-서로 이어지는 부아산·함박산·문수봉·독조봉 등의 산지를 중심으로 크게 북부와 남부 두 지형 구조로 구분된다. 가장 높은 산지는 시의 북서부에 집중되어 있다. 이곳에는 시의 최고봉인 광교산·형제봉·백운산·바라산 등이 거대한 하나의 산체를 이루고 있다.

용인시의 산지 중 북서부의 광교산·형제봉·백운산, 북부의 숫돌봉·노고봉, 동부의 건지산, 남동부의 봉의산·대덕산·비봉산, 남부의 경수산·쌍령산·묘봉, 남서부의 화성산 등은 경기도 의왕시·성남시·이천시·음성군·안성시·화성시·수원시 등 타 행정구역과 경계가 구분된다.

용인시 내에서도 산지는 행정 구분의 경계로 이용되는데, 법화산모현읍기흥구 마북동의 경계가 되며, 석성산포곡읍기흥구 동백동, 구만이산모현읍포곡읍, 부아산함박산처인구 남동삼가동이동읍의 경계를 짓고 있다.

그리고 함봉산과 달봉산은 이동읍남사면, 문수봉처인구 해곡동원삼면, 독조봉양지면원삼면, 구룡산·석술암산·수정산원삼면백암면, 형제봉양지면처인구 운학동의 경계를 각각 이룬다.

이들 행정 경계를 이루는 산은 비교적 연속성이 강한 산지성 지형이다. 그러나 모현읍문수산, 달기산, 포곡읍의 시루봉, 이동읍삼봉산·시궁산, 양지면금박산 등은 비교적 독립성이 강한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있다.

[하계망]

하계망은 그 지역의 지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용인시의 하계망은 용인시의 지형 특징을 반영하여 크게 북부 수계와 남부 수계로 구분된다. 용인시의 두 수계 경계는 부아산·함박산·문수봉·독조봉을 동-서로 연결하는 분수령이다.

북쪽 수계의 대표적인 하천은 경안천이다. 경안천문수봉 북서 사면에서 발원하여 용인시 중심부를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여 흐르다 한강으로 유입한다. 경안천은 용인시에서 가장 크고 대표적인 하천으로 운학천·어둔천·양지천·남곡천·평대천·주북천·금어천·능원천 등 많은 지류 하천이 경안천으로 흘러든다.

용인시 중심부는 경안천과 운학천·양지천·주북천 등이 합류하는 곳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남쪽 수계로는 청미천·목신천·진위천이 있다. 발원지는 다르지만 용인시 북서쪽에서는 북부 수계인 탄천과 남쪽 수계인 신갈천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탄천기흥구수지구의 시가지 형성에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유역분지]

용인시 관내 하계망을 분석해 볼 때 용인시의 유역분지는 크게 6개 유역으로 구분된다. 탄천 유역 분지, 신갈천 유역 분지, 진위천 유역 분지, 목신천 유역 분지, 청미천 유역 분지, 그리고 경안천 유역 분지가 그것이다.

이중 탄천 유역 분지와 경안천 유역 분지는 한강 상류의 유역 분지이며, 청미천은 남한강 상류의 유역 분지이다. 신갈천 유역 분지는 오산천 상류 유역 분지이며, 진위천 유역 분지와 목신천 유역 분지는 안성천 상류의 유역 분지이다.

대부분은 가늘고 긴 유역 분지 모양을 하고 있으나 청미천 상류 원삼면 일대는 비교적 넓고 평탄한 분지 모양을 하고 있다. 원삼면 사암리 일대 용담저수지 북부 사면에는 전형적인 산록 완사면 지형이 발달해 있다.

[하천차수]

하천차수는 그 지역의 지형적 특징과 하천의 특징을 동시에 반영하는 것으로서 지형 해석에 주요한 요소가 된다. 용인시 관내를 흐르는 하천들은 주로 하천의 상류부에 발달하기 때문에 대부분 1차수 하천이나 2차수 하천이며, 경안천만이 유일하게 3차수 하천이다. 이는 용인시 관내 하천의 규모가 크지 않고 단순한 것을 의미한다.

[하천]

경안천은 양수리~청평 간 북한강 골짜기와 대략 일직선상에 있는 지질 구조선을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한강의 팔당호로 흘러든다. 경안천의 경우 상류로 갈수록 오히려 산지는 점차 낮아지고 하천 연안에는 범람원과 구릉지가 비교적 넓게 펼쳐지며, 이곳에서 광주산맥은 끝난다.

경안천의 상류 하천은 처인구 문수봉 북서 사면에서 발원하는 운학천이다. 운학천으로는 형제봉에서 발원하는 지류 하천인 어둔천이 유입된다. 부아산 북동 사면에서 발원하는 금학천은 운학천 하류에서 만나 경안천이 된다. 한편, 양지면에서 발원하는 평대천과 남곡천이 처인구 북부에서 경안천에 합류한다.

역시 양지면에서 발원한 주북천과 대대천이 처인구 북부에서 경안천에 합류한다. 처인구포곡읍 경계부에서는 포곡읍 동쪽에서 발원한 금어천이 합류한다. 숫돌봉 동사면에서 발원한 능원천은 용인시 경계를 따라 동쪽으로 흐르다가 모현읍 북부 달기산 북쪽 계곡에서 경안천으로 유입된다.

기흥구에서는 탄천석성산 북서 사면에서 북쪽으로 흐르다가, 수지구 광교산 일대에서 발원한 동막천·성북천·신봉천 등과 합류한 뒤 계속 북쪽으로 흘러 한강으로 유입한다.

기흥구 남쪽에서는 신갈천이 석성산 서사면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흐르다 신갈저수지로 흘러들며 이 하천은 오산천으로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든다. 신갈천에는 신갈저수지 상류부에서 그 지류 하천인 지곡천이 합류한다. 양지면 남부 산지에서는 복하천이 발원하여 북동쪽으로 흐르다가 남한강으로 유입한다.

청미천독조봉 남부 사면에서 발원하여 원삼면백암면을 남동쪽으로 대각선 형태로 흐른 뒤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백암면 북서부에서는 구룡산 북서 사면에서 발원한 평대천 지류가 합류하며, 백암면 남부에서는 북동부로부터 흘러내리는 백봉천이 청미천으로 합류한다.

목신천은 원삼면 북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경수산과 구룡산 사이 계곡을 빠져나가 고삼저수지로 유입되고 이어 안성천을 거쳐 아산만으로 흘러든다. 진위천이동읍 함박산 남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이동저수지로 흘러든 다음 안성천으로 합류하여 역시 아산만으로 흘러든다. 남사면에서는 지류인 완장천이 그리고 그 하류에서는 통천이 진위천으로 흘러든다.

[저수지]

크고 작은 저수지가 산지 계곡에 조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곳은 이동저수지신갈저수지이다. 이동저수지이동읍 남부에 위치하며 진위천을 막아 조성되었고, 신갈저수지기흥구 남부에 위치하며 신갈천을 막아 조성되었다. 그밖에 수지구 고기동동막천 상류에는 낙생저수지, 이동읍 북부 진위천 상류에는 용덕저수지, 원삼면 북부 청미천 상류에는 용담저수지가 각각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3 행정지명 현행화 모현면에서 모현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2012.03.26 지형/지형분포 그리고 함봉산과 달봉산은 이동면과 남사면, 문수봉은 처인구 해곡동과 원삼면, 독조봉은 양지면과 원삼면, 구룡산·석술암산·수정산은 원삼면과 백암면, 형제봉은 양지면과 처인구 운학동의 경계를 각각 이룬다.
2011.03.09 본문 수정 본문 내용을 현재 현황에 맞춰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