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현대의 교량은 대부분 철근 콘크리트나 철골로 만들어지고 차량 통행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예전에는 자연석을 이용한 징검다리나 나무를 이용한 섶다리가 대부분이었다. 징검다리는 개울이나 물이 괸 곳에 주로 커다란 자연석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놓아 사람들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을 말한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설과 추석 등의 명절이나 한식 때 조상께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차례(茶禮)는 차사(茶祀)라고도 하는데, 『가례(家禮)』 등의 예서(禮書)에서 정식 제사로 규정하지는 않았지만, 사당에서 행하는 차례나 참배와 성격이 유사하다. 차례는 원래 사당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나, 사당이 없는 집에서는 대청에서 지내며, 신주가 없을 경우에는 지방으로 대신한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장애 아동 주간 보호 시설. 장애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가족 구성원들이 안심하고 사회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일반인들이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복지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11월 9일 용인시 장애아동주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단 방귀 이야기. 1976년에 채록되어 『내 고장 옛이야기』에 실려 있다. 옛날 어느 마을에 감장수가 살고 있었다. 감장수는 워낙 마음이 착해서 사람들로부터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 어느 날, 감장수가 지게에 감을 지고 팔러 다니다가 잠시 쉬고 있는데 잘못하여 지게가 쓰러졌다. 지게 위에 올려 둔 감은 죄다 쏟아져 깨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소재한 사립 종합대학교. 구국·자주·자립의 창학 정신과 진리, 봉사의 교시를 교육의 현장에서 어떻게 실현해 나갈 것인가 하는 구체적인 대학의 교육 목표를 "민족애를 바탕으로 인류 사회에 공헌하는 전문인 양성"이라 세우고, 다시 실천 목표로 인간 존중 정신의 함양, 창의력 개발과 응용, 실용적 능력 배양을 들고 있다. 1947년 11월 1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단국대학교 박물관. 1967년 개관하여 발굴과 유물수집 활동을 통해 1만여 점의 고고·미술 분야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는 단국대학교 박물관이 한국복식사 분야의 권위자인 난사(蘭斯) 석주선(石宙善) 선생이 기증한 전통복식 및 민속 유물을 전시하던 단국대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통합하여 1999년 3월 26일 ‘석주선 기념박물관’으로 새롭...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단국대학교 박물관. 1967년 개관하여 발굴과 유물수집 활동을 통해 1만여 점의 고고·미술 분야의 유물을 보유하고 있는 단국대학교 박물관이 한국복식사 분야의 권위자인 난사(蘭斯) 석주선(石宙善) 선생이 기증한 전통복식 및 민속 유물을 전시하던 단국대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통합하여 1999년 3월 26일 ‘석주선 기념박물관’으로 새롭...
-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1569~1618]은 5세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9세 때 시를 지을 줄 알았으며, 12세 때 아버지를 잃고 더욱 시 공부에 전념하였다. 학문은 유성룡(柳成龍)에게 나아가 배웠으며, 시는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하나인 이달(李達)에게서 배웠다. 이달은 둘째 형의 친구로서 당시 강원도 원주의 손곡리(蓀谷里)에 살고 있었는데, 허균에게 시의...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성유(聖猷), 호는 단암(丹巖)·세심(洗心)이다. 증조부는 민기(閔機), 할아버지는 민광훈(閔光勳), 아버지는 여양부원군 민유중(閔維重)이다. 외할아버지는 송준길(宋浚吉), 부인은 윤지선(尹趾善)의 딸이다. 또한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우참찬 민진후(閔鎭厚)의 동생이다. 아들은 민형수(閔亨洙)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단오(端五), 자호는 애오로(愛吾盧). 문성공 유순정(柳順汀)의 9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유진운(柳振運), 아버지는 유담(柳紞)이다. 부인은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師朱堂) 이씨이며, 『언문지(諺文志)』의 저자 유희(柳僖)의 아버지이다. 영조·정조 대에 활동한 문신으로 벼슬은 높지 않았으나, 담운(澹雲)...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에 있었던 일본인 농장. 단파농장은 토지 개간 및 일반 농업 경영, 조림(造林) 및 토지의 매매, 대차(貸借), 농산물 가공 판매 등과 관련된 사업을 하였던 일본인 농장이다. 1923년 5월 3일 단파직태랑(丹波直太郞)이 자본금 70,000원으로 설립한 합자 회사로,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지금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용인 지역 역시 김매기를 할 때는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단허리」의 경우 처인구 원삼면 일대에서는 주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데, 그 외 지역에서는 재벌매기를 할 때 부른다고 한다. 1987년...
-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초명은 몽란(夢蘭)·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의 후손으로 정운관(鄭云瓘)의 아들이다. 1357년(공민왕 6) 감시(監試)에 합격하고, 1360년 문과에 장원하여 1362년 예문관의 검열·수찬이 되었다. 이때 김득배(金得培)가 홍건적을 격파하여 서울을 수복하고서도 김용(金鏞...
-
경기도 용인시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로도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장례 의식 때 관을 묻고 달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답산가류의 산천풀이와 유택(幽宅) 명당풀이로 이루어지는데, 메기는 소리의 사설은 상여 소리와 큰 차이가 없다. 1983년에 출간한 『내 고장 민요』에 처인구 호동에 사는 김익채(남,...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와 갈담리에 걸쳐 있는 산. 여러 지도에는 달기산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닭산·닭이산·달봉산(達峰山) 등으로도 불리며, 닭을 달[月]과 혼동하여 월계산(月桂山) 이라고도 하였다. 본래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금계포란형)이라 하여 이렇게 불렸다는 설 때문인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서쪽 사면을 비롯하여 곳곳에 많은 묘소가 분포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와 갈담리에 걸쳐 있는 산. 여러 지도에는 달기산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닭산·닭이산·달봉산(達峰山) 등으로도 불리며, 닭을 달[月]과 혼동하여 월계산(月桂山) 이라고도 하였다. 본래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금계포란형)이라 하여 이렇게 불렸다는 설 때문인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서쪽 사면을 비롯하여 곳곳에 많은 묘소가 분포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방아리에 있는 약 180년 수령의 팽나무. 일명 달주나무·매태나무·평나무라고도 한다. 낙엽 활엽교목으로 줄기가 곧게 서며,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고 가지가 넓게 퍼진다. 수피는 회색이며 가지에 잔털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 타원형이며 윗부분에 톱니가 나 있다. 꽃은 잡성화로 5월에 피며, 새로 자란 가지의 밑 부분에 수...
-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곤산(昆山)[昆陽]. 자는 달지(達之), 시호는 양호(襄胡)이다. 곤산배씨(昆山裵氏)의 시조이다. 어려서부터 담력이 뛰어났으며 궁마(弓馬)와 병법에 능통했다. 1447년(세종 29) 내금위 사용(司勇)에 임명되었고 1454년(단종 2) 무과에 급제했다. 1464년(세조 10)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있을 때 진응사(進鷹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와 갈담리에 걸쳐 있는 산. 여러 지도에는 달기산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닭산·닭이산·달봉산(達峰山) 등으로도 불리며, 닭을 달[月]과 혼동하여 월계산(月桂山) 이라고도 하였다. 본래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금계포란형)이라 하여 이렇게 불렸다는 설 때문인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서쪽 사면을 비롯하여 곳곳에 많은 묘소가 분포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와 갈담리에 걸쳐 있는 산. 여러 지도에는 달기산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닭산·닭이산·달봉산(達峰山) 등으로도 불리며, 닭을 달[月]과 혼동하여 월계산(月桂山) 이라고도 하였다. 본래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상(금계포란형)이라 하여 이렇게 불렸다는 설 때문인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서쪽 사면을 비롯하여 곳곳에 많은 묘소가 분포하고 있다....
-
닭전은 백암농협 기술센터에서 우측으로 돌아가 백암면복지회관 맞은편에 자리잡고 있다. 예전에는 쇠전 주변에 닭전이 펼쳐졌다. 쇠전이 융성할 때는 닭전도 덩달아 흥행하였다. 한 평 남짓 크기의 공간에 닭을 펼쳐놓고 부채질만 하는 노점 주인 역시 백암장에 들어온 지 30년이 넘어선다. 예전엔 백암장을 마치면 안성장(2.7)과 광혜원장(3.8), 진천장(5.10)으로 돌았다. 죽암이 집인...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유희요. 「담바귀 타령」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담방구 타령」은 담배를 주제로 한 유희요로, 지역 구분 없이 전국에서 널리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보통 “담바귀야 담바귀야/동래 울산 담바귀야/은을 주려 나왔느냐/금이나 주려고 나왔느냐/은도 없고 금도 없어/담바귀를 가지고 왔네”로 시작되거나, “시작일세 시작일세/담바귀타령이...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순보(純甫), 호는 담와(淡窩). 아버지는 참판 홍우전(洪禹傳)이며, 어머니는 대사헌(大司憲) 이상(李翔)의 딸이다. 담와(淡窩) 홍계희(洪啓禧)[1703~1771]는 영조 대에 활동한 문신으로 시무에 밝고 경세치용(經世致用)에 관심이 많았던 개혁 실천주의자이다. 스스로 노론 이재(李縡)의 문인이라 했으나 대다수의 이재 문인...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성황신에게 지내는 제사. 서낭제, 또는 당고사(堂告祀)라고도 불리는 성황제는 한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신(서낭신)께 드리는 제사이다. 예부터 마을에 따라 공동으로 성황제를 지내는가 하면, 개인적으로 구복(救福)을 위해 지내기도 하였다. 용인 지역의 경우 마을 지명 가운데 서낭뎅이·서낭당고개·서낭나무·장승백이 등이 현재까지 남아 있는데...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신제(洞神祭)라고도 부르는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동신(洞神)에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용인 지역에서는 주로 서낭신과 산신·당나무·장승 등을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동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용인 지역의 마을들은 산을 등지고 남향에 자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의 조상신과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연중 무병과 평온 무사를 비는 의례. 용인시의 각 마을에 따라 산제(山祭)라고도 하는 당제는, 산제사와 구별해서 주로 마을 입구에 있는 제단이나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사당에서 제사를 지낸다. 대부분 정월 초나 시월 상달에 제를 지내며, 제삿날은 보통 운수가 길한 날을 택한다. 제물은 전날 차려 놓으...
-
백암리에 속한 마을로 백암2리이다. 속칭 당뒷마을, 당뒷골 등으로 부른다. 이를 한자로 표기하여 당촌이라 하였다. 예전에 당집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세대수 53호 인구수 147명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통한 점복자 이야기. 「당태종과 점복자」는 고전소설 「당태종전」이 유행하면서 형성된 이야기로 소설의 영향으로 설화가 형성된 경우이다. 「당태종전」은 당나라 태종 이세민이 죽어서 저승에 갔다가 살아서 돌아온 후 불교 전파에 힘쓰고, 삼장법사를 서역에 보내 불경을 구해 온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태종과 점복...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놀이굿. 대감놀이는 대동굿의 일종으로, 만신이 노는 대감놀이와 일반인이 노는 무감놀이를 통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용인 지역에서는 가마실 서낭굿, 하갈동 민제궁 서낭굿, 유방리 원주대동굿, 버드실 대동굿 등의 거리굿에서 전해 온다. 대감놀이는 용인만이 갖고 있는 대동굿으로 열두 거리 중 유일하게 순수한 놀이굿이다. 만신은 신을 즐겁게 하...
-
최초의 천주교 신부이자 순교자로 용인에서 성장한 인물. 본관은 김해. 증조부는 김진후(金震厚)[비오, 1738~1814], 할아버지는 김택현(金澤鉉), 아버지는 김제준(金濟俊)[이냐시오, 1796~1839]이고 어머니는 장흥고씨 우르슬라이다. 어렸을 때의 이름은 김재복(金再福), 족보에 올려진 이름은 김지식(金芝植), 어른이 되었을 때의 이름은 김대건(金大建), 세례명은 안드레아이...
-
고려시대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 구역. 언제 설치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고려 이래 조선 초기까지 특수한 행정단위의 하나로 기능했다. 일반적으로 군현으로 삼아 운영하기에는 인구와 토지가 적은 곳을 대상으로 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양지현(陽智縣)조에 “본래 수주(水州)에 속한 양량촌부곡(陽良村部曲)인데, 본조(本朝:조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대리는 양지면 북쪽 이천시 도척면 추곡리와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용화산 밑의 큰 터라는 뜻으로, ‘한터’ 혹은 ‘대대(大垈)’라 하였다. 본래 양지군 주북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무장동·사기동을 병합하여 대대리라 하고 용인군 내사면에 편입하였다. 1996년 3월 1일 내사면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서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 행해지는 달집 태우기 놀이. 대대리 동홰놀이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는 산신제→동홰놀이→줄다리기→뒤풀이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대동제 놀이의 하나이다. 동홰는 “온 마을을 비출 수 있는 규모의 횃불”이란 뜻으로, 일반적으로 정월 14일에서 16일 사이에서 길일을 택하여, 달이 뜰 때 주민 모두가 달맞이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2리 아래한터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산제사, 또는 산치성이라고 부르는 ‘대대리 아래한터 산신제’는 호랑이와 산신령이 마을을 수호해 준다고 믿어서 수백 년 전부터 지내 온 마을 제사였다. 1970년대까지는 격년제로 9월 그믐이나 10월 1일 중에 택일하여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제당은 마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 가마 터. 대대리 요지는 세 곳에 흩어져 있어, 대대리 요지1·대대리 요지2·대대리 요지3으로 구분되는데, 대대리 요지1은 대대리 사기점을 넘어 광주시 도척면으로 가는 지방도 329호선의 좌측 편 밭에 위치한다. 대대리 요지2는 대대리 요지1에서 광주시 도척면 방향으로 250m 정도 더 가서 도로 우측...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1리 한터마을에 있는 서낭당. 한터마을은 윗한터와 아래한터로 나누어져 있는데, 대대1리는 윗한터, 대대2리는 아래한터라고 불린다. 윗한터인 대대1리에는 서낭당이 세 군데나 있다. 말티고개에 있는 서낭당 두 곳과, 마을 입구 비석거리에 있는 ‘큰서낭댕이’가 그곳이다. 말티고개에 있는 두 곳의 서낭당은 주로 개인 치성을 드릴 때 이...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대덕골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적지. 죽전동 선사유적은 세 곳에 분포되어 있어, 죽전택지개발지구 내 현대홈타운 건설부지 일원의 선사유적1, 죽전동 898-2임[용구대로 2737-8] 일대의 선사유적2, 죽전동 산7임 일대의 선사유적3으로 구분한다. 선사유적1은 조사자에 의해 ‘대덕골 유적’으로 명명되었다. 죽전동 선사유적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1992년에 세워진 대덕사 경내에는 대웅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과 협시불로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모시고 있다. 삼성각이 있으며 ,미륵전에는 미륵불상이 있다. 신도 행사로는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법회가 있고, 부처님 오신 날과 7월 15일에 우란분회 등을 행하고 있다.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신도들에게 나누어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와 이천시 모가면 어농리, 호법면 송갈리에 걸쳐 있는 산. 주 능선은 서쪽과 남쪽 방향인데, 서쪽으로는 이천시와의 경계를 따라 봉의산·뒷동골산·소학산·건지산 등으로 연결되고, 남쪽으로도 역시 이천시와의 경계를 따라 입석재고개·사실터고개·마국산 등으로 이어진다. 북쪽으로는 다리미둥글산 등 작은 능선들이 이어지고, 동쪽은 골프장 건설로 본래...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신제(洞神祭)라고도 부르는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동신(洞神)에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용인 지역에서는 주로 서낭신과 산신·당나무·장승 등을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동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용인 지역의 마을들은 산을 등지고 남향에 자리...
-
한국전쟁 당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에서 조직된 우익 민간 청년 단체. 대동청년단 어비리지단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의 퇴로를 막고 마을의 치안을 담당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0년 9·28수복으로 북한군의 전선이 허리를 잘리자 경기도 용인시 지역을 중심으로 대동청년단 어비리지단이 조직되었다. 특공대 성격의 이 단체는 북쪽으로 퇴각하는 북한군의 퇴로를 막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산업용 전기기기 전문 제조업체. 1977년에 회사를 설립하고, 표준 트립 방식의 완전 전자식(ODP :Oil Dash Pot)인 배선용 차단기(MCCB)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1978년부터는 완전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를 대기업에 독점 공급하였다. 1985년에는 (주)대륙으로 개인기업에서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1986년에는...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대립(大立), 호는 쌍괴(雙槐). 증조할아버지는 이승충(李升忠)이고, 할아버지는 이봉손(李奉孫)이며, 아버지는 사간 이효독(李孝篤), 어머니는 최명근(崔命根)의 딸이다. 부인은 이규(李逵)의 딸이다. 이홍간(李弘幹)은 1507년(중종 2)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513년(중종 8) 식년문과에서 병과(丙科)로 급제하고 권지승...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에 있는 대상식품(주)의 식품 생산 공장. 1979년 2월 미원(주)이 50%, 미국의 씨피씨(CPC) 인터내셔널사가 50%를 투자하기로 하고 외국인 투자기업 인가를 받았으며, 같은 해 8월 한국크노르(주)로 설립 등기를 하였다. 1979년 9월부터 사업을 개시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합작 계약을 수정하여 국내사 지분을 서울미원(주)과 미원(...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대수(大受), 호는 노봉(老峯)이다. 증조부는 민여건(閔汝健), 할아버지는 민기(閔機), 아버지는 관찰사 민광훈(閔光勳)이며,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광정(李光庭)의 딸이다. 부인은 신승(申昇)의 딸이고 아들은 민진장(閔鎭長), 형제는 민시중(閔蓍重)·민유중(閔維重)이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거주했...
-
경기도 용인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증산교에서 갈라져 나온 신종교 단체.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1871-1909]을 구천상제, 정산(鼎山) 조철제(趙哲濟)[1895-1958]를 옥황상제로 신앙하며, 음양합덕(陰陽合德), 신인조화(神人調化), 해원상생(解寃相生), 도통진경(道通眞境)을 종지로 삼는 종교이다. 신앙 대상은 상제(上帝)이며, 음양합덕·신인조화·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 있는 포장재 전문 제조업체. 1992년 9월 경기도 성남시에 대안화학공업사로 설립되었으며, 1994년 1월 경기도 광주시로 설비 증설 및 공장을 확장·이전하였다가, 1996년 8월 경기도 용인시로 설비 증설 및 공장을 신축·이전하였다. 1997년 6월 중소기업은행으로부터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 5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리에 있는 플라스틱 용기 제조업체. 1983년 12월 5일 대양화성 부천공장이 설립되었으며, 1984년 3월 일본 동양제관과 다층 용기 생산 기술 제휴를 맺었다. 1984년 4월 식품 용기 사업을 실시하여 국내 최초로 다층 용기를 생산하였다. 1988년 4월 공장을 수원으로 이전하였고, 1994년 4월에는 농약 용기 사업을 실시하였다. 20...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있던 가전제품 전문 제조업체. 1985년 4월 대웅전기산업사로 창업하였으며, 1989년 7월에는 대웅전기산업(주)으로 법인 전환을 하였다. 1992년 10월 세계 최초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을 개발하였으며, 1993년 8월에는 기술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우량 기술 기업으로 지정되었다. 1997년 1월 중소기업청으로부터 품질 보증 마크 GQ 마크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에 있는 대한불교 해동종 소속 사찰. 1980년 승려 송산(松山)은 대원사를 짓기 전에 관악산 봉암사에서 생활하였다. 한때 수지구 성복동 일대가 개발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대원사는 개발에서 제외되었다. 신자들과 함께하는 주요 행사로는 4월 초파일, 칠석, 백중, 동지 등의 절기 행사가 있으며, 백중에는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성대하게 치른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호는 대은(大隱). 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全書) 송광우(宋匡祐)이다. 고려 우왕 때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자 낙향하였으나, 조선이 개국된 뒤에 다시 관직에 나왔다. 1417년(태종 17) 6월 형조정랑(刑曹正郞)에 있으면서 황단유(黃丹儒)의 자손인 박은·박자청(朴子靑)·조원(曹瑗) 등과 박송비(朴松庇)의 자손인 정...
-
조선 말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대이(大爾). 아버지는 효행으로서 감찰(監察)에 증직(贈職)된 이호정(李鎬貞)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응회(李應會)의 딸이다. 1882년(고종 19) 58세에 비로소 벼슬길에 들어가 선공감역(繕工監役)을 지냈다. 1893년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진하는 한편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제수 받았다. 효성이 지극...
-
조선 중기의 무신. 1611년(광해군 3)에 알성(謁聖) 무과에 급제하였고 도총부도사를 역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이르렀으나, 이미 적들이 남한산성을 에워싸고 사태가 위급하게 되자 자원하여 출전하였다. 정탁은 북문 밖으로 나아가 장수기를 흔들고 크게 소리쳐 적의 기세를 크게 꺾고 사력을 다해 싸웠다. 그러나 후원을 받지 못하여 패하였고 그 곳에서 죽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에 있는 반도체 관련 장비 제조업체. 미세 진동 제거용 제진대, 광학 케이블, 진공 배관 부품, 광학 부품 등 반도체 관련 장비를 제작하고 있는 벤처 기업이다. 고부가 가치의 반도체 관련 장비를 제작하여 한국 반도체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한국 경제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설립하였다. 1984년 2월 6일 대일기공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대일교육의 기본방향은 바른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창의적인 어린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행복한 삶을 준비하는 채움(Chae-um)교육이다. 교훈은 ‘지·덕·체’로서 ‘슬기롭게·착하게·씩씩하게’를 뜻한다. 대일초등학교는 경기도 용인시 죽전지구에 신규 아파트 증설로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신설된 초등학교이다. 2003...
-
경기도 용인시 전역의 야산이나 정원, 공원에 서식하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 우리나라 각처의 야산에 주로 자생하거나 인공적으로 정원 등지에 관상수로 식재하는 식물로 연분홍색이나 흰 꽃이 핀다. 철쭉은 중국이나 러시아 우수리 등지에도 분포한다. 전라도, 경상도 지방에서는 500m 이상의 고지에서 볼 수 있으나 경기 지방에서는 산록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기계. 자는 사호(士鎬), 호는 대재(大齋)이다. 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유일로 천거되어 세자시강원 자의(諮議)가 되었다. 그 후 사헌부 지평, 집의, 경연관 등을 역임하였고, 이조·형조·호조의 참의를 거쳐 돈녕부도정에 이르렀다가 사직한 후 안성에 은거하면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1782년(정조 6)부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에서 모현읍 매산리까지 연결되는 국가지원지방도. 국지도 57호선은 대전광역시에서 경기도 안양시를 잇는 도로이며 대전~안양길이라고도 한다. 용인시 구간의 시점은 안성시 경계인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구봉마을이고, 종점은 광주시 오포읍 문형리와의 경계인 모현읍 매산리 진해촌이다. 주요 통로는 원삼면 목신리·죽능리·독성리·사암리, 해...
-
경기도 용인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단군을 교조로 하여 민족 고유의 하느님을 신앙하는 신종교. 신종교는 1909년 단군교에서 출발하였으며, 환인, 환웅, 단군이라는 삼신 일체를 신앙하고, 수련을 통해 인간 본연의 참 성품으로 돌아가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 종교 가운데 창세 신화와 천궁(天宮), 지옥(地獄) 등의 내세관을 믿는 종교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 동안 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1동과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를 연결하는 고개. 대지고개 북쪽은 대지산·숫돌봉 등 300m 내외의 산으로 되어 있으며, 동쪽은 능원천이 발원하여 경안천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대지고개 북쪽에는 강남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고, 동쪽에는 채석장이 있어서 상당 부분이 패여 나갔으며, 바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남쪽에는 천주교 명동성당공...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양촌에 있던 서낭당. 오산리 양촌 서낭당은 대지고개에 있다 하여 ‘대지고개 서낭당’이라고도 불렀다. 마을 사람들의 제보에 따르면, 예전에는 이 고개에 호랑이와 늑대·여우가 많아서, 고개를 넘어오다 호랑이에게 물려 피투성이가 된 사람도 있고, 또 마을의 개를 호랑이가 물어가서는 머리만 소나무 밑에 남겨 놓은 일도 많았다고 한다...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의치한 공립고등학교. 교훈은 창조하는 사람, 정의로운 사람, 봉사하는 사람이며 교육지표는 ‘나가자 세계로, 비상하자 미래로, 비전있는 대지인이여’이다. 교육의 기본방향을 브랜드가 있는 명품 대지인 육성으로 하고 교육목표는 학생, 학부모 모두가 만족하는 학교이며 참여와 소통, 협력과 네트워크 강화를 그 전략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글로벌 시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1동과 처인구 모현읍, 광주시 오포읍에 걸쳐 있는 산. 여러 지도에는 산명이 표기되어 있지 않으나, 읍지 등의 자료에 대치(大峙)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대지산은 “대치”가 변음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크게 보아 동쪽과 서북쪽, 남쪽으로 능선이 뻗어 있으며, 동쪽에 비해 서쪽의 경사가 급하다. 동쪽으로는 숫돌봉[330m]과 연결되...
-
2000년 8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택지개발지구 안에 있는 대지산을 사기 위해 주민들과 환경 단체가 벌인 자연 신탁 국민 운동. 정부는 도시 지역의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1980년에 주택 건설에 필요한 주택 건설 용지(택지)의 취득과 개발, 공급 등에 관한 특례를 규정하는 「택지개발촉진법」을 제정·시행했다. 1990년대 들어 민간 건설업체들은 서울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훈은 ‘성실·지혜·용기’이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익혀 미래를 개척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 준법정신이 투철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적인 사람, 기초 체력 향상에 힘써 심신을 스스로 다스릴 수 있는 건강한 사람, 예술 감각을 길러 정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심미적인 사람, 항상 새로운 것을 생각하고 창의성을...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우리 것을 알고 지키고 빛내는 어린이’를 교육지표로 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갖추자! 인격 (참된 인성)], 스스로 학습하는 어린이[기르자! 실력 (알찬 실력)],새롭게 탐구하는 어린이[만들자! 창조 (바른 탐구)], 심신을 연마하는 어린이[가꾸자! 건강 (굳센 체력)]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47년 당시...
-
경기도 용인시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1840년(헌종 6) 관상감 간행 역서. 1840년에 간행된 『경자시헌서(庚子時憲書)』와 1847년에 간행된 『정미시헌서(丁未時憲書)』로 이루어져 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다. 불분권 각 1책이며, 목판본이다. 표제는 대청도광이십년세차경자시헌서(大淸道光二十年歲次庚子時憲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스스로 꿈을 키우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죽전지역의 인구증가로 2004년 11월 1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5년 2월 18일 제1회 졸업식(18명)을 하였다. 2014년 3월 1일 제3대 정연장 교장이 취임하였고, 2016년 2월 19...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에서 대추를 따면서 부르던 유희요. 「대추따기」는 가을철에 대추를 따면서 부르는 소리로, 일정한 가락이 없이 혼자 읊조리는 투로 부르는 노래이다. 1979년에 용인읍 마평리(현 처인구 마평동)에 사는 김순철(여, 85)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내고장 민요』에 수록하였다.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대추야 대추야 떨어져라...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고등 교육 기관. 현재 우리나라 고등 교육법에 의하면 교육부장관의 지휘 감독을 받는 고등 교육 기관은 수업 연한에 의해 전문대학·대학(대학원 포함)·각종 학교로 구별해 볼 수 있다. 근대 이후 용인의 고등 교육기관의 효시는 1953년 양지면 남곡리에 세워진 중앙농림대학으로 6년간 유지되다가 서울로 이전하였다. 1970년대 후반 수도권 인구 분산 정책...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에 있는 대한불교열반종의 총괄 기관. 대한불교열반종은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소속된 조계종, 태고종, 천태종, 진각종, 관음종, 총화종, 보문종, 원융종, 총지종, 원효종, 법화종, 조동종 등 27개의 종파 중 하나이다. 주불(主佛)로 석가모니 열반불을 모시고 종조(宗祖)로 보덕성사을 섬긴다. 소의경전은 『대반열반경』이다....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에 있는 대한불교해동종의 총괄 기관. 대한불교해동종은 의상과 비슷한 시기에 원효가 법성종(法性宗)과 화엄 사상을 바탕으로, 교학 불교의 여러 종파를 통합하여 만든 종파로, 원효는 독자적인 불교 사상 체계를 세우고 불교의 토착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해동종은 법당에 석가모니불을 모시나 종전부터 석가모니불 이외에 불상을 본존으로 모신 사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에 있는 대한성공회 소속 교회.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예수의 사랑을 교회 안팎에 실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8년 대한성공회 수원교회가 경기 남부 지역 선교 본부로 용인 천리에 샘골교회가 만들어지면서 대한성공회의 선교가 시작되었다. 당시 한국에 파견된 수원교회 터너(단아덕)를 중심으로 시작된 용인 지역의 대한성공회 역사는 영...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어린이, 실력 있는 어린이, 책임을 다하는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대현초등학교는 도시 확장과 인구 증가에 따라 1999년 죽전2동에 신설된 초등학교이다. 1998년 11월 4일 대현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99년 3월 1일 1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0년...
-
혼인하는 날 여인들은 노란저고리에 홍치마를 입고 그 위에 화려한 원삼을 입는다. 그 후에 얼굴에 하얀 가루분을 바르고 빨간 물감으로 연지 곤지를 찍는다. 머리는 쪽을 지고 비녀를 꽂고 뒷머리에는 도투락댕기를 드리고, 비녀 양 옆으로 앞 댕기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정수리 위에는 화관이나 족두리를 얹는다. 이것이 혼례 때 신부의 얼굴과 머리치레이다. 도투락댕기는 조선시대부터 사용된 것...
-
여름은 음력으로는 5월에서 7월경에 해당되며, 날씨가 더워지게 되어, 땀을 많이 흘리게 되고 몸의 양기를 보충할 만한 음식을 많이 먹는다. 또한 오이, 호박, 가지, 고추, 깨, 콩, 토마토 등을 수확하여 더운 여름을 이겨내는 음식으로 먹거나 장기 보관을 위하여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갈무리한다. 빨간색으로 익은 고추를 넓게 펴서 말려 내년 한 해 먹을 고춧가루 만들 준비를 하고, 깨...
-
여름은 음력으로는 5월에서 7월경에 해당되며, 날씨가 더워지게 되어, 땀을 많이 흘리게 되고 몸의 양기를 보충할 만한 음식을 많이 먹는다. 또한 오이, 호박, 가지, 고추, 깨, 콩, 토마토, 감자 등을 수확하여 더운 여름을 이겨내는 음식으로 먹거나, 장기 보관을 위하여 건조 등의 방법으로 갈무리한다. 빨간색으로 익은 고추를 넓게 펴서 말려 내년 한 해 먹을 고춧가루 만들 준비를...
-
조선 중기의 실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다. 증조부는 현령 류위(柳湋), 할아버지는 정랑 류성민(柳成民), 아버지는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이었던 류흠(柳흠)이다. 어머니는 참찬 이지완(李志完)의 딸이다. 부인은 심수경(沈守慶)의 증손녀이며, 부사 심은(沈誾)의 딸이다. 외삼촌 이원진(李元鎭)과 고모부 김세렴(金世濂)으로부터 글을 배웠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1930년대 덕성리에 살던 전시래가 송전교회를 다니면서 덕성리 소정규, 조도영을 전도하여 1939년 덕성리 마을회관에서 예배를 보기 시작하면서 설립되었다. 1945년 광복 직전 신도가 15명으로 증가하고 전도사가 부임하여 교세가 확장되었으며, 신도들의 활동이 활발해지자 조도영이 1947년 자신의 땅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에 속하는 법정리. 덕성리는 이동읍의 중간에 있으며, 진위천이 남북 방향으로 중앙을 가로질러 흐른다. 덕이 있는 사람들이 모여들어서 마을을 이루었다 하여 덕성골 또는 덕성동이라 하였다. 원래 옛 용인군 상동면 지역으로 덕성골 또는 덕성동이라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묵동 일부를 병합하여 덕성리라 하고 이동면에 편입하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산포지. 199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지표 조사가 실시되어 ‘덕성리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이 때 구석기시대 석기들이 채집되었다.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동읍으로 이어지는 국도 45호선을 통해 덕성리에 이르러 사챙이마을로 들어서면 해발 166m의 능골산이 나타난다. 유적은 이 산에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조선시대 절터. 이동읍 천리 구수동에서 불당골로 들어가는 도로변의 대호산업사를 지나 남쪽 불당골로 진입하여 해발 150m 지점까지 오르면 절터가 나타난다. 절터는 평탄한 구릉지대에 자리하는데, 현재 연안이씨 종중의 땅으로 곳곳에 연안이씨의 분묘가 산재해 있다. 2001년 대한불교 조계종 문화유산발굴단의 용인 지역 불적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동읍으로 이어지는 국도 45호선을 통해 덕성리에 이르러 사챙이마을로 들어서면 좁은 콘크리트 포장 소로가 동편 구릉지까지 이어진다. 이 콘크리트 포장 소로와 연접하는 남쪽 경작지 일대에 유물이 광범위하게 산포하고 있다. 유물산포지 서쪽으로 약 700m 거리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있는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교회. 1974년 덕성교회 집사였던 소진헌이 전도사가 된 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신창마을 소진헌 자신의 집에서 6명의 신도와 예배를 보기 시작한 것이 덕성침례교회의 출발이 되었다. 1976년 땅을 빌리어 교회를 신축하였으나, 1978년에 빌린 땅이 매매되어 교회를 이전하였다. 1978년에...
-
이돈수를 시조로 하고 이완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덕수(德水)는 경기도 개풍군에 속해 있던 옛 지명이다. 덕수이씨의 시조 이돈수(李敦守)는 고려 때 신호위 중랑장을 지냈으며, 덕수부원군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본관을 덕수로 하였다. 덕수이씨는 조선조에 상신 7명, 대제학 6명, 호당 6명, 청백리 2명, 공신 4명, 장신 7명,...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덕승(德升). 호조참판증영의정(戶曹參判贈領議政) 이정신(李正臣)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전주유씨(全州柳氏)이다. 이현보는 숙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활약한 문신으로, 1723년(경종 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였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1730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고 승지(承旨)·호조...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었던 사립 강습소. 선교 활동 및 생활에 필요한 기초 교육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독립운동 시기의 강습소는 지금의 초등 교육을 담당하는 사설 초등 교육 기관을 말하며, 덕의강습소는 이동읍 서리 인근의 아이들을 모아 교육하던 곳이다. 1926년 설립 당시 학생은 30명, 1929년에는 56명, 1938년에는 30명이었고 학생의 나이는 8...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 증조부는 찬성공 이후연(李後淵), 조부는 파주목사 이정악(李挺岳),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으로 군수 정창징(鄭昌徵)의 딸이고, 홍익한(洪翼漢)의 외손녀이기도 하다. 서울 북부 진장방(鎭長坊) 소격동의 외가에서 출생하여, 21세 때 도승지로 있었던 아버지 이세백이 기사환국(己巳換...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덕휘(德輝), 호는 의졸(宜拙). 부친은 남식(南烒)[1589~1650]이고, 동생은 남이성(南二星)[1625~1683], 아들은 남구만(南九萬)[1629~1711]이다. 평소에는 어버이를 공경하는 데 힘을 썼고, 관직에 종사할 때는 절용(節用)을 우선으로 하였으며, 재물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1656년(효종 7) 내시교관(內侍敎...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 증조부는 찬성공 이후연(李後淵), 조부는 파주목사 이정악(李挺岳), 아버지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으로 군수 정창징(鄭昌徵)의 딸이고, 홍익한(洪翼漢)의 외손녀이기도 하다. 서울 북부 진장방(鎭長坊) 소격동의 외가에서 출생하여, 21세 때 도승지로 있었던 아버지 이세백이 기사환국(己巳換...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식금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불 이야기. 「도깨비 이야기」는 소근곡에 있는 밤나무에서 출현한 도깨비불을 보고 놀란 구연자의 어머니가 경험한 이야기라고 한다. 2005년에 채록되어 『경기민속지』에 수록되었다. 구연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작은아버지 집을 가려면 소근곡을 지나야 했다. 어머니가 아이(구연자)를 업고 소근곡에 있는 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와 절교한 사람 이야기. 2005년에 출간한 『경기민속지』에 수록되어 있다. 어떤 사람이 밤중에 물을 푸는 소리가 “철썩철썩” 나서 밖으로 나가 보니, 도깨비가 우물에서 물을 푸고 있었다. 도깨비와 친해져 부자가 된 집주인은 어느 날 도깨비를 떼어 내려고, “나는 돈이 제일 무서워. 돈 때문에 고생을 해서 돈 소...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신제(洞神祭)라고도 부르는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동신(洞神)에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용인 지역에서는 주로 서낭신과 산신·당나무·장승 등을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동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용인 지역의 마을들은 산을 등지고 남향에 자리...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큰 길. 경기도의 남부 중심부에 위치한 용인시는 북쪽에 성남시와 광주시, 동쪽에 이천시, 남쪽에 안성시와 평택시, 서쪽에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와 접해 있어 지역 간 교류가 활발한 도로망을 가지고 있다. 용인시를 지나는 도로는 남북을 지나는 경부고속국도와 동서를 관통하는 영동고속국도, 남북을 지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1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 절터. 용인에서 이동읍으로 통하는 국도 45호선으로 가다 보면 이동저수지 초입에 해당하는 송전리에 도착한다. 절터는 송전1리 마을의 앞산, 즉 ‘절골’이라 불리는 서편 산록 중턱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골프장 진입로와 접해 있다. 절터에서 2001년 ‘도림사(道林寺)’란 명문이 새겨진 암...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도상(道常), 호는 기오당(寄傲堂). 충정공 김약시(金若時)의 후손이다. 김우형은 1650년(효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1657년 정언(正言), 1661년 헌납·사간, 이듬해 집의·홍문관교리를 지냈고, 시독관으로 임금 앞에서 통감강목과 대학을 강론하였다. 1669년 좌부승지, 이듬해 도승지...
-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도서관. 1960년대 현 처인구청 앞 농촌 지도소건물에 30여 평의 도서관이 운영되다가 1970년대 용인교육청 청사 내에 100여 평의 건물에서 도서관이 운영되었다. 그 후 1988년 용인교육청의 이전과 함께 도서관이 없어졌다가, 1993년 1월 용인군청에서 도서관 관리 운영조례가 공포되고 같은해 2월 4일 역북동에 있는 용인 시립도서관이 개관되었...
-
오일장은 전국 각지에서 닷새마다 한 번씩 열리는 재래시장을 말한다. 용인 지역 역시 산업화로 인해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기 이전, 즉 전통적 농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던 1960년대 말 정도를 기준으로 보면 여러 곳에서 장이 서고 있었다. 행정과 경제의 중심지였던 용인장(김량장)을 비롯하여 백암장, 원삼장, 송전장, 모현장 등은 용인 지역의 대표급 재래시장이었다. 2009년 말 현재...
-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 이재는 숙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활동한 문신이자 학자이다. 영조의 탕평정치(蕩平政治)에 맞선다는 이유로 자주 파직을 당하였으나, 오히려 성리학 연구에 몰두하였고 만년에는 용인의 한천에서 후학 양성에 매진하는 등 정계와 학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본관은 우봉(牛峯).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도암·한천(寒泉). 진사 이만창(李晩昌)의 아들이며,...
-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토기나 도자기를 굽는 가마가 있던 터. 용인 지역에는 고대에서 조선시대 말까지 오랜 세월 동안 각종 도자기가 활발히 생산되었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의 토기 요지와 고려시대의 청자·백자·도기 요지, 조선시대의 분청사기·백자·옹기 요지들이 각지에 두루 분포하고 있다. 용인 지역의 도요지에 관한 기록으로 15세기의 『세종실록지리지(...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도원(道源). 수원부 양지현(현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거주하였다. 1759년(영조 35) 정시(庭試)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官)에 이르렀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평창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1983년 양순이 권사의 사랑방에서 첫 예배를 시작으로 도창교회가 설립되었다. 이후 이영순 전도사와 최신식 목사를 거처 1990년 1월부터 부임하여 2011년 현재까지 김창수 목사가 시무 중이다. 도창교회는 매일 아침 5시 새벽기도와 수요일 오후 7시 30분, 일요일 오전 11시와...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이거나 용인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용인의 독립운동가는 의병부대 및 항일 무장단체에서 국권 회복을 위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으며, 이 밖에도 언론·외교 활동을 통해 국권 피탈의 상황을 국내외에 알려 독립을 촉구하는 방식으로 독립운동을 이끌어갔다. 우선 의병부대에서 활약한 독립운동가들을 살펴보면, 용인 지역에서 의병부대를 결성하여 활약한 임옥여·정...
-
1995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건립된 용인 출신 독립운동가를 기리는 탑. 3·1운동 당시 경기도 용인군에서는 1만 3200명이 궐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일본 경찰과 헌병대의 폭압으로 사망 35명, 실종 139명, 상해 502명, 수형 65명 등 741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그 밖에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1905년의 을사늑약을 전후하여 용인에서는 관내에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속하는 법정리. 독성리는 원삼면의 중앙에 위치하며 용인시 축구센터가 있다. 1914년에 독촌(篤村)과 성리(城里)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독성리라 하였다. 독촌은 웃저리(웃절이)·하사·고사 등으로 불렸는데, 옛날 절이 있었기에 유래했다. 성리는 높은 재가 있어서 재말이라 했는데, 한자 표현 시 재성인 ‘성(城)’을 차용해서 재말이...
-
조선 후기 숙종이 조광조의 문집인 『정암집』을 읽고 지은 어제시(御製詩). 「독정암집유감(讀靜庵集有感)」은 1990년 『용인군지』에서「정암집을 읽고 느낌을 적다」로 번역 소개되었다. 조선의 제19대 왕인 숙종(肅宗)[1661~1720]이 『정암집(靜庵集)』을 읽고 난 뒤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도덕과 절의를 칭송하여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작품이다. 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과 더불어 사는 애국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적인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정서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독정초등학교는 도시 확장과 인구 증가에 따라 2004년 보정동에 신설된 초등학교이다. 2004년 7월 1일 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4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평창리와 원삼면 좌항리에 걸쳐 있는 산. 옛날에는 어초산(漁礁山)으로 불렸으며, ‘북쪽의 금박산(金箔山)을 마주 대하고 우뚝 서 있는 산(漁礁山 對案金箔山)’으로 지칭되었다. 『양지현읍지』에 ‘읍내면 남촌에 있는데 높이가 4리이며 주위가 35리이다(在邑內面 南村 高四里 周回三十五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서쪽으로는 용실고개·어은산·은이산 등의...
-
조선 전기의 무신. 이종무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활동한 무신으로, 이 시기에 빈번하게 침입한 왜구를 물리치는 데 많은 공을 세웠다. 성질이 순박하고 진실하였으며, 죽은 뒤에 용인시 고기리에 묻혔다. 태종 대에는 2차 왕자의 난을 진압하여 통원군(通原君)에 봉해졌으며,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갈담리에서 석담마을과 할미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간략한 채록 상황과 내용이 실려 있다. 1990년에 출간한 『용인군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1998년에 출간한 『용인 북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석담마을이나 할미당의 유래가 아닌 할미성 쌓기와 관련한 이야기 세 편이 수록되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집안을 일으킨 데릴사위 이야기. 1983년에 채록되어 1984년에 출간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려 있다. 옛날 조선시대, 한 선비가 과거를 보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는 길에 이참봉의 아들 이선달 집에서 묵게 되었다. 잠을 자는데 밖이 요란해서 나가보니, 한 사람이 창문으로 집안을 엿보고 있었다. 뒷덜미를 잡고,...
-
백암1리, 백암3리는 백암면의 소재지가 있는 곳이다.백암리 원경 면사무소와 농협, 우체국과 5일장이 서는 시장 등이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백암면의 중심이다.백암면사무소 앞길 1980년대 초반 인구가 증가하면서 편의적으로 동구와 서구로 분리하였다. 동구는 백암1리가 되고 서구는 백암3리가 된다. 우체국에서 백암양조장을 지나 원삼 쪽으로 난 길을 따라 왼쪽의 면사무소와 현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에 있는 한국대중불교 불이종(不二宗) 소속의 전통사찰. 원래 법화종 소속의 사찰이었으나 현재 한국대중불교 불이종(不二宗) 소속의 전통사찰로 등록되어 있고 종단의 총무원이 있는 총본산이다. 동도사에 전하고 있는 석가여래좌상은 대좌와 석불의 양식적인 특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말기나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층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 동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삼층석탑. 금단사지에 있던 삼층석탑이 어비리 어미울마을로 이전되었다가 저수지 공사로 수몰당하게 되자 동도사로 옮겨 복원하였다. 탑을 옮길 때에 석탑 내부에서 토제 삼층소탑(土製 三層小塔) 1점과 청석제 향로(靑石製香爐) 1점이 발견되어 현재 국립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다. 석탑에서 발견된 소탑(小塔...
-
일제강점기 용인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삼(聖三), 호는 관란(觀瀾). 초명은 정동로(鄭東魯)이다. 정관해는 경기도 용인군 지역을 중심으로 후학 양성과 전통 고수에 힘쓴 유학자로서, 일제강점 직후인 1912년부터 해방 공간인 1947년까지의 한문 일기를 남기고 있다. 일기를 통해 신식 교육의 도입으로 인성 교육을 강조하였던 전통 교육이 무너짐을...
-
조선 중기 병자호란 때 용인 전투에 참여한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다. 좌의정 정언신(鄭彦信)의 손자이며, 정률(鄭慄)의 아들이다. 1613년(광해군 5) 사마시에 합격하고, 문음(門蔭)으로 의금부도사를 거쳐 화순현령·안산군수를 역임하였는데, 모두 혜정(惠政)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 1636년(인조 14)에 조신(朝臣)들의 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속하는 법정리. 동림리는 모현읍 북쪽 문수산(文殊山)[222m]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광주시 오포읍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1914년 동산리(東山里)와 왕림리(旺林里)를 합하여 각각 한 자씩 취하여 동림리라 하였다. 동산은 문수산 동쪽에 위치하였기에, 왕림은 조선시대 이행상이란 선비가 이 곳에 정착하여 살았는데 이행상의 호가 왕...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고기동 백운산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동막천이 발원하는 용인시 고기동은 성남시, 의왕시 및 수원시 장안구와 경계를 이루는 곳이다. 이곳에 바라산-백운산-광교산[582m]-형제봉 등 500m 내외의 산 능선이 남북 방향으로 쭉 뻗어 있어 황구지천의 최상류인 광교천과 탄천의 지류인 동막천, 손곡천의 분수계 역할을 하고...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주인 정신으로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능력 있는 어린이. 새롭고 슬기로운 생각으로 창의적인 어린이, 바른 행동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2005년 12월 26일 동막초등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
-
경기도 용인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모든 종류. 최근 유엔환경계획(UNEP)·유엔개발계획(UNDP)·세계은행(IBRD)·세계자원연구소가 내놓은 『세계자원보고서 2000~2001』에 따르면, 한국은 국토 1만㎢ 당 야생 동물 종수가 95종에 그쳐 다른 나라보다 적게 나타났다. 155개 국 가운데 131위였다. 한국은 국토 1만㎢ 당 포유류 23종, 조류 53종, 파충...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글로벌 동백인 육성을 교육지표로 예의와 질서를 존중하고 겸손하게 남을 배려하는 도덕인, 능동적으로 탐구하고 창조하는 생활태도를 가진 창조인, 미래의 글로벌 시대를 자주적으로 주도해 나가는 세계인, 강인한 의지와 건전한 가치관을 가진 건강인, 서로 돕고 봉사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협동인 육성을 목표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있는 동백동과 중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동백동이라는 이름은 동막리에서의 ‘동’자와 백현리에서의 ‘백’자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동변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막리와 백현리를 합쳐 동백리가 되어 읍삼면(구성면)에 편입되었다. 1931년에 용인의 옛 이름을 따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횡구식 석실분. 동백동 고분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과 중동 일원에 건설 중인 용인동백 택지개발지구 내에 위치한다. 동백동 고분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해, 건설 공사에 따른 구제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양상이 밝혀졌다. 출토된 유물은 없다. 고분은 입구가 남단벽에 위치한 횡구식 석실분으로 자연 경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에 있는 문화유적 전시관. 2004년 용인동백택지개발지구 발굴조사 결과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 구석기 문화층을 이전·복원·전시하기 위해 설립된 전시관이다. 2002년 1월 29일부터 2004년 1월 31일까지 동백택지개발사업지구 시·발굴조사를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확인된 구석기 문화층에 대해서는 조사 완료 후 유적전시관을 건립...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동백지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타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올바르게 행동하는 사람, 자기의 일을 스스로 결정하고 실천하는 사람,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이를 응용하는 사람, 건강한 체력으로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 세계인으로서 자질과 소양을 갖춰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2005년 12월 26일 동막중학교 설립 인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을 지키며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 정보화시대를 주도할 창조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5년 12월 26일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2일 6학급으로 개교하면서 초대 배성관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11월 13일 26학...
-
조선 후기 충렬서원 원장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동보(同甫), 호는 지촌(芝村)이다. 증조부는 우의정 이정구(李廷龜), 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명한(李明漢)이며, 아버지는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이다. 1680년(숙종 6) 유일(遺逸)로 전설별검(典設別檢)·의금부도사 등을 거쳐 진천현감(鎭川縣監) 때는 치적을 쌓았다. 1694년 인천현감(仁川縣監)·지평(持平)·장악...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행정동. 옛 용인읍의 동쪽에 있다하여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읍의 마평·운학·호·해곡 지역이었다. 1937년 4월 1일 용인면으로 개칭되고, 1979년 5월 1일 용인면이 용인읍으로 승격되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4개 리를 합쳐 지금의 동이 되었다. 2005년 10월 31일에는 구가 신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574에 있는 마평동, 운학동, 호동, 해곡동의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1읍, 4동, 6면 중 동부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동부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6년 3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동부동주민센터 안에 있는 주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편익 시설. 동부동주민센터의 여유 시설과 공간을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로 꾸며 주민 공동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주민 자치 활동의 구심체이다.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에 있는 식품 제조 판매 회사. 기업을 통한 삶의 행복 추구 및 사람을 통한 삶의 행복 실현이라는 경영 이념을 바탕으로 고객의 건강을 내가족의 건강처럼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식문화 창조에 앞장서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7년 4월 동성식품으로 설립되었다. 1991년 1월 주식회사 동성식품으로 법인을 전환한 후 고속국도 휴게소 영업을 개시하였다....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신제(洞神祭)라고도 부르는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동신(洞神)에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용인 지역에서는 주로 서낭신과 산신·당나무·장승 등을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동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용인 지역의 마을들은 산을 등지고 남향에 자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에 있는 전원 시스템 제조업체. Converter, BMP, RMS 등 전기·전자 제품의 파워 관련 전원 시스템 기기를 생산·판매하는 기업이다. 고객과 이해 관계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전원 공급 장치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설립하였다. 1976년 12월 동아전기로 설립되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巖)·북산(北山)이다. 증조부는 이달선(李達善), 할아버지는 이공인(李公仁), 아버지는 이중호(李仲虎)이다. 외조부는 윤구(尹衢)이고, 부인은 박이(朴苡)의 딸이다. 전라남도 남평에서 출생하였다. 1568년[선조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573년 문과에서 장원급제하였다.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
1869년 이원명이 야담과 패설(稗說) 등을 수집하여 편찬한 한문소설집. 『동야휘집(東野彙輯)』은 이원명(李源命)[1807~1887]이 역대 야담집을 참고하여 그 형식을 가다듬고 규범을 마련하여 편찬한 한문소설집이다. 이원명은 누구보다 야담 장르의 독자성을 인식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재정비하고자 했는데, 이록(移錄)·차용(借用)·번안(飜案)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필요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림동에 있었던 브라운관 부품 전문 제조업체. 1973년 8월 부산시에서 동양정기사를 창업하였으며, 1979년에 경기도 용인시의 현재 위치로 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87년 7월 1일 주식회사 동양정기로 법인 전환을 하였으며, 1995년 10월 말레이시아 현지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5년 12월에는 중소기업청 100PPM(Parts Per...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자동차 여과기 제조업체. 오일 필터, 연료 필터, 에어 클리너, 분사기 등 자동차 여과기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이다. 최고 품질의 자동차용 여과기 생산을 통해 경제적인 자동차, 깨끗한 환경,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3년 1월 (주)동우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이춘성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4월...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優), 호는 동원(東園). 증조부는 정옥형(丁玉亨)이며, 조부는 정응두(丁應斗), 외조부(外祖父)는 한경상(韓景祥)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이다. 1601년(선조 34)에 진사(進士)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지평(持平)·정언(正言)·수찬(修撰)·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1...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관지(貫之). 호는 서파(西坡). 영의정 오윤겸(吳允謙)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오달천(吳達天)이며 어머니는 한양조씨(漢陽趙氏) 도사(都事) 조간(趙幹)의 딸이고, 아들은 오수채(吳遂采)이다. 오도일(吳道一)[1645~1703]은 4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에게서 자랐다. 성강(星江) 조견소(趙見素)에게 글을 배웠으며, 어...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위치한 공립중학교. 교훈은 ‘열심히 배우고 행동하자.’이다. 교육목표는 글로벌 시대를 이끌어갈 능력과 인격을 갖춘 창의적 인재 육성을 지표로 하고, 질서를 지키며 예의범절을 실천할 줄 아는 도덕인, 합리적 사고로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는 창조인, 진취적이고 혁신적인 자신감 넘치는 개척인,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지니며 의지력이 강한 건강인 육성...
-
일제강점기 용인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 1862년 충청북도 진천군에서 태어나 9세에 신갈 김수운에게 한학을 배우고 15세에 서야우(徐野愚)에게 제자의 예를 올리고 가르침을 받았다. 1894년 신갈 금화에 와서 후학을 가르치다 1906년 용인향교(龍仁鄕校)에서 학부대신을 역임한 이도재(李道宰)와 함께 명륜학교를 설립하여 신구 학문 교육에 힘썼다. 1910년 국치를 당함에 만주로 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신제(洞神祭)라고도 부르는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동신(洞神)에게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용인 지역에서는 주로 서낭신과 산신·당나무·장승 등을 대상으로 지내는 제사를 통틀어 동제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용인 지역의 마을들은 산을 등지고 남향에 자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2리에 있던 서낭당. 매산리 서낭당은 모현읍 매산2리의 상마산에서 일산리의 외개일마을로 넘어가는 경계인 동지고개 마루에 있었다. 동지고개에 있다고 하여 ‘동지고개 서낭당’이라고도 불렸다. 이 길은 오포와 추자리·광주로 이어지는 길로, 추자리에서는 사방으로 길이 통하였다. 매산리 사람들은 이 길을 통해 지리적으로 가까운 광주장을...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 동막리와 원천동을 병합하여 동막에서의 ‘동’자와 원천에서의 ‘천’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수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막리와 원천동을 합쳐 동천리라 하여 수지면에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수지면이 수지읍으로 승격,...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동천동 유물산포지는 세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각각을 동천동 유물산포지1, 동천동 유물산포지2, 동천동 유물산포지3으로 구분하고 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서 국지도 23호선을 따라 성남시와 용인시의 시계가 지나는 동원교를 건너 지방도 14호선으로 진입하여 1.5㎞ 정도...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주민센터 안에 있는 주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편익 시설. 2006년 9월 1일 제1기 주민자치위원회를 발족하였으며, 2010년 현재 총 31개 프로그램이 운영 중에 있다. 주민의 복지증진과 가치실현의 장으로 활용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6년 7월에 제1기 주민자치위원 위촉되고 9월에 주민자치센터 준공식 및...
-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가면 30년 가까이 이발관을 경영하고 있는 강기석, 김순여 부부를 만날 수 있다. 부부를 만나기 위하여 찾아가는 길을 물었더니, "기업은행 건물이 보이면 우회전을 해요. 거기 풍림상가 1층이에요"라고 했다. 판교에서 용인방면으로 동원교를 건너 대왕판교로를 따라가다 보니 기업은행 건물이 바로 보여 수월하게 이발관에 다다를 수 있었다. 처음에는 "이런...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1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천주교 수원교구 제1대리구 소속 성당으로 관할구역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일원이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과 고기동에 사는 천주교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수지성당에서 분가[293세대 8...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9개 행정동 중 동천동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동천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2001년 12월 24일 용인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기존의 수지읍 동천리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제1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천주교 수원교구 제1대리구 소속 성당으로 관할구역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일원이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과 고기동에 사는 천주교 신자들에게 기도와 미사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수지성당에서 분가[293세대 8...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과 원칙을 지키는 예절바른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있는 어린이, 개성과 소질을 키우는 창의력 있는 어린이, 몸과 마음의 건강에 힘쓰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동천동에 아파트 건설로 유입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2001년 9월 1일 11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2년 제1회 졸업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소방기자재 및 골판지 박스 전문 제조업체. 1974년 10월 15일 제일소방정공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5년 3월 제조 허가 및 판매 허가를 취득하였다. 1982년 2월 13일 수출입업 허가를 취득하였고, 1989년 9월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금어리 공장을 매입하였다. 1994년 9월 중국 현지 공장 생산설비 시설 완료 및...
-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오명신이 편찬한 책. 조선 후기에 오명신(吳命新)[1682~1749]이 조상 선양 사업의 일환으로 선조들과 관련한 기록을 모아 필사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다. 2권 1책이며, 필사본이다. 표제는 동호록(東湖録)이며, 크기는 가로 21㎝, 세로 25.5㎝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방아리에 있는 당류(糖類) 전문 제조업체. 1954년 3월 서울특별시 용두동에 금성공업사로 설립되었으며, 1974년 5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공장을 준공하였다. 1985년 3월 한일제이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1994년 10월 해마을식품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99년 3월 현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으로 회사를 이전하였으며,...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의 배와 아랫도리에 둘러주는 치마같이 만든 옷. 상·하의(上下衣)의 구분이 없는 형태이지만 하의로 볼 수 있다. 고기1동에서는 ‘두렁치’라고도 불렀다. 조선시대 고종 때의 『궁중발기(宮中發記)』라는 책에는 왕자의 삼칠일 의대(衣襨)에 누비두렁이 기록이 남아 있다. 어린아이의 가슴 부위에서 무릎이나 허벅지 정도까지 앞치마와 비슷한 모양으로 허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의 배와 아랫도리에 둘러주는 치마같이 만든 옷. 상·하의(上下衣)의 구분이 없는 형태이지만 하의로 볼 수 있다. 고기1동에서는 ‘두렁치’라고도 불렀다. 조선시대 고종 때의 『궁중발기(宮中發記)』라는 책에는 왕자의 삼칠일 의대(衣襨)에 누비두렁이 기록이 남아 있다. 어린아이의 가슴 부위에서 무릎이나 허벅지 정도까지 앞치마와 비슷한 모양으로 허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의 배와 아랫도리에 둘러주는 치마같이 만든 옷. 상·하의(上下衣)의 구분이 없는 형태이지만 하의로 볼 수 있다. 고기1동에서는 ‘두렁치’라고도 불렀다. 조선시대 고종 때의 『궁중발기(宮中發記)』라는 책에는 왕자의 삼칠일 의대(衣襨)에 누비두렁이 기록이 남아 있다. 어린아이의 가슴 부위에서 무릎이나 허벅지 정도까지 앞치마와 비슷한 모양으로 허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근창리 비두와 새말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근창리의 비두와 새말에서는 오래전부터 마을 북쪽에 있는 두무산에서 산신제를 지내 오고 있다. 마을 사람들 중에는 유력한 성씨나 토박이는 별로 없고, 외지에서 이주해 온 사람이 대부분이나, 두 마을의 이장이 합심하여 ‘산제사(산지사)’라고 부르는 산신제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과 보라동에 걸쳐 있는 산. 산의 북쪽을 지곡천이 휘돌아 흐르고, 남쪽에는 사은정고개가 동서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북쪽 방향에는 한국민속촌이 조성되어 있으며, 동사면의 중턱에는 사은정(四隱亭)이 있다. 이곳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음애(陰崖) 이자(李耔), 조광조의 사촌 형제였던 방은(方隱) 조광보(趙光輔), 회곡(晦谷) 조광좌(趙廣...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창리는 원삼면의 동단 백암면과의 경계에 위치하며, 두창저수지가 있다. 옛 죽산군 원삼면의 두촌(杜村)과 창동(倉洞)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두창리라 하였다. 두촌은 옛날 두견새가 많이 오는 마을이기에, 창동은 옛날 사창이 있기에 유래했다. 본래 죽산군 원삼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두촌·분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에 있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 절터. 1900년대 초기에 조사된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와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는 두창리사지의 석탑은 삼층으로 6척 5촌의 크기이고, 사지는 불당사지라 전하며, 초석 3개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 문헌들에 나타나는 ‘불당사’는 실제 사명(寺名)이라기보다 ‘불당골에 있는 절터’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주내마을 앞의 두창저수지 서안(西岸)에 인접하여 서 있다. 두창리 삼층석탑은 어두운 회색의 화강암을 거칠게 다듬어 조성하였는데, 전체 높이는 약 2.0m이다. 기단은 단층 형식으로 1매의 판석(板石)으로 지대석(地臺石)을 삼고 그 위에 면석(面石)을 놓은 뒤 갑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두창리 유물산포지는 세 곳에 나뉘어 분포하는데, 각각을 두창리 유물산포지1에서 두창리 유물산포지3으로 구분한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북촌의 목원규 효자 정문이 위치한 작은 삼거리에서 북쪽으로 뻗어 올라간 능선길을 따라 약 100m 가량 올라가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에 있는 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1970년 3월 박용건 전도사가 백암교회에 다니던 이상규 집에서 15~16명의 신도를 대상으로 예배를 보기 시작하였다. 2001년 교회 성전 신축을 시작하여 2004년 완공하였고, 2005년 입당 예배를 본 뒤 오늘에 이르고 있다. 두창리교회의 목표는 지역 사회 복음화이며, 쓰임대로 살아가려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하는 예절바른 어린이,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가꾸 는 어린이, 건강하게 생각하는 어린이. 2009년 1월2일 학교설립 인가되고 같은 해 3월 1일 제1대 고재형 교장이 취임하여 16학급, 유치원 2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 제2대 이임현 교장이 취임하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과 양지면 주북리 사이에 있는 도로. 시점은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이며, 종점은 양지면 주북리 박성마을 앞까지이다. 양지읍 서북 지역과 남서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시군도 10호선은 둔전~양지길이라고도 한다. 처인구 양지면 주북리 주민들이 양지로 갈 경우 마평동으로 우회해야 했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구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의리 있는 부자 이야기. 1978년에 채록되어 1990년에 출간된 『용인군지』에 실려 있다. 옛날 둔전리에 큰 부자가 살았다. 그는 물려받은 재산을 잘 관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들보다 부지런하고 검소하여 인근에서 ‘둔전갑부’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큰 부자였다. 둔전갑부는 인심이 후하고 덕이 있어 주변에 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둔전리는 포곡읍 남쪽 경안천 서쪽에 위치해 있다. 옛날 주둔 병사의 군량을 자급하기 위해서 마련한 둔전(屯田)이 있어서 둔전리라 하였다. 원래 용인군 포곡면 둔전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당곡·두계·토도·유실·신원·마가·둔전 등 18개 동리를 9개 리로 통폐합하여 둔전리라 하였다. 2005년 10...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정광산에서 서남쪽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낮은 산자락의 끝부분에 위치한 구릉지 일대에 분포한다. 무궁화아파트 건너편인 둔전5리에 해당하는데, 현재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적지 주변의 군부대까지 적갈색의 고토양층이 넓게 덮여 있다. 유적의 단애에 나타난 층위 단면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 예절을 지키며 더불어 사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능력 있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둔전리 주변에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기업체가 입주하여 인구가 증가하자 2004년 3월 1일 3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5년 2월 17...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2년 모현면[현 모현읍] 매산3리에 사는 전만길(남, 66)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내고장 민요』에 수록하였다. 「둘레 소리」는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김매기 소리처럼 메기고 받는 소리가 각각 3분박 4박의 두 마디씩인 경향을 보인다. 용인시의 서북부 지역에서 ‘둘레야 소리’로 불리는 노래처럼 도선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에 있는 청소년 현장 체험 학습을 위한 수련 시설. 삼동청소년회는 서로 대동 화합하여 하나의 세계 건설에 앞장서자는 정신을 바탕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맑고 밝고 훈훈하게 자라나도록 하기 위하여 문화관광부에 정식 등록하여 설립된 청소년 단체이다. 청소년의 도덕적 품성을 함양하고 올바른 인생관을 확립하여 국가 발전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에 있는 박물관. 둥지박물관은 우리나라 만화와 외국의 희귀 만화 관련 자료를 수집한 만화박물관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근대와 현대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는 생활사박물관 등 자료를 전시하고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2월 둥지만화전시관과 둥지생활사박물관을 개관하였고, 2005년 4월 20일 서예미술관과 함께 둥지박물관으...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에 있는 여성 합창단. 합창 음악을 통하여 지역의 문화 발전에 앞장서고 시민 의식을 고취하며, 건전한 공동체 문화를 육성하기 위하여 창단되었다. 1996년 6월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동의 갈릴리교회에서 10여 명 남짓한 여성들이 모여 최고의 여성 합창단을 목표로 갈릴리싱어즈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다. 1997년 5월 제1회 정기 연주회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동촌마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채록되어 있다. 『용인군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한 편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한 원님이 양지면 양지리에 도임하면서 “내가 무슨 잘못을 했다고 이런 산골짜기로 귀양을 보내나.” 하고 울면서 들어왔다고 한다. 왜 울었느냐면, 쉬웅목이란 산...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에 있었던, 여성과 차를 주제로 한 사립 박물관. 현재는 서울시 용산구로 이전한 상태이다. 여성의 아름다움과 전통의 멋을 이해하고, 여성 문화와 차 문화에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여 전시·연구·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9년 12월 12일 서울시 대방동에서 태평양 화장사관을 개관하였다. 1981년 2월 19일에는 다예관을 개관하였다....
-
떡메치기는 떡시루를 올려놓은 아궁이에 장작을 넣고 불을 지펴 밥을 한 다음, 옛날 떡판과 떡메를 이용하여 떡을 쳐보며 직접 손으로 인절미를 만들어 먹어보는 체험행사이다.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찹쌀밥을 떡판 위에 올려놓고 떡메로 힘차게 내리쳐서 쫄깃쫄깃한 떡을 만든다. 떡메가 무거워 힘들지만 고소한 콩고물을 묻혀 접시로 썬 다음에 따끈따끈한 인절미를 한 입에 쏘옥 넣으면 힘들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