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집목판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55
한자 思庵集木版刻
영어공식명칭 Woodblock of Saamji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48년연표보기 - 사암집목판각 초간 제작
제작 시기/일시 1857년 - 사암집목판각 중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1월 15일연표보기 - 사암집목판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지정
현 소장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지도보기
원소재지 송호영당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46번길 46[소촌동 364-1]지도보기
성격 목판
재질 목제
크기(높이,길이,너비) 35㎝[길이]|22㎝[너비]|4㎝[두께]
관리자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

[정의]

광주광역시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사암 박순의 문집인 『사암집(思庵集)』을 발행하기 위한 만든 목판.

[개설]

사암집목판각(思庵集木版刻)은 1648년(인조 26) 사암(思庵) 박순(朴淳)[1523~1589]의 후손들이 박순의 문집인 『사암집(思庵集)』을 발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이다. 1857년(철종 8) 중간하였고, 총 180장,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눌재집목판각(訥齋集木版刻)과 함께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송호영당에 있다가 현재는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형태]

사암집목판각의 크기는 길이 35㎝, 너비 22㎝, 두께 4㎝ 내외이다.

[특징]

사암집목판각은 총 7권으로 권 1~3에는 시(詩) 583수, 권 4에는 계(啓) 2편, 서(書) 2편, 잡저(雜著) 4편, 비명(碑銘) 7편이 있다. 권 5~7은 부록으로 행장(行狀)·시장(諡狀)·신도비명(神道碑銘)·축문(祝文)·소(疏)·제문(祭文)·찬(贊)·묘문(廟文)·서후(書後)·발(跋)·시(詩)·만사(輓詞)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사암집목판각은 조선시대 전라도 광주 지역을 기반으로 한 유학자의 행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조선 후기의 목판 제조술과 인쇄술의 변천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