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368
한자 高麗時代
영어음역 Goryeo Sidae
영어의미역 Goryeo Period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대중

[정의]

918년부터 1392년까지 경기도 용인 지역의 역사.

[개설]

고려는 918년 왕건(王建)의 건국 이래 1392년 이성계(李成桂)의 조선에 멸망할 때까지 34대 474년 간 존속한 왕조이며 현재의 경기도 용인 지역은 고려시대에 용구현(龍句縣)으로 지칭되었다. 고려는 통일 전쟁 기간부터 군현의 주속 관계를 통해 지방을 지배하였다. 통일을 이룬지 4년이 지난 940년(태조 23)에는 그동안 형성되었던 군현의 주속 관계를 제도적으로 추인하는 조처를 취하였다. 이로써 고려의 군현제 개편이 일단락 되었고, 당시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설치된 군현 단위의 읍호도 통일신라시대 때의 거서현이 통일전쟁 기간에 용구현으로 읍호 개명이 이루어진 그대로 용구현이라 하였다.

[고려시대의 용인]

왕건이 신라 말에 나라를 세워 후삼국을 통일하고, 성종 때에 중앙집권적인 기반을 확립시킨 후 문종 때에 이르러 귀족정치의 최전성기를 이루었다. 고려의 제도 문물이 자리 잡는 과정에서 ‘경기(京畿)’ 제도가 성립되었다. 경기는 서울을 둘러싼 지역이지만, 이것이 제도로 성립된 것은 1018년(현종 9)이었다. 『고려사』지리지의 왕경 개성부 조항에 따르면, 이전부터 존속해오던 개성부를 없애고 개성현령과 장단현령을 두어 각기 3개의 현과 7개의 현을 관장하게 하고 이를 경기라고 부른 것이 경기 제도의 시작이다.

그러나 그 모체는 이미 995년(성종 14)에 마련되었다. 태조가 왕도에 설치한 특별구역이었던 개주(開州)를 개성부로 개편하고 적현(赤縣) 6개와 기현(畿縣) 7개를 관장하게 한 것이 경기 제도의 단초라고 할 수 있다. 경기는 본래 고대 중국에 천하 사방의 중심지로서 천작 살고 있는 도읍과 그 직할지를 가리켰다. 도읍이 현실적으로 중요하고 또 도읍을 중시하는 관념이나 사상이 제도화되어 당 현종(玄宗) 때에 오면 도성의 안과 밖을 지칭하는 경(京)과 기(畿)는 일반 지방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통치 구역으로 정착되었다.

우리나라의 경기 통치 제도는 한(漢)왕조 이래 중국사에서 형성·성립된 제도를 수용한 것이었다. 수도가 제 구실을 다할 수 있도록 보호하고 도와주기 위해 설정한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고려의 경기는 중국과는 다르게 운영되었다. 특히 수도를 둘러싸고 있는 ‘지방’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고려왕조가 중국의 경기 통치제를 수용하여 이를 고려의 실정에 맞게 운영해 나갔던 것이다.

경기 제도는 고려시대에 몽고의 침입과 강화 천도 등 역사적 변화에 따라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경기가 왕경과 분명히 구분되는 하나의 도(道)로 자리 잡은 것은 1360년의 일이었다. 경기 제도의 변화에 따라 용인 지역도 변화가 있었다. 고려시대의 용인은 940년(태조 23)에 광주(廣州)를 대도독부(大都督府)로 한 전국의 주(州)·부(部)·군(郡)·현(縣)의 명칭을 고쳐 용구현(龍句縣)이라 하였다.

또한 1018년(현종 9)에 전국을 8목(牧)·56지주군사(知州郡事)·28진장(鎭將)·20현령(縣令)으로 개편할 때 용인을 광주목의 임내(任內)에 두었다. 이후 1172년에 광주에서 분리하여 감무(監務)를 두고 현감을 보직하였다. 특히 몽고와의 전쟁에서 처인성 전투로 유명해진 처인부곡은 1232년 승첩 이후 1260(원종 원년) 사이에 주현으로 승격되었다.

[고려시대 용인의 특수 행정단위]

고려시대 지방 행정 단위는 주·부·군·현 등의 호칭이 따른 군현 형태뿐만 아니라 향·부곡·소·장·처·역·진·도 등으로 불려진 특수 행정 단위 형태도 있었다. 이들 중 향과 부곡을 제외한 나머지는 고려시대부터 처음 생겨난 것으로 그 기원은 고려 태조 때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경기도 용인 지역에도 고려시대에 특수 행정 단위로 편제되었던 곳이 상당수 있다. 특히 이들은 주민이 관아 운영 경비 충당용 토지인 공해전과 군수 조달용 토지인 준전 등의 국가 직속지를 경작하던 부곡과 향 등의 형태가 대부분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 처인부곡을 들 수 있다.

이들 외에 용인 지역에 존재했던 특수 행정 단위로는 사람과 물자 이동을 신속히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역을 들 수 있다. 당시 용구현에는 구흥역김령역이 두어졌음이 확인되고 있다. 군현 단위보다 하위 또는 종속적 위치를 차지하였던 이 곳 주민들은 용구현 등 군현 단위로 파악되던 주민에 비해 사회·경제적으로 국가에 대한 부담이 컸고 신분적으로도 차별 대우를 받아 생활에 각종 불이익을 감수한 것으로 전한다.

[고려시대 용인의 도자기 생산 유적]

세계적으로 ‘도자기의 나라’로 불릴 정도로 우수한 도자기 문화를 이룩한 우리나라에서도 특히 용인 지역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도자기 생산지의 하나였다. 고려시대에 용인 지역에서 도자기를 생산한 유적은 최근까지도 발견되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의 중덕마을과 상반곡의 고려백자가마터,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의 11세기 청자가마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의 도기가마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경기도 용인시 이동읍 서리의 중덕마을에 위치한 고려백자가마터는 용인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을 만큼 주요한 유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6 행정지명 현행화 이동면에서 이동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