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웃다리풍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647
한자 -風物
영어음역 Utdari Pungmul
영어의미역 Utdari Farmers' Band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놀이/놀이
지역 경기도 용인시
집필자 김호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시기 두렛일을 할 때

[정의]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농부들이 두렛일을 할 때 흥을 돋우기 위해 행하는 놀이.

[개설]

웃다리풍물은 본래 모내기나 김매기를 할 때 농사일의 수고를 덜고 흥을 돋기 위해 하는 놀이로서, 각 지방 특유의 장단과 판굿 모임이 결합되면서 짜임새 있는 연희로 발전하였다. 용인 지역에서는 웃다리가락을 바탕으로 ‘진풀이’와 ‘채상’ 등의 여러 가지 신체 기예를 보여주고 있다.

[연원]

풍물에 사용되는 북은 삼국시대에 이미 중요한 악기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세조는 농사를 장려하고자 농가(農歌)를 짓고, 노래 잘하는 기생 중에서 농가단 아홉 사람을 선정하여 농가를 부르게 하여 백성의 어려움을 덜게 해주었다.

[놀이도구 및 장소]

웃다리풍물에는 악기와 기(旗)가 사용되는데, 악기에는 장고·북·소고·날라리·꽹과리·징 등이 있고, 기에는 두레기와 영기(令旗)가 있다. 놀이는 길놀이와 판놀이로 이루어진다. 길놀이는 놀이장소를 가리지 않고 온 마을 집집마다를 돌며 진행되고, 판놀이는 마을 내에서 놀이판으로 잡은 넓은 마당에서 이루어진다.

[놀이방법]

o길놀이: 놀이판에 구경꾼들을 많이 모여들게 하기 위해 벅구놀이와 풍물 및 새미놀이 등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o판놀이는 인사굿으로 시작하는데, 풍물패가 놀이판에 입장하면 칠재가락을 치면서 농기·영기·날라리는 앞으로 나와 나란히 서고, 첫째줄은 중벅구, 둘째줄은 상벅구, 셋째줄은 꽹과리·징·장구, 넷째줄은 북과 잡색이 서서 구경꾼에게 인사를 한다. 이어서 돌림벅구의 순서로, 한쪽으로만 상모를 돌리는 외상과,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돌리는 양상이 있다. 돌림벅구가 끝나면 오방진과 마당놀이, 당산벌림, 절구벅구, 사통박이, 옆치기, 가색백이, 쩍쩍이, 소리굿, 열두밭 상모돌리기에 이어 인사굿으로 끝이 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웃다리풍물은 농부들이 일을 할 때 흥을 돋우고 수고를 위로하기 위하여 벌이는 놀이로서, 해학과 풍자와 생활고의 호소가 담겨 있다. 또한 길놀이를 통하여 마을 사람들이 다 참여하게 하여, 노는 자와 보는 자가 함께 어우러져 화합과 동질성을 꾀하고 있다.

[현황]

경기도 안성남사당패는 웃다리가락의 정통성을 최근까지 지켜온 것으로 이름이 났다. 용인은 안성과 같은 지역권으로 거의 같은 맥락의 가락과 소리굿을 전승하였다. 다만 구체적인 소리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면 안성 지방에서는 「자진 김매기 소리굿」의 뒷소리가 “얼얼얼 상사리야”이지만, 용인 지방에서는 “어흠차 찍엄네야” 등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