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방아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1895년 9월 17일 오인선이 순회 전도 중인 미국 북감리교파의 시란돈 선교사에게 전도를 받고 교회를 설립하였다. 이후 이은영 전도사와 김익휘 권사가 이곳에 살면서 교회를 보살펴 주기도 하였다. 1903년 오인선이 재정을 담당하고 교인들과 힘을 합쳐 예배당을 신축하였다. 1906년 감리교에서 장로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변에 처인성이 있으며 고려시대 처인현의 소재지가 있던 곳이다. 아꼴마을[衙谷]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관청이 있었다고 하는 뜻을 가진 이름이다. 본래 고려시대 처인현의 치소가 있던 곳이다. 이후 용인현에 속하게 되었고 현내면 지역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산(南山)과 아곡(衙谷)을 합쳐 아곡리가 되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처인성에서 ‘안터골’ 방향으로 들어서면 ‘예향교회’가 나타나는데 유적은 교회 바로 앞 구릉 경작지에 자리한다. 아곡리 북동편 구릉지 경사면의 밭에서 유백색을 띤, 구석기시대 규암제 찍개 1점이 채집되었다. 발견된 규암제 찍개는 위쪽 끝부분을 인공 타격하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유물산포지. 해발 216m의 어산에서 남동편으로 흘러나간 가지 능선부에 위치한다. 유적이 위치한 능선의 북쪽에는 형진농장이라고 하는 묘목농원이 넓게 자리하고, 동편으로는 진위천에 합류되는 완장천이 흐르며 아곡제2저수지가 인근에 위치한다. 아곡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한 능선은 해발 80m 가량으로 협장한 상태지만, 능선 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자기산포지. 아곡리 자기산포지는 18세기경의 유적으로, 아곡제2저수지를 중심으로 아곡리 유물산포지1·아곡리 유물산포지2와 삼각형 형태로 분포한다. 아곡리 자기산포지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처인성 맞은편 매릉동 뒤 야산에 위치한다. 199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용역 지역 전체에 대한 광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기장수 이야기. 1978년 6월 20일에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사는 홍종억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하였다. 용인시에는 「아기장수와 용마바위」와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 오고 있다. 용인시의 좌측으로는 투구봉이 있고 우측으로는 칼봉이 자리잡고 있는데, 봉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완장리 매릉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김치복 이야기. 1985년 4월 15일 완장리 매릉에서 김치복의 8대 방손이 들려준 이야기로,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벼슬이 통정대부로 중추부사에 이르렀던 인물로 김치복이 있는데, 용인시 남사면 완장리 매릉에서 1675년에 태어났다. 김치복은 어려서부터 사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여자아이들이 찔레꽃을 따면서 부르던 전래동요. 「아리랑 꽁꽁」은 여자아이들이 봄철에 찔레꽃을 따면서 부르던 전래동요이다. “아리랑 꽁꽁/찔레꽃 둥실”이라는 사설로 시작한다 하여 「아리랑 꽁꽁」으로 불린다. 1979년 5월 15일에 용인읍 마평리(현 처인구 마평동)에 사는 김씨 할머니(여, 84)가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방아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1895년 9월 17일 오인선이 순회 전도 중인 미국 북감리교파의 시란돈 선교사에게 전도를 받고 교회를 설립하였다. 이후 이은영 전도사와 김익휘 권사가 이곳에 살면서 교회를 보살펴 주기도 하였다. 1903년 오인선이 재정을 담당하고 교인들과 힘을 합쳐 예배당을 신축하였다. 1906년 감리교에서 장로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에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화장품 개발 연구소.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인간의 본능인 미와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아모레퍼시픽은 1945년 9월 5일 설립되었다. 1954년 8월에 서울시 용산구 후암동에 연구실을 개설하였고, 1956년 8월에 본사와 공장을 서울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 있는 산. 아미(蛾眉)는 초승달처럼 가는 눈썹을 뜻하며, 아름다운 여인을 상징하는 말로서 산의 형상이 아미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것으로 보이며, 한자로는 ‘아미(峨眉)’로 쓰기도 한다. 산의 곳곳에 많은 묘소가 자리 잡고 있는데, 특히 중앙부와 북서단에 밀집되어 있다. 산의 서쪽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매산천이 흐르고, 매산1리와...
-
임진왜란 때 용인 전투에서 활약한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명보(明甫). 황희(黃喜)의 5세손이며, 아버지는 증좌의정(贈左議政) 황윤공(黃允恭)이다. 황진(黃進)[1550~1593]은 1576년(선조 9)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1591년(선조 24)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 황윤길(黃允吉)을 따라 일본에 다녀와 미구에 일본이 내침(來侵)할 것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 있는 골프장.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을 재창조한다는 기본 철학 아래 조성된 36홀(파144)의 빼어난 골프 코스를 가진 명문 골프 클럽이다. 코스 설계는 200여 개의 빼어난 세계적인 골프 코스를 설계했던 미국의 로널드 프레임(Ronald Fream)이 맡았다. 로널드 프레임이 자신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완벽한 작품으로 손꼽을 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에 있는 전자 부품 제조업체. 컬러 TFT, LCD 모듈 사업을 통해 디스플레이 생산에 전력함으로써 삼성전자의 애니콜 신화에 기여한 견실한 중소기업이다. 고객 존중, 인류 행복, 기술 중시라는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매출 증대에 힘쓰고 있다. 1999년 4월 14일 부산시 구서동에 주식회사 아이디에스로 설립되었다. 1999년 4월 부평공장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과 언남동으로 연결되는 고개. 죽산 자린고비가 된장을 발에 묻힌 채 달아나는 파리를 쫓아 여기까지 왔는데, 그 파리가 여인네 엉덩이에 앉아 있는 것을 몰랐다. 파리를 잡기 위해 여인의 엉덩이를 치고 나서, 아차 실수했구나! 하였다는 전설이 있는데, 그로 인해서 아차지고개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남쪽으로 내려가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서 방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2년 1월 23일에 이동면[현 이동읍] 서리에 사는 오수영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하였다.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도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한 총각이 장가를 들었는데 첫날밤에 색시가 방귀를 뀌자, “첫날밤...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 아파트는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로서, 공동의 시설을 가지는 4·5층의 저층과 수직교통 수단으로 엘리베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6층 이상의 고층으로 구분된다. 국토의 약 7할이 산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3할이 농경지와 도시 및 촌락용지로...
-
경기도 용인시에서 전통 현악기를 제작해 오고 있는 경기도 지정 장인. 악기장이란 거문고를 비롯하여 가야금·아쟁·해금 등 전통 음악에 쓰이는 현악기를 비롯하여 법고·좌고·승무복 등의 북을 제작하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거문고나 가야금이 고구려와 신라에서 사용되었던 점으로 보아 현악기를 만드는 장인이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선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공언(功彦), 호는 악록(岳麓)·산전(山前). 아버지는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서 학자·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허엽(許曄)이며, 어머니는 둘째 부인인 강릉김씨(江陵金氏)로서 예조판서(禮曹判書) 김광철(金光轍)의 딸이다. 이복동생인 허봉(許篈)과 허균(許筠)이 있으며, 여동생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있다....
-
고려 전기 용인 출신의 개국공신이자 용인이씨의 시조. 왕건의 누이를 아내로 맞이하여 고려조의 첫 부마(附馬)가 되었다. 신라 말에 용구(龍駒)[경기도 용인시의 옛 이름]에서 태어난 토호(土豪)였는데,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왕건이 고려의 태조가 되었을 때 개국공신의 예우로서 식읍(食邑) 500호를 하사하고 산성군(山城君)에 봉하고자 하였...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아버지는 함흥군수를 지낸 안익(安翼)이다. 용인에서 출생하여 승사랑(承仕郞)을 지냈고, 어렸을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릴 적 과천(果川)에 살았을 때, 부친이 병으로 고생하자 몸소 병구완에 전념하였다. 엄동설한에도 불구하고 한강에 나가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드렸고, 산천에 기도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상(喪)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안기명의 정려각. 안기명의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함안군수 안익의 아들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친이 병환으로 눕자 한겨울에도 한강까지 나아가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공양하였으며, 한밤중에 산중에 올라가 기도할 때는 호랑이가 감복하여 보호하였다고 한다. 부친상을 당하여 3년 동안 묘소를 보살피자 사람들...
-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세거하는 성씨의 하나. 안동권씨는 고려 태조를 도와 개국공신이 된 권행을 시조로 한다. 왕건이 고창(지금의 안동) 싸움에서 고전하고 있을 때 그곳 호족이던 김선평·권행·장길 등이 왕건을 도와 크게 승리하였으므로 권행 등 3인을 대상(大相)으로 삼았다. 그 후 안동권씨는 10세조 권후평 이후에 14개 파로 나뉘어진다. 용인시 처인구...
-
경기도 용인시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안동권씨 족보. 권자본(두루마리본)이며, 필사본이다. 표제는 안동권씨 족보(安東権氏 族譜)이다. 크기는 가로 248㎝, 세로 11.8㎝이다. 안동권씨 안양공파(安襄公派) 시조인 권행(權幸)부터 32세손 권사흠(權思欽)·권중흠(權中欽)까지를 기록한 계보이다. 휴대가 간편하게 수진본(袖珍本)으로 제작하였고, 시조부터...
-
경기도 용인시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 안동권씨가 고문서는 조선 후기의 무신인 권심(權諗)과 부인 유인 김씨와 관련한 교지 및 녹패(祿牌)로,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백패(白牌) 1점, 임용 교지 4점, 녹패 1점, 유인 김씨 임용 교지 1점 등이 낱장 형태로 보존·유지되고 있다. o백패-1675년...
-
일제강점기 용인에서 활동한 천주교 신부이자 독립운동가. 안학만은 경기도 안성본당에서 세례를 받고 1909년 9월 예수 성심신학교에 입학하여 1917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선산본당과 개성본당 주임신부로 활동하였으며, 1924년 경기도 용인군의 앞고지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하였다. 안학만은 천주교 신부로서 사목 활동을 하는 가운데 틈틈이 신자들과 지역 유지 및 학생들...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이인좌의 난 연루자.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를 지내던 안호(安鎬)의 동생이다. 1728년 이인좌의 난으로 나라가 혼란한 틈을 타 경기도 용인 주변 지역에서도 군사를 모아 변란을 도모하려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양성현 송전리(지금의 용인시 이동읍) 에 살던 장흠이 주도했다. 안박은 장흠에 포섭되어 변란 도모에 동원할 군사를 규합하던 중 이 사...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비평가 및 노동 운동가. 안병춘은 1910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식금리에서 6형제의 막내로 태어났다. 홀어머니를 따라 외가가 있는 서울 영등포로 올라갔다. 6·25 전쟁 직후 행방 불명이 되어 이후 생사가 확인되지 않는다. 안병춘은 늦은 나이에 영등포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세가 되던 1928년 3월에 졸업한 후 양조장에서 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며느리 구박하다 벌받은 시어머니 이야기. 안수버니(숲원이)는 양지면 주북리와 고림동 사이에 있는데, 이곳에는 예전부터 땅에서 물이 많이 난다고 전한다. 1978년 7월 20일에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사는 윤희영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하였다. 옛날 명씨 성을 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있는 고려시대 절 터. 공세동사지에는 고려시대 양식의 석탑과 석불 조상이 남아 있어 고려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이곳에 사찰이 존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찰의 이름이나 창건연대의 내력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안양사지(安養寺址)에 대한 기록이 조선 후기 『여지도서(輿地圖書)』, 『가람고(伽藍考)』,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 등에...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선비. 용인 직곡(直谷) 출신으로 아버지는 진사(進士) 안헌국(安憲國)이다. 1728년(영조 4) 무신란(戊申亂) 당시 양성(陽城)의 권서린(權瑞麟), 용인 직곡의 안지원(安趾遠), 과천(果川) 상포(霜浦)의 이인좌(李麟佐) 형제 등과 함께 이사성(李思晟)의 집에 모여 역모를 꾀하였다. 이들은 신임사화를 기화로 반드시 노론이 소론을 제거하려고 할...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죽계(竹溪). 자는 흥숙(興叔), 호는 우졸재(愚拙齋)·백암(栢巖). 관찰사(觀察使) 안종도(安宗道)의 증손이며, 좌찬성으로 추증된 안세복(安世復)의 손자이며,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아들이다. 첫째 부인은 판서 이경황(李慶滉)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성주이씨(星州李氏)이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가는 봉림대군(鳳林大君)[효종]의 사...
-
조선 후기 용인의 열녀. 본관은 함열(咸悅). 남편은 안재복(安載復)이다. 14세에 원삼면 맹리 안재복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공경하였고, 길쌈과 방적으로 가세를 일으켰다. 그러던 중 뜻하지 않게 남편이 병으로 쓰러지자 약을 달여 극진히 간병하였고, 3년 거상 중에는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저녁 상식을 올려 애통해하다 탈상을 한 뒤 곡기를 끊고 남편의 뒤를 따랐다. 남궁씨의...
-
조선 후기 용인의 열녀. 본관은 함열(咸悅). 남편은 안재복(安載復)이다. 14세에 원삼면 맹리 안재복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공경하였고, 길쌈과 방적으로 가세를 일으켰다. 그러던 중 뜻하지 않게 남편이 병으로 쓰러지자 약을 달여 극진히 간병하였고, 3년 거상 중에는 하루도 빠짐없이 아침저녁 상식을 올려 애통해하다 탈상을 한 뒤 곡기를 끊고 남편의 뒤를 따랐다. 남궁씨의...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무신. 1728년(영조 4) 당시 용인·양성(陽城) 두 지역을 중심으로 양성의 권서린(權瑞麟), 용인 직곡의 안엽(安熀)·안정 형제와 안지원(安趾遠), 과천(果川) 상포(霜浦)의 이인좌(李麟佐) 형제 등은 이사성(李思晟)의 집에 모여서 무신의 난을 일으켜 역모를 꾀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신임사화를 기화로 ‘임금이 소론(少論)을 쓰기 때문에 노론(老論)이 바야...
-
조선 말기 용인에서 활약한 의병. 안춘경은 정주원 의병부대에서 활약했다. 정주원은 정미7조약의 강제 체결과 군대 해산 등의 국권 피탈의 상황에서 1907년 8월 의병부대를 조직하여 경기도의 용인·양지·양성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초기 부대 규모는 경기도 용인 굴암에서 조직된 30여 명 정도였으나, 이후 양지·양성에서 약 150여 명으로 증가하였다. 점차 조직이 확대되어 9...
-
일제강점기 용인에서 활동한 천주교 신부이자 독립운동가. 안학만은 경기도 안성본당에서 세례를 받고 1909년 9월 예수 성심신학교에 입학하여 1917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선산본당과 개성본당 주임신부로 활동하였으며, 1924년 경기도 용인군의 앞고지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하였다. 안학만은 천주교 신부로서 사목 활동을 하는 가운데 틈틈이 신자들과 지역 유지 및 학생들...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신경(藎卿). 찬성사 안문개(安文凱)의 9대손이며, 안언필(安彦弼)의 둘째아들이다. 안홍국은 1583년(선조 16)에 무과에 급제하여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전관으로 임금을 의주까지 호종하였고, 삼남 지방을 돌며 왕명을 전달하였다. 그 공로로 뒤에 호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그 뒤 3도수군통제사 이순신(李舜臣)...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묘봉리에 있는 조선 중기 안홍국의 정려각. 안홍국은 조선 중기 무인으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신경(藎卿), 시호는 충현(忠顯)이다. 1583년(선조 16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순신 휘하에서 전공을 세웠다. 정유재란 중 보성군수로 안골포에서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1642년(인조 20)에 정문(旌門)이 내려졌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묘봉리에 있는 조선 중기 안홍국의 정려각. 안홍국은 조선 중기 무인으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신경(藎卿), 시호는 충현(忠顯)이다. 1583년(선조 16년)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이순신 휘하에서 전공을 세웠다. 정유재란 중 보성군수로 안골포에서 적과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1642년(인조 20)에 정문(旌門)이 내려졌다....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문약(文若). 안희묵(安羲黙)[1795~1881]은 수원부 양지현(현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서 출생하였다. 안희묵은 어려서부터 품행이 단정하고 학업에 열중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뜻에 어긋남이 없었다. 그의 아버지가 병이 들어 위독할 때 손가락을 끊어 피를 들게 하는 효행을 보였으며, 상을 당하...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중(汝中).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안향(安珦)의 21세손이다. 안희중(安禧重)[1728~1800]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1743년(영조 19) 6월 그믐날 밤 폭우가 쏟아져 사당이 무너지려 하였으나 부모님은 모두 병석에 누워 있었다. 당시 16세였던 안희중은 급히 사당으로 뛰어 들어가 대들보를 붙잡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안희중의 정려각. 안희중의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1728년(영조 4)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효행이 지극하였는데, 그가 15살 되던 해에 폭우로 사당이 무너져 내리자 들보를 받쳐 들어 신주를 온전히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1750년(영조 26) 조부가 병환에 들자 반 년 동안 간병하였다. 어느 날 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좌항리에 있는 이동 통신 부가 제품 제조업체. 1995년 2월 22일 주식회사 알에프텍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본사와 공장을 용인시 양지면으로 이전하였으며 1997년에는 삼성전자의 OEM 방식 제조업체로 선정되었다. 1998년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2000년에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으로 본사와 공장을 이전하였다. 2001년에는 중...
-
1933년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양지리에 선정된 갱생지도부락.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 말 농업 공황으로 농촌 경제가 어려워지자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1930년대 들어 농촌진흥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농촌경제갱생계획에 따라 갱생지도부락을 선정하였다. 관제기구로 농촌진흥위원회를 조직하는 한편, 각 읍면별로 30~40호 단위의 갱생지도부락을 선정하여 5년 기한의 농가경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초명은 박승업(朴承業), 자는 응휴(應休), 호는 암수(巖叟)·추탄(秋灘). 박은(朴誾)의 증손이다. 1594년(선조 2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장령·사간원정언을 지냈다. 1599년 대사헌 홍여순(洪汝諄)을 탄핵·파면시켰으나, 뒤에 그가 다시 기용되자 사헌부집의 김신국(金藎國), 사간원사간 송일(宋馹) 등과 함께 파직되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에 생긴 이름으로 전대리는 전곶(前串)과 신대(新垈)를 합쳐,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전곶은 우리말로 앞고지를 뜻하고 신대는 새말, 또는 새터말을 가리키는 마을의 명칭이다. 곶은 바다나 평야에서 앞으로 길게 돌출된 작은 반도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앞으로 튀어나왔다고 하여 ‘앞+곳’인데 뒷말이 연철되어 고지가...
-
정윤종을 시조로 하고 정윤복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나주정씨의 시조는 고려 중엽의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인 정윤종(丁允宗)이다. 시조 정윤종 이래 제6세 정공일(丁公逸)에 이르기까지는 계속 압해(押海)에서 살았고, 그 후 제7세 정원보(丁元甫) 때에 이르러 검교호군(檢校護軍)이라는 실무가 없는 무관 벼슬을 얻은 것을 계기로 개경으로 올라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에 생긴 이름으로 전대리는 전곶(前串)과 신대(新垈)를 합쳐,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전곶은 우리말로 앞고지를 뜻하고 신대는 새말, 또는 새터말을 가리키는 마을의 명칭이다. 곶은 바다나 평야에서 앞으로 길게 돌출된 작은 반도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앞으로 튀어나왔다고 하여 ‘앞+곳’인데 뒷말이 연철되어 고지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미평리에서 소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바위는 원삼면 맹리 안골 쪽, 수정산 기슭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형상이 소가 누운 것과 흡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지금도 마을 사람들은 소바위의 영험을 믿고 있다. 1978년 6월 20일에 용인시 원삼면 미평리에서, 당시 미평리 반장으로 활동하던 분이 구연한 내용을 채록...
-
한국전쟁 당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와 백봉리에 있었던 반공 청년 단체. 국군의 후퇴 이후 북한군에 점령당했던 남한의 여러 지역에서 학생, 청년, 주민들을 중심으로 저항 단체가 조직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저항 단체로는 경기도 고양 파주 지역의 태극단, 강원도 춘성군 남면 가정리 지역의 반공투쟁 공작산악대, 강원도 춘성 북산면 수내리 지역의 반공결사대, 강원도 인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단오(端五), 자호는 애오로(愛吾盧). 문성공 유순정(柳順汀)의 9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유진운(柳振運), 아버지는 유담(柳紞)이다. 부인은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師朱堂) 이씨이며, 『언문지(諺文志)』의 저자 유희(柳僖)의 아버지이다. 영조·정조 대에 활동한 문신으로 벼슬은 높지 않았으나, 담운(澹雲)...
-
송맹영을 시조로 하고 송성립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야성(冶城)은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冶爐)의 별칭이다. 야성송씨의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 때 사람으로 간의대부와 총부의랑을 역임했으며 야성군(冶城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받들고 야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시조 송맹영의 아들 송창(宋昌)은...
-
송맹영을 시조로 하고 송성립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야성(冶城)은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冶爐)의 별칭이다. 야성송씨의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 때 사람으로 간의대부와 총부의랑을 역임했으며 야성군(冶城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받들고 야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시조 송맹영의 아들 송창(宋昌)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명숙(明叔), 호는 야수(野叟)이다. 개국공신 정도전(鄭道傳)의 증손 정속(鄭束)의 아들이다. 1447년(세종 29) 생원으로 별시 문과에 정과로 합격,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고, 감찰을 거쳐 1453년(단종 1) 예조좌랑으로 있었으나 궐내에 기생을 불러들여 가무음주한 죄로 장형(杖刑)을 받았다. 1455년(세조 1) 교리로서 좌...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에서 정규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사회 교육 운동. 야학 활동은 일제강점기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사설 야학과 관립 야학이 있었다. 관립 야학은 행정 당국이 일본어 보급을 목적으로 공립 보통학교의 부수 사업으로 운영하였다. 사설 야학은 노동자, 농민, 부녀자 등 소외 계층을 위한 농촌 계몽 운동 성격의 교육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용인에서...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또는 미재(美齋).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남식(南烒)이고, 아버지는 현령 남일성(南一星), 어머니는 권박의 딸이다.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문하에서 수학,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가주서·전적·사서·문학...
-
조선 전기의 문신. 조연(趙捐)[1374~1429]은 벼슬에 나간 뒤 파천된 일이 없었고 4대조에 걸쳐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재화를 탐하지 않고 국정에 힘썼다. 문신이면서도 야인 정벌에 무공을 떨치기도 하였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여정(汝靜), 초명은 조경(趙卿). 아버지는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이고, 어머니는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부친인 환조...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명숙(明叔), 호는 야수(野叟)이다. 개국공신 정도전(鄭道傳)의 증손 정속(鄭束)의 아들이다. 1447년(세종 29) 생원으로 별시 문과에 정과로 합격,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고, 감찰을 거쳐 1453년(단종 1) 예조좌랑으로 있었으나 궐내에 기생을 불러들여 가무음주한 죄로 장형(杖刑)을 받았다. 1455년(세조 1) 교리로서 좌...
-
고려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을 관할하던 지방 행정 구역. 고려시대 지방 제도를 정비하기 위해 전국을 5도와 양계로 나누면서 이전에 충청도 지역을 1314년(충숙왕 1) 양광도라 개칭하였다. 현재의 충청남도·충청북도 일원과 강원도 일부 및 고려시대 용인 지역의 명칭이었던 용구현(龍駒縣)을 포함한 경기도 남부 지역이 해당된다. 『고려사』「지리지」와『세종실록』「지리지」에 실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할아버지는 양우(梁祐), 아버지는 양석륭(梁碩隆)이다. 부인은 전주부윤 권담(權湛)의 딸이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가 그의 아들이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 있다. 의정부우찬성 남원부원군에 추증되었다....
-
고려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 구역. 양량부곡은 언제 설치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고려 이래 조선 초기까지 특수한 행정 단위의 하나로 기능했다. 일반적으로 부곡은 군현으로 삼아 운영하기에는 인구와 토지가 적은 곳을 대상으로 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양지현(陽智縣)조에 “본래 수주(水州)에 속한 양량촌부곡(陽良村部曲)인데,...
-
고려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 구역. 양량부곡은 언제 설치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고려 이래 조선 초기까지 특수한 행정 단위의 하나로 기능했다. 일반적으로 부곡은 군현으로 삼아 운영하기에는 인구와 토지가 적은 곳을 대상으로 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양지현(陽智縣)조에 “본래 수주(水州)에 속한 양량촌부곡(陽良村部曲)인데,...
-
1497년(연산 3) 홍귀달이 지은 용인현에 있었던 양벽정의 기문. 『신증동국여지승람』「용인현」 ‘누정(樓亭)’에 전하는 작품으로, 용인현감 김우(金祐)의 부탁으로 홍귀달(洪貴達)[1438~1504]이 지어준 기문(記文)이다. 조선 성종 때 김우(金祐)가 용인현감으로 부임하여 잘 다스렸음을 칭송하고, 객헌(客軒) 동쪽에 있던 정자 터에 새로 정자를 짓고 ‘양벽...
-
조선 전기 양지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증조부는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 양석륭(梁碩隆)이고, 할아버지는 예빈시윤(禮賓寺尹) 양구주(梁九疇)이며, 아버지는 남원군(南原君)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문양공(文襄公) 양성지(梁誠之)이다. 1466년(세조 12) 양원은 진위현령(振威縣令)이었는데 외람되게 도둑을 잡은 공에 공신의 아들이란 점이 작용되어 상직(賞職)을 받았기...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풍(咸豊). 자는 양이(養而), 호는 치암(恥菴). 아버지는 부위(副尉) 이초옥(李楚玉)이다. 이지렴은 인조 대에서 숙종 대까지 활동한 문인으로 학문은 물론, 시와 글씨에 뛰어났다. 김집(金集)의 문인이며, 학문으로 이름을 날려 송준길(宋浚吉) 등의 추천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곧 사퇴하고 후에 부수(副率)를 잠시 지냈다...
-
조선 전기의 종친. 이징은 태조의 조카이며, 고려 때부터 벼슬에 나아갔지만 주로 활동한 시기는 태종과 세종대이다. 본래 풍질이 있어 이로 인해 죽었다. 아버지가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태종을 도와 난을 진압한 공이 있었고, 이징도 태종대부터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특히 일생에 세 번이나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는 등 외교적인 방면에서 능력을 발휘하였다. 본관은...
-
현재 백암양조장의 생산기술자인 변태동(71세) 씨는 50년 가까이 양조기술자로 일해 왔다. 군대 제대 후 원래 운전기사로 사회 첫발을 내딛었던 그는 우여곡절 끝에 신당동에 있던 명성소주에서 양조기술을 배웠다. 이것이 평생 그로 하여금 술과 함께 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소주는 원래 증류식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1960년대 중반에 증류식 소주 제조를 금지하여 고구마로 만든 주정에 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영동고속국도 진·출입로. 1973년 12월 31일 개통되었으며, 영동고속국도 인천 기점 60.8㎞ 지점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다. 한국도로공사 양지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입구 차로 3개 소, 출구 차로 4개소 등 모두 7개의 차로가 있다. 1일 평균 교통량은 2006년을 기준으로 입구 14,6...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 터. 양지관아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는 자료로 1899년 당시 양지군수 신용균(申容均)이 만들어 중앙에 올린 『양지군읍지』가 있다. 『양지군읍지』공해조(公廨條)에 따르면 양지관아는 동헌(東軒)이 12칸, 내동헌(內東軒)이 29칸, 책실(冊室)이 4칸, 향장청(鄕長廳)이 4칸이었다. 또한 순교청(巡校...
-
1899년 용인군에서 전국적인 읍지 편찬과 상송령에 따라 작성한 읍지. 『양지군읍지』는 이전에 편찬한 읍지(邑誌)를 참고하여 양지군의 역사와 일반 현황을 담은 자료이다. 특히 1895년 지방관제가 개편되면서 양지군으로 변경된 이후의 사정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있는데, 1899년 5월과 10월에 간행한 두 종의 자료가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1895년 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지면의 소재지로 과거 양지현의 관아(官衙)가 있던 곳이다. 양지는 양지현(陽智縣)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양지는 본래 수주(水州)에 속해 있던 양랑촌부곡으로 1399년(정종 1)에 이를 고쳐서 현이 되면서 생긴 이름이다. 본래 양지현의 관아가 있던 지역으로, 양지현이 군으로 승격되었을 때 군청이 있던 곳...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양지리 유물산포지는 모두 다섯 곳에 분포하는데, 각각을 양지리 유물산포지1에서 양지리 유물산포지5로 구분하여 부르고 있다. 양지리 유물산포지는 용인과 이천을 잇는 국도 43호선에 자리한 양지읍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 유물산포지1은 진흥 6차맨션아파트 주변이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행정면. 4개 면을 합하였다는 뜻으로 내사면이 되었다가 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양지라는 고유지명으로 변경되었다. 본래 양지군 지역으로서 양지 읍내가 되므로 읍내면이라 하여 교동·암곡·서촌 등 7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주동면의 삼매·공세·평촌 등 7개 리와 주북면의 정수·대대·계장 등 6개 리, 주서면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양지면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1읍 4동 6면 중 양지면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양지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에 의해 기존의 양...
-
2001년에 용인문화원이 양지면의 실상과 문물을 기록으로 남긴 책. 읍면지의 간행은 전국에서 최초로 용인문화원이 시도하고 있는 사업으로, 사료와 지역 사회의 발전과 변화를 기록으로 정리코자 하여 추진하고 있는 향토지의 하나로써 『구성면지』·『수지읍지』에 이어 세 번째로 간행되었다. 양지면은 본래 조선시대에는 양지현의 관아가 있던 지역이다. 따라서 이 지역은 용인군과 통합...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천주교 수원교구 용인대리구 내의 용인제1지구에 소속된 천주교 성당으로 성당 내에 용인대리구가 있다. 인근에는 최초의 한국인 신부였던 김대건 신부의 성장지이자 활동지인 골배마실성지와 은이성지가 있다. 원래 모본당(母本堂)은 미리내성당인데, 1927년에 분가하여 9월 14일에 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우편, 체신, 금융 기관. 전국적인 우체국 망을 통하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주민들에게 우편·택배·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1911년 7월 11일에 양지우편소를 열었으며, 1941년 1월 28일 양지우편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9년 11월 22일 양지우체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으며, 2006년 12...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1907년 3월 5일 조수겸의 집에서 박건식, 이경영, 오심덕, 오태희, 한주희, 정명호, 엄주희 등 10여 명이 모여 예배를 시작하였다. 이듬해 경기도 양지리 암곡마을 416번지에 10평 가량 되는 땅에 초가로 지은 교회당을 세웠다. 하지만 일제의 감시와 박해로 교회 문을 열 수 없었다. 1945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 어두니고개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유림동에서 경안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양지천의 물줄기는 크게 세 곳에서 흘러나온다. 양지면 남곡리 어두니고개[446.8m]와 양지리 구렁고개 및 기남이고개 옆 363.2m 고지에서 발원하는 세 곳의 물줄기가 월곡에서 합류하여, 동류하면서 송문리, 유림동 고진에서 경안천에 유입된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적이고 바른 심성을 가진 어린이, 깊이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정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과 희망을 키우자’이다. 1908년 4월 1일 유장근에 의해 세워진 사립 추향학교를 그 기원으로 한다. 1911년 9월 1일에 4...
-
추엽을 시조로 하고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 고려 인종 때 송나라에서 건너온 성씨로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한 추엽이 시조가 되었다. 본관은 개성·강화·파평 등이 문헌에 있으나 오늘날에는 추계추씨와 전주추씨 두 본으로 되어 있다. 추엽의 아들인 추황(秋簧)이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대제학을 지냈고 『명심보감』의 편자로 알려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에 있는 종합 휴양 시설. 1969년 8월 11일 용인컨트리구락부로 설립되었다. 1970년 6월 28일 18홀(서코스 3,095m, 남코스 2,855m)의 골프장을 개장하였고, 1974년 7월 야외 수영장을 개장하였다. 1982년 9홀(동코스 2,944m)을 추가 개장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스키장을 개장하였다. 1984년 12월 유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조선시대 국립 교육 기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조선시대에 나라에서 세운 교육 기관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양지향교는 1523년(중종 18)에 초창되었다고 전한...
-
조선 중기 이래 경기도 용인의 양지향교에서 행해지는 향례. 1523년(중종 18)에 초창된 양지향교의 향례는 현재 대성전(大成殿)에 공자(孔子)를 비롯한 25명의 선성(先聖)과 선현(先賢)들의 위패를 봉안하여 모시고 있다. 양지향교는 1697년(숙종 23)에 중수하고 1792(정조 16)년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그 뒤 1928년, 1967년에 중수하였고 1971년 명륜당을 복원하였...
-
조선 중기 이래 경기도 용인의 양지향교에서 행해지는 향례. 1523년(중종 18)에 초창된 양지향교의 향례는 현재 대성전(大成殿)에 공자(孔子)를 비롯한 25명의 선성(先聖)과 선현(先賢)들의 위패를 봉안하여 모시고 있다. 양지향교는 1697년(숙종 23)에 중수하고 1792(정조 16)년 명륜당을 중건하였다. 그 뒤 1928년, 1967년에 중수하였고 1971년 명륜당을 복원하였...
-
1399년(정종 1)부터 1895년까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설치된 행정 구역. 본래는 수주(水州)에 속해 있던 양양촌부곡(陽良村部曲) 또는 양량부곡(陽良部曲)이었다. 1399년(정종 1) 군현제 정비 과정에서 부곡을 현으로 소속시키면서 양지현으로 고쳐 처음 감무(監務)를 설치했다. 1413년(태종 13) 양지현감을 파견했고, 읍치를 광주의 임내(任內)인 추계향(秋溪鄕)으로 옮겼다....
-
1780년(정조 4)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조선 후기인 1780년(정조 4) 수원부 양지현(현재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사는 문덕봉이 김덕희(金德希)와 함께 술에 취해 돌아오는 중에 비틀거리며 쓰러진 김덕희를 무릎으로 쳐서 죽인 사건이 발생하였다. 김덕희의 사인(死因)을 두고 고의인지 과실인지를 두고 논란이 분분하였다. 김덕희 사체에서는 양...
-
조선 중기 조신이 양지현에서 머물며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조신(曹伸)[?~?]의 문집인 『적암유고(適庵遺稿)』 권1에 전하는 작품으로, 원 제목은 「서헐양지전계(書歇陽智前溪)」이다. 양지현(陽智縣)은 경기도 용인군 동부를 차지하고 있던 옛 행정구역으로, 1914년에 용인군에 통합되었다. 양지현 앞에 흐르는 냇가에서 쉬며 객회(客懷)를 토로한 작품으로, 봄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있었던 조선시대의 단묘(壇廟). 여단(厲壇)은 떠돌이 귀신들에게 제사를 드리거나, 지방의 부락(富樂)을 지켜주는 토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이는 집 안에 터줏대감을 모셔두는 터주가리가 있듯이 군현 단위의 터줏대감 구실을 하는 지역 신을 모셔두고 제를 올리던 사당이다. 용인현의 경우 조선 서변면의 보수원에 있었고, 양지현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양지현감·군수 7인의 송덕비군. 양지면사무소 안에 있는 7기의 송덕비는 원래 양지관아 입구 대로변에 세워져 있었다. 이후 도로 확장 공사 등으로 방치되었던 것을 1997년 양지면에서 예산을 확보하여 청사 내로 이전하게 되었다. 송덕비군은 형태상 7기의 비 모두 비좌에 비신 월두형이다. 각각의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2...
-
1842년 간행된 양지현의 현황을 기록한 읍지. 양지현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읍지로는 18세기 중엽에 간행된 『양지읍지(陽智邑誌)』를 비롯하여 1842년에 성책한 『양지현읍지(陽智縣邑誌)』와 1899년 5월에 성책한 『양지군읍지(陽智郡邑誌)』, 1899년 10월에 성책한 『양지군읍지(陽智郡邑誌)』가 있다. 또한 19세기에 성책한 것으로 보이는 『양지현지도읍지(陽智縣地圖邑...
-
1532년(중종 27) 김안국이 지은 양지현 동헌 중수 기문(記文). 『모재집(慕齋集)』에 전하는 작품으로, 권렴(權㻩)이 양지현(陽智縣)의 동헌(東軒)을 중수하고, 김안국(金安國)[1478~1543]에게 부탁하여 받은 기문이다. “양지는 작은 고을이다. 경기 안에 예속되어 공물이 많고 부역의 번거로움이 다른 도의 배나 된다. 땅이 좁고 사람이 적으며, 아전과 노비들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영동고속국도 진·출입로. 1973년 12월 31일 개통되었으며, 영동고속국도 인천 기점 60.8㎞ 지점인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다. 한국도로공사 양지영업소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입구 차로 3개 소, 출구 차로 4개소 등 모두 7개의 차로가 있다. 1일 평균 교통량은 2006년을 기준으로 입구 14,6...
-
허선문을 시조로 하고 허창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허씨의 시조 허황옥은 원래 인도의 아유타국의 공주로서 김수로왕의 왕비가 되었다. 이후 두 아들에게 허씨를 사성했으며 그 후 여러 본관으로 나뉘었다. 양천허씨의 시조는 허 황후의 30세손으로 전하는 허선문(許宣文)이다. 허선문은 공암현(孔巖縣)의 대부호로서 고려 건국에 공헌하여 공암촌주로 봉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능내의 양천허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는 허준의 의학 서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능내 양천허씨 문중에 보존되어 있는 의학서로 전체 25권 25책 중 20권 20책만 전한다. 『동의보감』은 1597년(선조 30) 어의 허준(許浚)[1546~1615]이 왕명으로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서적을 하나로 모아 편집한 책으로 1...
-
경기도 용인시의 양천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 양천허씨가 고문서는 증직 교지 두 점으로, 1806년(순조 6)에 문신인 허집을 학행으로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증직하고, 부인 유인 이씨 역시 남편의 품계에 따라 숙부인으로 증직함을 알리는 교지이다.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양천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증직 교지 두 점 모두 필사본이며, 낱장...
-
경기도 용인시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권근의 시문집. 『양촌선생집(陽村先生集)』은 조선 전기 태종 대의 문신인 양촌(陽村) 권근(權近)[1352~1409]의 시문집으로, 1674년(현종 15)에 중간한 후쇄본이다. 19권 4책이며 목판본이다. 표제는 양촌선생집(陽村先生集)이다. 크기는 가로 20㎝, 세로 27.5㎝이다. 『양촌선생집』은 원...
-
조선 전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자영(子永), 호는 소원(少原). 증조부는 황을구(黃乙耈)이고, 할아버지는 황하신(黃河信)이며, 아버지는 증좌찬성(贈左贊成) 황사간(黃士幹)이다. 아들은 황석경(黃碩卿)과 황준경(黃俊卿)이 있다. 황효원(黃孝源)[1414~1481]은 세조 대부터 성종 대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특히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왕위에 오를...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시호는 양혜(良惠). 증조부는 전리정랑(典理正郞)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심용(沈龍)이고, 할아버지는 좌정승(左政丞) 청성백(靑城伯) 정안공(定安公) 심덕부(沈德符)이며, 아버지는 부윤(府尹) 심징(沈澄)이다. 아들은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심선(沈璿)이다. 세종의 장인인 심온(沈溫)의 조카이며,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사촌이다....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곤산(昆山)[昆陽]. 자는 달지(達之), 시호는 양호(襄胡)이다. 곤산배씨(昆山裵氏)의 시조이다. 어려서부터 담력이 뛰어났으며 궁마(弓馬)와 병법에 능통했다. 1447년(세종 29) 내금위 사용(司勇)에 임명되었고 1454년(단종 2) 무과에 급제했다. 1464년(세조 10)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있을 때 진응사(進鷹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
-
조선 전기의 무신. 이종무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이 시기에 빈번하게 침입한 왜구를 물리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 성질이 순박하고 진실하였으며, 죽은 뒤에 용인시 고기리에 묻혔다. 태종 대에는 2차 왕자의 난을 진압하여 통원군(通原君)에 봉해졌으며,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돈...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활동하는 어린이 뮤지컬 극단. 어린이극단 리틀용인은 춤과 노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이 넘치는 경기도 용인시 지역의 초등학생들로 구성된 비영리 문화단체로서, 정기 공연은 물론 봉사 공연, 다양한 체험 학습을 통해 어린이들의 문화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어린이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이효정 단장은 어린이를 위한 문...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활동하는 어린이 뮤지컬 극단. 어린이극단 리틀용인은 춤과 노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이 넘치는 경기도 용인시 지역의 초등학생들로 구성된 비영리 문화단체로서, 정기 공연은 물론 봉사 공연, 다양한 체험 학습을 통해 어린이들의 문화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어린이 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99년 이효정 단장은 어린이를 위한 문...
-
어물전의 젊은 상인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어제는 여주장(5.10)에 갔다 왔으며 주로 순환하는 곳이 장현(남양주-2.7), 오산(3.8), 장호원(4.8)이라 했으며, 사는 곳은 수원이라 했다. 대체로 개시 손님에게는 조금 싸게 해 줘서라도 그냥 보내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통념이니 좋은 것을 저렴하게 사려면 아침 일찍 오는 것이 물건 싸게 사는 비법이냐는 말에 웃음을 보였다. 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 속하는 법정리. 용인시 처인구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동저수지가 있고 안성과 경계를 이룬다. 어비동에서 유래되었는데, 1879년[정조 13]에 간행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 같은 명칭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래 용인현 하동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어비동에 수역(壽域)을 합치고 남촌면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에서 국도 45호선으로 안성시와의 경계에 이르면 도로 서편에 해발 143m의 안산이 보인다. 이 곳에서 이동저수지 방면으로 진입하면 안홍국정려각에 이르고, 정려각에서 소로를 따라 50m 쯤 나아가면 안산 정상부로 향하는 산길이 나타난다. 이 산길로 15m쯤 나아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 절터. 어비리 이동저수지에 수몰된 금단사지에 대한 정확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마을에 전해지는 구전에 의하면 어비리 높은재[금단골]에 금단사가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폐사되었다고 한다. 폐사된 금단사의 유물들을 어비리 주민들이 수습하여 봉안하고 어비울절[금단사지 하단 300m 지점]을 짓고 치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 동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삼층석탑. 금단사지에 있던 삼층석탑이 어비리 어미울마을로 이전되었다가 저수지 공사로 수몰당하게 되자 동도사로 옮겨 복원하였다. 탑을 옮길 때에 석탑 내부에서 토제 삼층소탑(土製 三層小塔) 1점과 청석제 향로(靑石製香爐) 1점이 발견되어 현재 국립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석탑에서 발견된 소탑(小塔...
-
경기도 용인시 이동읍 천리에서 어윤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77년 4월 10일 이동면[현 이동읍] 천리에서 이영구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하였다. 이동면에 있는 어비천은 진위천이라고 하는데, 본래는 장호천이라고 불렀다. 이 장호천의 한 줄기에 어비울(魚悲鬱)이라고 불리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선보(善甫). 아버지는 소문난 효자인 어진혁이다. 집안의 전통을 이어받아 『소학(小學)』을 학문의 근본으로 삼고 학업에 열중하였는데, 아버지가 병으로 6년 동안 고생하자 간병하는 일에 전심하여 과거도 보지 않았다. 마음은 물론 행동도 조심하면서 병구완에 힘썼지만, 마침내 상을 당하자 3년동안 시묘하면서 죽으로만 연명하는 등...
-
조선 후기 용인현령을 역임한 문신. 1699년(숙종 25) 과거 시험에 이성휘(李聖輝)가 제출한 시권(試券)에 부정이 발견되어 이에 여러 사람들이 문초를 받는 기묘과옥(己卯科獄)이 발생하였다. 문초를 받던 사람 중에는 이성휘와 함께 과거 시험을 본 송성(宋晟)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송성의 매부가 바로 어사주(魚史周)였다. 송성은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고자 어사주에게도 증인이 되어 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함종어씨 정려각. 함종어씨 문중의 어진혁(魚震赫), 어사량(魚史良), 어운해(魚運海) 등 3대에 걸친 효자 정려각이다. 1864년(고종 1)에 조정에서 정문을 내렸다. 그 후 아들과 손자까지 3대가 효자로 명정(命旌)되었다. 용인에서 국도 45호선로 이동저수지로 가다 송전에서 국도 82호선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함종어씨 정려각. 함종어씨 문중의 어진혁(魚震赫), 어사량(魚史良), 어운해(魚運海) 등 3대에 걸친 효자 정려각이다. 1864년(고종 1)에 조정에서 정문을 내렸다. 그 후 아들과 손자까지 3대가 효자로 명정(命旌)되었다. 용인에서 국도 45호선로 이동저수지로 가다 송전에서 국도 82호선을...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공소(孔昭). 할아버지는 어진혁(魚震赫)이고 아버지는 어사량(魚史良)이다. 어운해(魚運海)[1750~?]는 집안의 전통을 이어받아 어려서부터 효도를 다하였다. 아버지 어사량이 등창으로 병석에 있을 때 입으로 고름을 빨아 낫게 하였다. 어머니가 병석에 누워 한겨울에 대추가 먹고 싶다고 하자 눈 속에서 대추를 구해 왔...
-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집(聖執), 호는 일재(一齋). 어약우(魚若愚)의 아들이다. 어윤중은 9세에 어머니를, 16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렸을 때부터 농사일을 하면서 밤에는 독서를 하였다. 20세 때인 1868년(고종 5) 지방유생 50명을 뽑아 바로 전시(殿試)를 볼 수 있는 칠석제(七夕製)에 합격하고, 이듬해인 186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과 원삼면 사암리, 양지면 남곡리에 걸쳐 있는 산. 주 능선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데, 북쪽으로는 400m 이상의 봉우리들이 갈미봉까지 연속되어 있다. 또한 서쪽에는 남곡천이 북류하는 은이골이 있고 남쪽은 곱등고개와 문수봉으로 이어지며, 그 동쪽 사암리의 유수는 용담저수지에 모였다가 청미천으로 유입된다. 동쪽으로는 용실고개·독조봉·좌찬고...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른 예절 바른 어린이, 개성과 창의성이 있는 슬기로운 어린이, 참여와 협동을 잘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등 꿈과 보람을 키우는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굳세게’이다. 1947년 9월 1일 구성국민학교 어정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학급으로...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경백(驚百). 양숙공(襄肅公) 어세공(魚世恭)의 후손으로, 아들은 어사량(魚史良), 손자는 어운해(魚運海)이다. 어진혁(魚震赫)[1684~?]은 어릴 적부터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의 병세가 위중하자 목욕재계하고 냇가에 가서 얼음을 깨고 3일 동안 기도를 하였더니 잉어가 스스로 뛰어올라 왔다. 그 잉어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법정동. 언남동은 행정동으로는 기흥구 구성동에 속한다. 과거 용인현의 치소(治所)가 있던 곳으로 구성 지역의 중심이 되는 곳이다. 언동(彦洞)과 남동(南洞)을 합쳐 한 글자씩 취해서 생긴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언동과 남동을 합쳐 언남리라고 하고 읍삼면(邑三面)에 편입했다. 인근의 마북리와 함께 읍삼면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언남동 유적은 상당히 광범위하게 낮은 구릉 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곳에 위치해, 일찍부터 선사시대 유적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서 언급이 있어왔다. 언남동 유적은 용인향교가 위치한 구릉의 동편에 있었으나 아파트 건설 공사로 인해 모두 훼멸되었다. 유적의 남쪽으로는 탄천이 흐르고 그 언저리에는 현재 영동고속...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며 예절 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소질과 특기를 기르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과 희망을 가꾸는 언남어린이’이다. 2005년 1월 14일 언남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5년 3월 1일 초대 박경춘 교장이 취임하였고, 같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목표는 기본 생활에 대한 바람직한 의식과 행동을 지닌 사람(도덕인), 창의적인 사고와 탐구력을 지닌 미래지향적인 사람(창의인), 자기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실력인), 건전한 정신과 체력이 조화를 이룬 건강한 사람(건강인), 세계인으로서 자질과 소양을 갖추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세계인)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과 어울려 살며 애국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실력을 기르는 어린이, 개성과 소질을 키우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아름답고, 슬기롭게’이다. 2002년 1월 14일 언동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2년 5월 25일 초대 양재식 교장이...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언론 기관들과 이들이 제공하는 일체의 뉴스와 정보. 언론이란 신문사나 방송국, 통신사 등의 기관들이 여러 가지 사건이나 현상들을 취재하고, 때로는 거기에 대한 의견을 첨가하여 대중들에게 정기적으로 제공해 주는 활동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활동을 하는 기관을 지칭하기도 한다. 용인시와 같은 지방에서의 언론이란 중앙언론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제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홍은열(洪殷悅)을 시조로 하는 남양홍씨(南陽洪氏)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문으로 ‘당홍(唐洪)’과 ‘토홍(土洪)’ 두 계열로 나눈다. 남양홍씨 당홍의 세계는 시조의 12세손에서 갈라진 13파 등 15개 파로 대별되는데, 그 중 벼슬을 지낸 내력과 후손의 수가 많은 파로는 남양군파·문정공파·판중추...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한역되어 전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입을 통하여 전해 오며, 지혜나 교훈을 비유적·상징적으로 압축하여 민족 전체가 공유하는 훌륭한 민족적 언어 예술이요 문학 유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속담의 세 가지 요건을 들자면 첫째, 민중 속에서 생산된 관용적 표현이다. 둘째, 보편적인 의미를 강조하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릉리에서 미륵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79년 4월 23일에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에 사는 김광현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하였다. 원삼면 목신리 장승동 길 옆에 미륵이라고 불리는 석불이 있는데, 옛날부터 수태하지 못하는 여인이나 원치 않은 아이를 임신한 여인이...
-
학일마을 마을회관의 장롱에는 다양한 것들이 숨겨져 있다. 남녀의 혼례복과 장신구들, 공연도구들이 그것이다. 그 중에 눈에 띄는 것이 하나 있다. 시골장터에 가면 엿을 팔면서 큰소리로 호객하며 공연하는 각설이들이 입을 법한 누더기 옷이 그것이다. 혹시나 해서 조심스레 용도를 물어봤다. 아니나 다를까 돌아오는 대답은 “거지 옷이야.” 공연 때 거지 역할 때 입는 옷이란다....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얼카뎅이냐 소리」는 호미로 논을 맬 때 부르는 민요로, 메기는 소리 없이 “얼카덩이냐”만 주고받다가 끝에 "어-" 하고 치며 나온다. 처인구 양지면을 제외한 동남부 지역에서는 2음이나 4음으로 구성된 매우 단순한 선율로 구전되는 노래이다. 2004년에 출간한 『경기논맴소리자료총서』3에 수록되어 있다. 어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소년 중심의 클래식 음악 연주 단체. 클래식 음악을 접할 기회가 적은 청소년들에게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음악과 친해지는 분위기를 심어주고 훌륭한 음악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수지청소년오케스트라는 초등 3학년생부터 중등 2학년생까지 23명의 단원을 중심으로 2001년 12월에 창단되었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과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를 잇는 경전철. 경전철은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가 비교적 저렴하고 도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첨단 대중 교통 수단이다. 버스와 지하철의 중간 규모의 수송력을 갖추고 있으며 정밀하고 자동화된 무인 운전으로 운영비 절감이 가능하다. 경기도 용인시는 갈수록 심화되는 교통 문제를 해소하고자 2005년 용인경전철 공사를 착...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에 있는 의료용 진단 시약 제조업체. 1999년 2월 주식회사 에스디를 설립하고, 2000년 2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경기중소기업청으로부터 벤처기업 인증을 받았다. 2000년 6월 체외 진단 시약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고 본격적인 연구에 돌입하여 2003년 9월 세계 최초로 말라리아 진단 시약을 개발하였고, 같은 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리에 있는 전자 부품 제조업체. 동기식 모터 및 타이머와 전자 부품 및 정보 통신 관련 제품 등 가전 제품 부품을 제조하고, 플래시 기반 컨텐츠를 비롯한 솔루션 개발을 선도하는 토탈 솔루션 전문 개발 업체이다. 1987년 4월 15일 협진정밀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6월 공장 가동을 시작하였다. 1992년 11월에는 1000만 불 수출의 탑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에 있는 생활 가전제품 제조업체.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과 경영 혁신을 통해 국내·외 특허 및 지적 재산권 40여 종을 출원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생활 가전제품 생산 전문 중소기업이다. 1997년 1월 25일 에이스전자로 출발하여 1999년 4월 1일 에이스전자(주)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2000년 11월 25일 용인공장을 준공하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반도체 핵심 부품 제조업체. 반도체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기초 재료인 세금선을 제조하는 회사로서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인 암코, 스테츠칩팩코리아,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에 자체 개발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양질의 반도체 부품 생산을 통하여 첨단 산업의 근간인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
-
조선 후기 용인에 무덤이 있는 효자.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여고(汝固). 아버지는 이각(李珏)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慶州金氏) 김한윤(金漢胤)의 딸이다. 부인은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응회(李應會)의 딸이다. 이호정은 순조 대에서 고종 대까지 살았던 효자로 본래 보령(현재의 충청북도 보은군) 출신이나 용인의 노곡(老谷)으로 이사하였다. 근검하고 근면하게 생활하여 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 자는 여고(汝皐). 조부는 인평부원군 이보혁(李普赫),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경호(李景祜)이다. 1757년(영조 33) 정시(庭試) 춘당대에서 장원 급제하였고, 사간원지평·홍문관교리 등 청요직을 역임하였다. 1763년(영조 39) 암행어사로 호서 지방을 감찰하였다. 이어 홍문관교리로서 세자시강원필선·문학 등을 겸임하였고, 사헌부헌납·홍문관수찬을 거쳐...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성(汝省), 호는 송음(松陰)·미강(眉江). 할아버지는 절도사 이원, 아버지는 군수 이통(李通)이다. 어머니는 영의정 유전(柳㙉)의 딸이다. 1613년(광해군 5), 19세의 나이로 진사가 되었으나, 당시 폐모론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두문불출하다가 인조반정 후인 1624년(인조 2)에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처음 전적에 임명되어 정...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여순(汝詢), 호는 죽유(竹牖). 아버지는 개성유수 이후산(李後山)이고, 어머니는 풍산김씨로 판서 김수현(金壽賢)의 딸이다. 1663년(현종 4) 사마시에 합격한 뒤 이듬해 정릉참봉(靖陵參奉)에 임명되었다. 1673년(현종 14) 빙고별검(氷庫別檢)이 되었으나 파직 당하였다가 1678년(숙종 4) 복직되었으며, 이어 동몽교관(童蒙敎官)...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여술(汝述), 자호(自號)는 수우(守愚). 참봉 박동민(朴東民)의 아들이다. 박환은 어릴 때 부모를 모두 여의고 둘째 고모와 숙부 밑에서 자랐다. 1623년 인조반정에 참여한 공로로 6품직에 특제(特除)되어 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인제현감을 지냈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여러 고을의 군사를 모아 부원수로...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1771년(영조 47) 과거에 급제하였다. 통덕랑(通德郞)에 올랐으나 모친께서 병으로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어 병을 돌보는 데 온갖 정성을 다하였다.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약재를 구하여 탕약을 해드렸다. 병세가 위독해진 뒤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피를 드리니 수명이 조금 연장되었다. 돌아가신 후에는 졸곡(卒哭)이...
-
진총후를 시조로 하고 진화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여양진씨는 원래 중국에서 한반도에 들어와 정착한 문벌이다. 원조는 송나라 때의 복주 사람 진수(陣琇)이다. 우윤의 벼슬에 있었는데 국란이 일어나자 한반도에 건너와 지금의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 해당하는 여양현 덕양산 아래 정착하였다. 진수의 후손 진총후가 고려에 출사하여 예종 때 신호위대장...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여온(汝溫), 호는 겸제(謙濟). 증조부는 황징(黃澄)이며, 조부는 황준원(黃浚源)이고, 외조부는 조계상(曹繼商)이다. 아버지는 황순경(黃舜卿)이고, 부인은 파평윤씨(坡平尹氏) 윤준(尹濬)의 딸이다. 황림(黃琳)[1517~1597]은 1552년(명종 7) 식년시(式年試)에서 을과 4인으로 급제하여 1562년(명종 17) 돈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평창리에서 여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인시 양지면 평창리에 사는 윤정현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2006년에 출간한 『용인시사』4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떤 사람이 아들은 있는데 딸이 없어서 딸 하나 낳기를 소원하였다. 그런데 어떻게 하여 임신을 하고 딸을 낳게 되었다. 어렵게 얻은 딸이 참으로 예쁘고 귀해서 아들 말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우 잡은 소금장수 이야기.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려 있다. 비슷한 이야기가 2000년에 출간한 『용인 중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둔갑한 여우」라는 제목으로 채록되어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소금장수가 소금가마를 짊어지고 산 고개를 넘어가다가 개울가에서 점심을 먹고 있는데 이상한 소리가 들렸...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여욱(汝旭). 아버지는 이정준(李廷俊)이며, 어머니는 부평이씨(富平李氏)로 참봉 이희재(李熙載)의 딸이다. 이휘(李暉)[1655~1723]는 숙종 대에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비변사낭관·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평안도절제사·금군장(禁軍將)·방어사를 지냈고, 해남현감 및 덕원·곡산·회령 등의 부사와 옥천군수·정주목사 등...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익(汝益), 호는 추탄(楸灘) 또는 토당(土塘). 사헌부 감찰을 지낸 오경민(吳景閔)의 손자이고, 선공감역 오희문(吳希文)의 아들이며, 부인은 이응화(李應華)의 딸이다. 1582년(선조 15) 사마시에 합격한 뒤 문음으로 영릉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다시 봉선전참봉(奉先殿參奉)에 임명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
조선 전기의 문신. 조연(趙捐)[1374~1429]은 벼슬에 나간 뒤 파천된 일이 없었고 4대조에 걸쳐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재화를 탐하지 않고 국정에 힘썼다. 문신이면서도 야인 정벌에 무공을 떨치기도 하였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여정(汝靜), 초명은 조경(趙卿). 아버지는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이고, 어머니는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부친인 환조...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호는 시당(時堂), 이명(異名)은 조현(祖鉉, 肇鉉)이다. 여준은 1906년 이상설(李相卨)·정순만(鄭淳萬)·이동녕(李東寧)·박정서(朴禎瑞)·김우용(金禹鏞)·황달영(黃達永) 등과 함께 북간도 룽징[龍井]에서 서전서숙(瑞甸書塾)을 설립하여 항일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1912년에는 독립군을 양성하는 신흥강습소의 유지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여중(汝中).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안향(安珦)의 21세손이다. 안희중(安禧重)[1728~1800]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1743년(영조 19) 6월 그믐날 밤 폭우가 쏟아져 사당이 무너지려 하였으나 부모님은 모두 병석에 누워 있었다. 당시 16세였던 안희중은 급히 사당으로 뛰어 들어가 대들보를 붙잡고...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여진(如進), 호는 과재(果齋)이다. 증조부는 윤시영(尹時英), 조부는 윤징(尹澄), 아버지는 윤우신(尹又新)이다. 외조부는 유문윤(柳文潤), 부인은 원경심(元景諶)의 딸이고, 아들은 윤형갑(尹衡甲)이다. 1583년(선조 1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檢閱)·지평(持平) 등을 지냈다. 1587년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백암면 고안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조선시대부터 삼남대로 또는 영남대로라고 불리는 서울에서 영남을 왕래하는 대표적인 도로였다. 여천~용인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사거리이고, 종점은 안성시 일죽면의 경계인 백암면 고안리 아곡마을이다. 양지면 양지리에서 국도 42호선인 인천~동해 선과...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반남. 자는 상보(尙甫), 호는 여호(黎湖)·요계(蓼溪)이다. 군수 박태두(朴泰斗)의 아들이다. 1717년(숙종 43) 영의정 송상기(宋相琦)의 천거로 시강원자의(侍講院諮議)가 되었다. 지평(持平)·장령(掌令)·진선(進善)·집의(執義) 등을 지내고, 세자찬선(世子贊善)·이조판서·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 서원을 철폐한...
-
경기도 용인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종교. 여호와(Jehovah)를 신앙 대상으로 하며, 1870년대 초에 미국에서 찰스 테이즈 러셀(C.T. Russell)을 중심으로 한 성서연구그룹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다. 한국 사회에서 양심적 병역거부 뿐만 아니라 『파수대』와 『깨어라』라는 소책자로 익숙한 여호와의 증인의 세계 본부는 뉴욕 브루클린에 있고, 남자 장로들의 모임인 ‘통...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여화(汝和), 호는 만운(晩雲). 아버지는 오희문(吳希文)이며, 큰아버지 오희인(吳希仁)에게 입양되었다. 영의정을 지낸 오윤겸(吳允謙)의 아우이고, 오달제(吳達濟)의 아버지이다. 선조 말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1610년(광해군 2) 세자익위사부솔(世子翊衛司副率)이 되고, 이해 별시문과에...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여회(汝懷), 호는 성곡(聖谷). 문성공 유순정(柳順汀)의 9대손이며 아버지는 이조참판 유진운(柳振運)이다. 남구만(南九萬)에게 수학했으며, 문필로 이름이 있었다. 1706년(숙종 32) 진사시에 급제한 뒤 괴음현감(槐陰縣監)을 지냈으며, 1721년(경종 1) 증광문과(增廣文科)에 급제하였다. 이후 영남어사(嶺南御使)를 거쳐...
-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회(汝恢). 정종의 일곱째 아들 이덕생(李德生)의 후손으로 승지에 추증된 이징후(李徵厚)의 손자이다. 양주(楊洲) 조희석(趙禧錫)의 외손자이며, 아버지는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된 이제상(李齊尙)이다. 아들은 이정인(李廷仁)이다. 이상성(李相晟)[1690~1741]은 숙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활동하였으며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법정동. 역동에서의 ‘역’자와 북동에서의 ‘북’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역은 이곳에 조선시대 금령역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본래 용인군 수여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역동과 북동을 합하여 역북리라하여 용인면에 편입되었다. 1937년 4월 1일 용인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79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수령 260년의 느티나무. 우리나라 전 지역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 수형은 평정형이며 느릅나무과에 속한다. 꽃은 5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열매는 일그러진 편구형으로 10월에 익는다. 내한성으로 심근성이며, 이식은 용이한 편이고, 마을 어귀나 동네의 정자목으로 널리 식재되는 나무이다. 나무 높이는 20m, 가슴 직경은 1.6m이며,...
-
1933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일대의 소작농들이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상대로 일으킨 소작쟁의. 1930년대 초 세계 경제공황의 여파로 인해, 조선에서는 쌀값이 폭락하고 농민의 부채가 가중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1930년대 경기도 용인시의 농민운동 역시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본격화되었다. 1930년대 경기도 용인시의 경작면적은 경기도 전체 면적에 비해 매우 영세한 규모였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교육을 충실히 하여 건전한 인성과 풍부한 감성을 길러 미래에 적응할 수 있는 진취적인 어린이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신나게 뛰어놀며 꿈꾸는 어린이’이다. 1999년 9월 1일 역북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초대 방원조 교장이 부임하였다. 1999년 10월 2일 12학급으로 개교하였으며, 20...
-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경기도 용인시의 역사. 용인이라는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의 변화를 거쳐 1413년(태종 13)에 등장했다. 오늘날 용인시의 영역이 형성된 것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용인군과 양지군, 죽산군의 일부가 통합됨으로써 그 모태가 마련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은 지역 내외의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변화를 거듭해 오는 가운데 형성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행정동. 역삼동이라는 이름은 역북리에서의 ‘역’자와 삼가리에서의 ‘삼’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수여면(용인면) 지역으로 역북리·삼가리였다. 1937년 4월 1일 용인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용인면이 용인읍으로 승격되었고,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역삼동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위치한 주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편익 시설. 역삼동주민센터의 여유 시설과 공간을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로 꾸며 주민 공동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주민 자치 활동의 구심체이다.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 교육과 자치 의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역삼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1읍 4동 6면 중 역삼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역삼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됨에 따라 역북...
-
조선 중기의 문신. 이경장(李敬長)[1482~1561]은 은의(恩義)로 백성을 다스렸으며 근면함을 생활신조로 삼았다. 두루 관직을 역임하면서 80세가 되도록 큰 허물이 없었으니 모든 사람들이 칭송하였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흠중(欽仲). 호는 역헌(櫟軒). 증조부는 증 좌의정(贈左議政) 이회림(李懷林)이고, 조부는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이다. 아버...
-
조선 후기 김간이 조광조에 대한 추모의 정을 그린 오언절구의 한시. 김간(金幹)[1646~1732]의 문집인 『후재집(厚齋集)』권1에 전한다. 작품의 제목 「연(蓮)」 밑에 “연지는 조선생이 직접 팠다(蓮池卽趙先生親鑿)”라고 부기하였다. 연(蓮)의 일반적인 속성을 서술하고,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성품과 비의해서 형상화하여 추모의 정을 표현하고 있다. 진흙에서 나...
-
경기도 용인시에서 배우가 희곡 속의 인물로 분장하여 몸짓·동작·말로써 연희 장소에서 창출해 내는 종합예술. 연극은 인간의 삶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를 탐색하고 조망하는 예술 장르의 하나로, 무대라는 공간 위에서 연기자와 연출자·무대 스테프들의 창조적인 작업의 결과로 나타나는 종합예술이다. 모든 예술이 인간의 삶을 표현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두듯 연극 역시 인간의 근원적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 43호선은 충청남도 연기에서 고성으로 연결되는 국도로 용인시 북부 지역을 동서로 횡단한다. 연기~고성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수지구 상현동-수원시 경계이며 종점은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 왕림교까지이다. 용인시 구간의 연장은 14.20㎞로 상하행 2차선이었으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있는 노인 복지 단체. 도덕과 윤리의 기본 정신인 효와 경로 사상을 현대적 가치로 계승, 발전시켜 노년의 질병 예방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아울러 노인들의 사회 참여와 여가 시간을 위하여 노년 문화 진흥 사업을 전개하고, 효의 사회화 운동을 펼쳐 모든 세대가 함께 하는 사회를 구현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권익을 보...
-
조선 후기 용인 거주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석여(錫汝), 호는 연농(硏農)이다. 경기도 광주에서 출생하여 용인현 수여 남동에서 거주하였다. 집안은 가난하였지만 어버이를 봉양하는데 소홀함이 없이 항상 곁에서 모시고 입에 맞는 음식과 계절에 어울리는 옷을 준비하는 데 온갖 정성을 다하여 용인현에서 이름난 효자였다. 1859년(철종 10) 사마시에 합격...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지구(之衢), 호는 만절당(晩節堂). 증조부는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정당문학(政堂文學) 박문보(朴文珤)이고, 할아버지는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박영충(朴永忠)이며, 아버지는 병조참의를 지낸 연흥군(延興君) 박고(朴翶)이다. 어머니는 양성이씨(陽城李氏)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이한(李澣)의 따님이다. 아들은 찬성사(贊成事)...
-
조선 전기의 문신. 이석형(李石亨)[1415~1477]은 세종 대부터 성종 대까지 활동한 문신으로, 김반(金泮)의 문인이다. 뛰어난 학문으로 당대 8대 문장가로 꼽히기도 하였다. 집현전학사였으나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죽임을 당한 사육신(死六臣)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그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시를 짓는 것에 그쳤다.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온 뒤에 “중국은 다만 성곽(城郭)만이...
-
조선 전기의 무신. 이숙기(李淑琦)[1429~1489]는 세조와 성종 대에 활동하였다. 성품이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으며, 기개가 넘쳐 무신의 자질이 뛰어났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졌고, 건주위(建州衛)를 정벌하는 등 국경을 수비하는 데 힘을 기울인 명장(名將)이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공근(公瑾). 증조부는 판전의...
-
김섬한을 시조로 하고 김광유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시조 김섬한(金暹漢)은 대보공 김알지의 후손으로,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감 사문박사(四門博士)를 지냈다. 한 형제가 같은 조정에 벼슬하면서 왕에게 직간하다가 도리어 왕의 노여움을 사서 형은 강릉에, 아우는 연안으로 유배되었다. 김섬한의 후손들이 연안김씨로 전해진다. 김섬한 이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중기 연안부부인 전씨의 묘. 연안부부인 전씨(田氏)는 성종의 장모이자 중종의 외할머니로, 영원부원군(鈴原府院君) 윤호(尹壕)의 부인이다. 윤호가 신창현감으로 있을 때인 1462(세조 8)년 6월 26일 낳은 딸이 성종의 계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이다. 본래 성종의 비는 한명회의 딸이었으나 19살로 요절하였고, 뒤를 이어...
-
이무를 시조로 하고 이석형(李石亨)과 이원발(李元發)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시조는 이무(李茂)이다. 본래 당나라 사람으로 백제를 침공할 때 소정방을 따라온 장수였다고 한다. 지금의 황해도 연안(延安)을 지키다가 당이 측천무후의 전횡으로 어지러워지자 신라에 귀순하였다. 김유신의 주청으로 연안을 식읍으로 주어 연안후에 봉해졌다. 저헌(樗軒) 이석형, 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 연안이씨의 정려각. 연안이씨는 이형원의 딸로, 16살 때 박래영과 결혼하였는데, 시어머니는 이미 작고하였고, 시아버지는 병환으로 문밖 출입도 못하고 있었다. 대소변을 받아내는 등 7년여 동안 극진히 간병하였으나 시아버지는 마침내 세상을 떠났다. 남편 박래영도 병약하여 24살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나자 연...
-
정습명을 시조로 하고 정보와 정지한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시조는 신라 때 간관(諫官)을 지낸 정종은(鄭宗殷)이며 그 후손인 정습명(鄭襲明)을 중시조로 하는 지주사공파와 정극유(鄭克儒)를 중시조로 하는 감무공파가 있다. 이 양파는 시조를 같이하면서도 그 중간 계보를 잃어버려 서로 촌수를 헤아리지 못한다. 고려 말의 충신인 포은 정몽주가 가장 유명하며...
-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시집. 1723년(경종 3)에 오명준(吳命峻)[1662~?]이 사신으로 청나라의 연경(燕京)에 가게 되자, 이를 송별하기 위한 연회에서 동생과 친구들이 지어 준 시를 모아 간행하였다. 불분권 1첩이며, 필사본이다. 표제는 연행별어(燕行別語)이다. 크기는 가로 32.2㎝, 세로 48.5㎝이다. 동생 오명항(吳命恒)...
-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조영복이 북경을 다녀오면서 쓴 일기와 동료 대신들과 주고받은 송별시 및 편지 등을 모은 첩. ‘연행일록, 연행별장 외 명현간찰(燕行日錄, 燕行別章 外 名賢簡札)’은 이지당(二知堂) 조영복(趙栄福)[1672~1728]이 지은 『연행일록(燕行日錄)』 1책, 『연행별장(燕行別章)』 1책, 『명현간찰(名賢簡札)』 34건 등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호는 회헌(晦軒). 고려에서 정승을 지낸 박전지(朴全之)의 고손이며, 할아버지는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정당문학(政堂文學) 박문보(朴文珤)이며, 아버지는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박영충(朴永忠)이고, 부인은 양성이씨(陽城李氏)로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이한(李澣)의 딸이다. 아들은 영의정 박원형(朴元亨)이다. 현재의 서울특별시 동대...
-
조선 후기 용인의 열녀. 본관은 연안. 아버지는 이형원, 남편은 박래영이다. 1785년(정조 9)에 출생하여 16세 때에 박래영과 결혼하였다. 그때 시어머니는 이미 작고하였고, 홀시아버지는 병환으로 문밖출입도 어려운 실정이었다. 7년 동안 극진히 간병하였으나 마침내 세상을 떠났고, 병약하던 남편마저 24세 되던 해인 1809년(순조 9) 세상을 떠났다. 이씨는 멸성지정으로 애통하더...
-
조선 후기 용인의 열녀. 박씨 여인은 일찍이 남편을 여의고 홀로 살았는데 이웃에 사는 박삼봉이란 자가 밤중에 침입하여 박씨를 겁탈하려 하였다. 이에 박씨는 몸을 빼어 도망하였다가 간수를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관찰사 이재학이 이러한 사실을 장계로 아뢰니 풍덕김씨 여인의 예대로 정려하고 박삼봉은 추관(秋官)으로 하여금 신문하여 형벌을 내리게 하였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 하마산에 있는 열녀비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열녀비고개는 용인시 모현읍 일산리 하마산과 왕산리 중간 지역을 잇는 고개로, 옆에는 내가 흐르고 있다. 열녀비는 맞은편 산중턱에 세워져 있다. 지금과 달리 옛날에는 길이 좁고 내가 깊어서 오고가는 사람 중에 빠져죽는 이도 더러 있었다고 전한다. 1978년에 용인시 처...
-
조선 중기의 무신. 이완(李莞)은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때 활약한 무신으로 충무공 이순신(李舜臣)의 조카이다.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을 도와 공을 세웠는데, 1598년(선조 31) 노량해전(露粱海戰)에서는 이순신의 전사를 알리지 않고 병사를 독려하여 대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열보(悅甫). 이정(李貞)의 손자이며, 진주(晋州) 강세온(姜世溫)의...
-
조선 전기 용인의 열부. 본관은 함양(咸陽). 아버지는 박장춘(朴長春)이며, 남편은 청주한씨(淸州韓氏) 한용주(韓用疇)이다. 박씨(朴氏)[1436~1449]는 열네 살 때 용인에 사는 한용주에게 출가하였으나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남편이 병을 얻어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였다. 박씨는 온갖 정성을 다하여 간병하였으나 효험이 없었다. 이듬해 1월 남편의 목숨이 경각에 달하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부 강화최씨의 묘소 입구에 세워진 표석. 모현읍 일산리의 광산김씨 묘역 입구 도로 경계석 위에 남서향(南西向)으로 강화최씨 순절정려비와 함께 나란히 서 있다. 이선양(李善養)의 처로서, 남편이 병으로 위독하여 수혈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죽자 장례식 날 남편이 사용하던 허리끈으로 목을 매어 순절한 강화최씨의...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수효(秀孝)·계효(季孝)[세종실록에는 계효로 되어 있다.], 호는 나부(懦夫)·신부(侁夫). 아버지는 세종조의 명상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황희(黃喜)이며, 형은 판서(判書) 황치신(黃致身)이다. 황수신(黃守身)[1407~1467]은 1423년(세종 5) 사마시(司馬試)에 응시하였다가, 학문이 부진하다고 시관(試官)에게 욕을...
-
일제강점기 개신교 순교자. 염광(塩光) 박관준은 1875년 평안북도 영변군에서 출생하였다. 1900년경 개신교 신자가 되었으며, 한방 의술을 배워 1917년 조선의생(朝鮮醫生: 지금의 의사) 면허를 받고 개업하여 193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십자의원을 운영하였다. 개천교회(价川敎會) 장로로 재임하던 중 1935년경부터 일제가 개신교 신자들에게도 신사참배(神社參拜)를 강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교단 소속 교회. 1953년에 창립되었으며, 2006년에 6대 목회자로 김재학 목사가 취임하여 현재까지 시무하고 있다. 매주 일요일 오전과 오후에 정기 예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매주 화요일에는 화요 기도회가 열린다. 매주 수요일에는 수요 예배가 열리며, 매주 금요일에는 금요 기도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재개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백암면 고안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조선시대부터 삼남대로 또는 영남대로라고 불리는 서울에서 영남을 왕래하는 대표적인 도로였다. 여천~용인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사거리이고, 종점은 안성시 일죽면의 경계인 백암면 고안리 아곡마을이다. 양지면 양지리에서 국도 42호선인 인천~동해 선과...
-
경기도 용인시에 분포되어 있는, 조상의 신주, 영정을 모셔 두고 제향을 행하는 장소. 지역에 따라 향현사(鄕賢祠)·향사(鄕祠)·이사(里祠)·영당(影堂)·별묘(別廟)·세덕사(世德祠)·유애사(遺愛祠)·생사당(生祠堂)·사당(祠堂) 등으로 불리는 사우(祠宇)는, 조상의 신주와 영정을 모셔 두고 연 수 차례에 걸쳐 제향을 행하는 장소이다. 보통 반가의 사우에서는 부모와 조부모,...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법정동. 용인의 서쪽 끝에 위치하며 수원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신갈동·하갈동과 함께 행정동인 신갈동으로 묶여 있다. 영통에서 ‘영’자를 취하고 덕동에서 ‘덕’자를 따서 생긴 이름이다. 본래 용인현 지내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영통리와 덕동의 일부를 합쳐 영덕리가 되었고 기흥읍에 속하였다. 1994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천주교회. 수원 팔달구의 영통신도시에 사는 가톨릭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1월 31일 영덕성당을 신설하고, 1998년 1월 31일 영덕성당이 신설하고, 1998년 영덕동 황골마을 한솔프라자 7층을 임대하여 초대 박태웅(토마) 주임신부가 부임하였다. 1999년 2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까지 연결되는 고속국도. 영동고속국도는 인천광역시에서 강원도 강릉시를 잇는 고속국도로 고속국도 제50호선이며 길이는 234㎞이다. 수도권과 영동 지방인 강원도를 잇는 고속국도로 영동고속도로라고도 불리며, 1975년 개통되었다. 용인시 구간은 기흥구와 처인구를 동서 방향으로 지난다. 영동 지방인 강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까지 연결되는 고속국도. 영동고속국도는 인천광역시에서 강원도 강릉시를 잇는 고속국도로 고속국도 제50호선이며 길이는 234㎞이다. 수도권과 영동 지방인 강원도를 잇는 고속국도로 영동고속도로라고도 불리며, 1975년 개통되었다. 용인시 구간은 기흥구와 처인구를 동서 방향으로 지난다. 영동 지방인 강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있는 자동차용 필터 제조업체. 합리적인 사고, 도전적인 자세, 변화하는 회사라는 사훈을 내걸고 자동차 부품 업계에서 최고를 추구함과 동시에 인류의 복지와 풍요로운 삶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8년 3월 영동휠타공업사로 출발하였다. 1979년 용인군 구성면 상하리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1986년 (주)현대모비스와 거래를 개시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의약품 제조업체. 최고 품질의 전문적인 진단용 제품의 제조 및 공급을 통해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6년 2월 일동사로부터 출발하였다. 1975년 5월 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받았으며 6월에는 영동제약 주식회사 법인을 설립했다. 1995년 3월 용인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0월에는 영동전자 주식회사를 설립하였...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상(士常), 호는 모암(慕菴)·영모당(永慕堂)이다. 고조부는 영의정 오윤겸(吳允謙), 증조부는 오달천(吳達天)이고, 아버지는 오수량(吳遂良)이다. 외할아버지는 여성제(呂聖濟)이고, 부인은 최기창(崔起昌)의 딸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1705년(숙종 3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1709년 교리를 거쳐 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조선 중기에 건립된 정몽주 묘소의 재실. 영모재는 포은 정몽주의 후손들이 묘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한 건물이다. 이러한 용도의 건물을 재실(齋室), 또는 재사(齋舍)라고 하는데, 제사에 참여하는 후손들의 음복(飮福)과 망제(望祭), 숙식 제공, 제사에 필요한 각종 물건의 보관, 제사 음식의 관리 등이 주요 기능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영문리는 포곡읍의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유림동과 경계를 이룬다. 1914년 영곡(英谷)과 허문(墟門)을 합쳐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이름이다. 본래 용인현 포곡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허문과 영곡·냉천을 합치고 포곡면에 소속시켰다. 2005년 포곡면이 포곡읍으로 승격되었다. 북쪽과 남쪽은 구릉지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1리에 있던 서낭당. ‘영문리 서낭당’은 영문중학교 앞 배머루(배머리)고개에 있었다. 이 고갯길은 김량장이나 용인장을 오고가는 길로서, 마차도 못 다닐 정도의 소로였다. 신목과 돌무더기로 이루어진 형태로서, 신목은 느티나무 고목이며 그 아래 돌무더기가 있었다. 서낭나무에는 색천이 달려 있었다. 영문리 서낭당은 동제의 대상이 아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영문리 선사유적은 모두 세 곳에 분포되어 있어, 각각 영문리 선사유적1과 영문리 선사유적2, 영문리 선사유적3으로 구분한다. 영문리 선사유적1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경안천과 접하는 배머루산에 자리한다. 배머루산의 북서편 건너 구릉지인 참샘봉에 선사유적2가, 시무골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목표는 예절 바르고 효도하는 사람, 자율적이고 책임감을 지닌 사람, 창의적이고 스스로 탐구하는 사람, 강인한 체력과 인내력을 지닌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다. 교훈은 ‘바르고 참되고 힘차게’이며, 교육지표는 21세기를 주도할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영문인 육성이다. 2002년 1월 14일 영문중학교 설립 인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에 있는 식품 제조업체. 1968년 6월 서울시 성동구 행당동에 영미식품으로 설립되었고, 1972년 1월에 현재의 회사 위치로 확장, 이전하였다. 1977년 7월에는 영미산업(주)로 법인 전환을 하였으며, 1979년에는 샘표식품에 옥수수 식용유 오이엠(OEM)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 1990년에는 추출 설비, 자동 포장기를 증설하였고, 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