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에 있는 기독교한국침례회 소속 교회. 백향목교회는 1963년 경기도 용인군 기흥면 보라리 양달말이에서 할머니 전도부인의 신앙 모임에서 출발하였다. 1969년 9월 26일 충광교회로 설립되었다. 제1대 교역자로 김연식 전도사, 제2대 교역자로 이남묵 전도사, 제3대 교역자로 김용도 전도사, 제4대 교역자로 김문선 목사, 제5대 교역자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이재선 담임목사를 중심으로 행복한 교회, 사랑과 섬김을 실천하는 교회, 두 날개로 날아오르는 건강한 교회를 지향한다. 1970년 5월 3일에 김화석 목사와 12명이 모여 경기도 용인군 구성면 보정리 400번지에서 예배를 시작하였다. 2002년에 실로암교회와 새창교회가 통합됨에 따라 2002...
-
“그 사진이 얼굴에 숯을 뿌리고 바르고 그래서 얼굴이 못나게 나왔지.” 신갈 승마장 뒤편 오솔길을 지나 위치한 박양순(68세), 이진규(70세) 부부의 평화롭고 한적한 집을 방문했다. 올해 70세가 되는 이진규 씨는 과거 전통혼례에 대해 묻는 질문에 거침없이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자식들이 정리해 줬다면서 자랑하며 내놓은 앨범엔 흑백사진들이 몇 장 있었다. 50...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정월이나 추석 명절에 지신밟기를 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고사반」은 보통 정월이나 추석 명절에 마을 단위로 구성된 걸립패가 집집을 돌면서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주는 뜻으로 부르는 고사 소리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걸립패 가운데 상쇠가 지신밟기를 할 때 꽹과리를 치면서 부르는데, 고삿상을 차려 놓고 부른다고 하여 「고사반(告祀盤)」 또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서 고초동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삼학사 전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오달자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오달제(吳達濟)를 말한다. 오달제는 1609년(광해군 원년)에 용인에서 오윤해의 아들로 태어났다. 1634년(인조 12)에 문과에 합격하여 벼슬에 올랐고, 2년 뒤에 부교리가 되었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용인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할 때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곯었네 소리」는 두벌매기를 할 때 불렀던 소리로, 「곯었네」라고 부르기도 한다. 용인시와 이천시를 중심으로 하여 광주시와 안성시, 양평군 등 경기도 동남부권에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다른 사람 몸으로 환생한 사람 이야기. 「생거진천 사거용인」은 용인의 대표적인 설화로 세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두 번째는 용인 남편이 죽자 진천사람에게 재혼하여 진천에 살다 죽은 유형, 세 번째는 용인사람이 죽어 진천사람에게 접신하여 용인에 살다 죽은 유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내 복에 먹고산다고 했다가 쫓겨난 딸 이야기. 「내 복에 먹고산다는 셋째 딸」은 용인시 포곡면 전대리에서 채록되어 2005년에 출간된 『용인시지』에 실려 있다. 동일한 이야기가 1982년에 채록되어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되어 있다. 각 채록본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린...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유희요. 「담바귀 타령」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담방구 타령」은 담배를 주제로 한 유희요로, 지역 구분 없이 전국에서 널리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보통 “담바귀야 담바귀야/동래 울산 담바귀야/은을 주려 나왔느냐/금이나 주려고 나왔느냐/은도 없고 금도 없어/담바귀를 가지고 왔네”로 시작되거나, “시작일세 시작일세/담바귀타령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고당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와 절교한 사람 이야기. 2005년에 출간한 『경기민속지』에 수록되어 있다. 어떤 사람이 밤중에 물을 푸는 소리가 “철썩철썩” 나서 밖으로 나가 보니, 도깨비가 우물에서 물을 푸고 있었다. 도깨비와 친해져 부자가 된 집주인은 어느 날 도깨비를 떼어 내려고, “나는 돈이 제일 무서워. 돈 때문에 고생을 해서 돈 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파계승을 징치한 이야기. 1982년 1월 8일에 운학리[현 처인구 운학동] 별학마을에 사는 이종태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하였다. 용인의 다른 지역에서는 「도수승(渡水僧)」이란 제목으로 널리 알려진 설화이다. 한 과부가 슬하에 둔 아들 하나를 절로 공부하러 보냈는데, 한 중...
-
조선 후기 이재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 「도암 이재 학규」로도 불리는 「심곡서원 학규」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재(李縡)[1680~1746]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이다. 현재 상현동에 있는 심곡서원 강당에 현액되어 있다. 심곡서원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인 1650년(효종 1) 사액(賜額)된 서원으로,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
-
고려 후기 이색이 용인의 남곡으로 떠나는 이석지를 송별하며 지은 한시. 이색(李穡)[1328~1396]의 『목은집(牧隱集)』 권30에 전하는 작품으로, 원래 제목은 「나이가 동갑인 판서 이석지가 장차 용구현의 별장으로 돌아가겠다고 와서 이별을 고함으로 우선 전별의 말을 주고 붓을 놀려 책임을 면하다(同年李判書釋之 將歸龍駒別墅 來告別 且徵贈言 走筆塞責)」이다. 이석지(李釋...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동촌마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채록되어 있다. 『용인군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한 편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한 원님이 양지면 양지리에 도임하면서 “내가 무슨 잘못을 했다고 이런 산골짜기로 귀양을 보내나.” 하고 울면서 들어왔다고 한다. 왜 울었느냐면, 쉬웅목이란 산...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유희요. 「희아요」는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어린아이의 다리 힘을 길러 주기 위한 동작과 함께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아이의 양쪽 겨드량이 사이에 손을 넣어 일으켜 세워놓고 좌우로 흔들면서 부르는데, 노랫말에 따라 “둥게 둥게야”, “부랴부랴 부라뚝딱”이란 구절이 반복된다고 하여 「둥게타령」이나 「부랴부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맹정승 이야기. 1981년에 채록되어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실려 있다. 세종 때의 명재상 맹사성은 지극히 청렴하고 고결했던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맹정승은 고향인 온양에서 한양까지 종자도 거느리지 않고 늘 검은소를 타고 다녔다. 맹정승은 한양으로 갈 때면 성환 근처에서 하루를 묵고, 진위현을 거쳐 용인현에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모심기 노래」는 지역에 따라 「모내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모심기 노래」의 경우 마을마다 모를 심는 작업 과정이나 시각에 따라 사설이나 형식·창법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1971년 5월에 기흥면...
-
조선 전기 김종직이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권10에 전한다. 본래의 제목은 「문극기행차용인 마사 입경우선원사 차기(聞克己行次龍仁 馬死 入京寓善源舍 借騎: 극기가 용인 행차 때 말이 죽어서 선원의 집에 머물다 말을 빌려 타고 왔다는 이야기를 듣고서)」이다. 친구인 김극기(金克己)를 조롱해서 지은 작품으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물레 노래」는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로, 물레질이 성하던 시절에는 부녀자들 사이에 유행하던 노래였으나 근래에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유희요로 불린다. 용인 지역에서 채록된 「물레 노래」의 사설을 보면, 일이 너무 많아 부족한 잠을 호소하거나 사랑을 노래한 것도 있고, 물레에 기름을...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방아 소리」라고도 불리는 「논매기 노래」는 선율에 따라 긴 방아와 느린 방아 소리로 구분된다. 수지구 지역에서 채록되는 「논매기 노래」의 경우 메기는 소리의 첫 구절은 「방아타령」을 연상케 하고, 받는 소리의 선율 일부는 「양산도」 소리와 닮아 있다. 『경기논맴소리자료총서』3에는 두 편의 「논매...
-
조선 후기 성영우가 심곡서원을 배알하고 난 뒤의 감회를 적은 오언율시의 한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심곡서원(深谷書院)은 기묘명현인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학덕을 기리는 서원으로, 조선 명종 때 사액되었다. 따라서 용인 지역의 유림은 물론이고 전국의 유학자들이 찾아와 배알하며 감회를 시문으로 남겼다. 「심곡서원에 배알하며」도 그중의 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유희요. 「희아요」는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어린아이의 다리 힘을 길러 주기 위한 동작과 함께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아이의 양쪽 겨드량이 사이에 손을 넣어 일으켜 세워놓고 좌우로 흔들면서 부르는데, 노랫말에 따라 “둥게 둥게야”, “부랴부랴 부라뚝딱”이란 구절이 반복된다고 하여 「둥게타령」이나 「부랴부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처인구 모현읍 일대에서는 「상사 타작」이라고도 부르는 「상사 소리」는 주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상사 소리」의 메김 선율은 한 마디가 주로 4~6자로 구성된 2음보씩으로, 후렴구가 “얼얼럴럴 상사뒤야”나 “에~얼럴럴 상사뒤야”로 붙는다고 하여 「상사 소리」라고 부른다. 상사라는 말은...
-
조선 중기 조신이 양지현에서 머물며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조신(曹伸)[?~?]의 문집인 『적암유고(適庵遺稿)』 권1에 전하는 작품으로, 원 제목은 「서헐양지전계(書歇陽智前溪)」이다. 양지현(陽智縣)은 경기도 용인군 동부를 차지하고 있던 옛 행정구역으로, 1914년에 용인군에 통합되었다. 양지현 앞에 흐르는 냇가에서 쉬며 객회(客懷)를 토로한 작품으로, 봄날...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승되는 감투 쓰고 소가 된 농부 이야기 일하기 싫어하며 부귀와 권세만을 부러워하던 사람이 양반들이 쓰는 감투라도 한번 써보고 싶어 내기를 했다가 소가 된 후 마음을 고쳐먹게 되었다는 전설로서 모현읍 능원리 우명동의 지명 유래에 해당한다. 1980년에 채록되어, 『내 고장 옛이야기』에 실려 있다. 한 농부가 살았다. 그 사람은 농사를 짓다가도, ‘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우 잡은 소금장수 이야기.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려 있다. 비슷한 이야기가 2000년에 출간한 『용인 중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둔갑한 여우」라는 제목으로 채록되어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소금장수가 소금가마를 짊어지고 산 고개를 넘어가다가 개울가에서 점심을 먹고 있는데 이상한 소리가 들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시미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허수아비 이야기. 1978년에 채록되어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실려 있다. 이동읍 시미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마을에 한 총각이 살았다. 총각은 같은 동네의 부잣집 처녀를 짝사랑하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상사병으로 죽었다. 총각이 죽은 뒤, 부잣집 처녀는 매일 밤 총각의 영혼에 시달렸다. 처녀는 그 사실을...
-
조선 후기 이재가 조광조가 용인에 심은 은행나무를 소재로 지은 오언절구의 한시. 「심곡서원에 걸린 시판의 운에 따라」는 정암 조광조 선생이 심었다는 은행나무에 작자의 감정을 이입하여 추모의 정을 술회한 작품이다. 심곡서원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시대 서원으로,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를 봉안한 곳이다. 경기도 용인시에는 정암 조광조와 관...
-
조선 후기 오원이 정암사를 참배하고 나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오원(呉瑗)[1700~1740]의 문집인 『월곡집(月谷集)』권2에 전하는 작품으로, 정암사는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정암 조광조를 모시고 있는 사당으로, 많은 선비들이 정암사를 참배하고 그 회포를 시로 남겼다. 봄날에 사당 앞의 잡초를 보고 서글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는 심정이 잘 나타나 있다. 청산회백기비풍...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기장수 이야기. 1978년 6월 20일에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사는 홍종억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하였다. 용인시에는 「아기장수와 용마바위」와 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전해 오고 있다. 용인시의 좌측으로는 투구봉이 있고 우측으로는 칼봉이 자리잡고 있는데, 봉우...
-
1640년(인조 18) 윤선거가 심곡서원을 참배하고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심곡서원을 참배하며」는 윤선거(尹宣擧)[1610~1669]가 심곡서원이 사액(賜額)되던 1640년 7월에 직접 사원을 배알하며 감회를 적은 오언율시의 한시 작품이다. 심곡서원이 파주에 있는 자운서원과 함께 사액된 것을 경하하며, 정암 조광조 선생의 학덕과 유향(遺響)을 기리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갈담리에서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0년에 출간한 『용인군지』에는 제보자와 채록 날짜만 제시되어 있다.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가 『용인 북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여자가 산소에 가지 않는 이유」로, 『용인 중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친정 명당을 빼앗은 딸」·「묘자리 빼앗은 정몽주의 딸」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옛날 한...
-
조선 후기 이덕무가 용인을 지나면서 감회를 적은 칠언율시의 한시. 이덕무(李德懋)[1741~1793]의 문집인 『청장관전서(青荘館全書)』 「아정유고(雅亭遺稿)」에 전하는 작품으로, 이덕무가 용인을 지나면서 감회를 읊은 한시이다. 『용구문화』6에는 「용인을 지나는 도중에」로 번역·소개되었다. 전체 분위기로 보아 가을걷이가 끝난 늦가을에 지은 작품이다. 늦가을의 정취가 회화...
-
조선 중기 정희량이 용인현에 있는 객관에 머물면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희량(鄭希良)[1469~1504]의 문집인 『허암유고(虛庵遺稿)』권2에 전하는데, 원제목은 「용인객관견매계수제유감이작(龍仁客館見梅溪手題有感而作)」이다. 지방에 다녀오면서 상경하는 도중 용인객관 시판(詩板)에 전하는 매계(梅溪) 조위(曺偉)의 시를 보고, 감회를 억제할 수 없어 토로한 작품이다. 고...
-
1636년 윤홍찬이 용인을 지나면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윤홍찬(尹弘璨)의 「용인도중(龍仁途中)」은 여항문인(閭巷文人)들의 문집인 『육가잡영(六家雑詠)』에 전한다. 용인문화원에서 발행한 『용구문화』 10에는 「용인 지나며」로 번역·소개되었다. 병자호란이 지난 뒤에 용인을 지나다가 목격한 바를 기록한 사회시(社會詩)이다. 황폐한 들녘과 텅빈 객사(客舍), 객사 주인이 겪...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통한 점복자 이야기. 「당태종과 점복자」는 고전소설 「당태종전」이 유행하면서 형성된 이야기로 소설의 영향으로 설화가 형성된 경우이다. 「당태종전」은 당나라 태종 이세민이 죽어서 저승에 갔다가 살아서 돌아온 후 불교 전파에 힘쓰고, 삼장법사를 서역에 보내 불경을 구해 온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태종과 점복...
-
조선 초기 유사눌이 용인현에 잠시 머물면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제영」(유사눌 시)은 『신증동국여지승람』 권8 용인현의 기록 중 「제영」에 전하는 작품으로, 유사눌(柳思訥)[1375~1440]이 지방에 다녀오다가 용인현에 잠시 머물면서 지은 작품이다. 용인현 주변의 적막한 정황을 나그네의 회포와 함께 회화적으로 그려내어, 마치 산수화를 보는 듯하다. 현문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모심기 노래」는 지역에 따라 「모내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모심기 노래」의 경우 마을마다 모를 심는 작업 과정이나 시각에 따라 사설이나 형식·창법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1971년 5월에 기흥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서 자은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설화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 상황에서, 영덕동에는 용인이씨의 공동 장지가 있어 문중과 관련한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다는 설명이 들어 있다. 1990년에 출간한 『용인군지』에는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된 내용과 약간 다른 이야기가 채록되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리에 전해 내려오는 효자 어운해 이야기. 어운해는 용인시 이동읍 송정리 출신으로, 가선대부 호조참판을 지냈던 할아버지는 1864년(고종 원년)에 효자정문을 받았고, 부친 어사량(魚史良)은 사친지도를 궁행함으로써 정려문을 받았다. 이렇듯 승습세효(承襲世孝)한 가통을 이어받은 어운해 역시 부모 섬기는 일에 진충갈력하여 효자정문을 받...
-
조선 후기 이재가 조광조를 모신 정암사를 배알하고 나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정암사(靜庵祠)」는 이재(李縡)[1680~1746]의 문집인 『도암집(陶庵集)』에 수록되어 있는데, 1987년 『용구문화』의 「옛 문헌 속의 용인」에서 「정암사당에서」로 번역 소개되었다. 정암사 주변의 경관을 산수화를 그리듯 묘사하고, 정암 조광조 선생에 대한 추모의 정을 술회하고...
-
조선 후기 성근묵이 조광조의 묘소를 지나며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성근묵(成近黙)[1784~1852]이 정암 조광조 선생의 묘소를 지나며 감회를 기록한 칠언절구의 한시 작품으로, 성근묵의 문집인 『과재집(果齋集)』에 실려 있다. 2002년 『수지읍지』에서 「과정암선생묘(過靜庵先生墓)」로 번역 소개되었다. 용인 지역에는 조광조의 묘소와 심곡서원 등, 조광조와 관...
-
1673년(현종 14) 김간이 심곡서원에 있는 괴목을 소재로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김간(金幹)[1646~1732]이 계축년(1673)에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심곡서원에서 독서하며, 서원 왼쪽에 있는 괴목을 소재로 지은 작품으로, 원 제목은 「정암조선생수종괴수(靜庵趙先生手種槐樹)」이다. 담장 근처에 있는 괴목은 정암 조광조 선생이 손수 심은 나무로, 현재 용인시...
-
조선 후기 숙종이 조광조의 문집인 『정암집』을 읽고 지은 어제시(御製詩). 「독정암집유감(讀靜庵集有感)」은 1990년 『용인군지』에서「정암집을 읽고 느낌을 적다」로 번역 소개되었다. 조선의 제19대 왕인 숙종(肅宗)[1661~1720]이 『정암집(靜庵集)』을 읽고 난 뒤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도덕과 절의를 칭송하여 지은 오언율시의 한시 작품이다. 민...
-
조선 후기 숙종이 정몽주의 「단심가」를 읽고 감회를 적은 어제시(御製詩). 「영정포은단심가(詠鄭圃隱丹心歌)」는 2003년 『모현면지』에「정포은의 단심가를 읊어」로 번역되어 소개되었는데, 숙종(肅宗)[1661~1720]이 포은 정몽주의 「단심가(丹心歌)」를 읽고 느낀 감회를 적은 오언절구의 한시이다. 숙종은 이와 같이 정몽주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는 시를 짓고 이를 시판(詩...
-
조선 중기 이명한이 죽전 부근에서 사냥을 구경하며 지은 칠언절구의 한시. 「죽전관렵(竹田觀獵)」은 이명한(李明漢)[1595~1645]의 문집인 『백주집(白州集)』 권2에 전하는 작품으로, 2002년 『수지읍지』에서는 「죽전에서 사냥을 구경하며」로 번역 소개되었다. 죽전은 지금의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을 말한다. 죽전동 부근의 산에서 사냥을 구경하며 지은 작품으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용인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할 때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찍었네야 소리」는 호미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받는 소리가 “찍었네야”라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용인시 전역에서는 골고루 채집되는 노래이나 인근 지역...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용인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할 때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찍었네야 소리」는 호미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받는 소리가 “찍었네야”라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용인시 전역에서는 골고루 채집되는 노래이나 인근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서 처인성의 사장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수록되어 있다. 『용인군지』에도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가 채록되어 있으며, 『용인 남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처인성에 일어난 일화」란 재목으로 채록되어 수록되었다. 몽고는 고려 정부가 강화도로 들어가 적극적으로 항쟁할 기미를 보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새 집을 지을 때 지반을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 「터닦기 노래」라고도 부르는 「지경다지기 노래」는 노동요의 하나로, 새 집을 짓기 위해 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시신을 매장할 때 부르는 「달구질 소리」와 유사하여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명당 터의 내력이나 발복지로 혜택을 받으리라는 덕담 내용이나 받는 소리가 거의 같기 때문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갈담리에서 석담마을과 할미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5년에 출간한 『내 고장 옛 이야기』에 간략한 채록 상황과 내용이 실려 있다. 1990년에 출간한 『용인군지』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1998년에 출간한 『용인 북부지역의 구비전승』에는 석담마을이나 할미당의 유래가 아닌 할미성 쌓기와 관련한 이야기 세 편이 수록되어...
-
경기도 용인시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로도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장례 의식 때 관을 묻고 달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답산가류의 산천풀이와 유택(幽宅) 명당풀이로 이루어지는데, 메기는 소리의 사설은 상여 소리와 큰 차이가 없다. 1983년에 출간한 『내 고장 민요』에 처인구 호동에 사는 김익채(남,...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2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부와 불효자 이야기. 1982년에서 채록되어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려 있다. 옛날에 할머니가 손자에게, "아가, 사랑방에서 할머니 담뱃대 가져온." 하고 심부름을 시켰다. 손자가 담뱃대를 입에 물고 장난치다 넘어졌는데, 담뱃대가 코를 통과해 죽고 말았다. 놀란 할머니가 며느리를 보고, "아유, 저걸 어떡하면...
-
경기도 용인시의 호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말기 승려 나옹화상 혜근의 법어집과 시집.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은 고려 말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惠勤)[1320~1376]의 글을 제자들이 수집하고 교정하여 총 67장으로 간행한 범어집이며,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은 나옹화상 혜근이 직접 쓴 시를 모은 시집이다. 제자들이 글을 수집하고 교정하...
-
경기도 용인시의 경기도박물관에 기탁 보관된, 선조의 친필 비밀문서와 정조의 어친필(御親筆)을 별책으로 묶은 첩. 『선조어서 사송언신 밀찰첩(宣祖御書賜宋言愼密札帖)』과 『정조어제 선조어서 밀찰발(正祖御製宣祖御書密札跋)』은 모두 2첩으로 묶여진 고문서로, 1987년 12월 26일 보물 제941호로 문화재청에 지정 등록되었다가, 2004년 영정과 분리되고 명칭도 변...
-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오씨 문중의 종계첩. 『수양종첩(首陽宗帖)』은 해주를 본관으로 하는 해주오씨 문중의 종계첩(宗禊帖)으로, 『수양종계첩(首陽宗禊帖)』으로도 부른다. 『수양종첩(首陽宗帖)』이라 부른 것은 해주오씨를 수양오씨라고도 부르기 때문이다. 1766년(영조 42) 영의정으로 증직된 감역공(監役公) 오희문(吳希文)의...
-
경기도 용인시의 한산이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 이자(李耔)[1480~1533]의 일기. 『음애일기(陰崖日記)』는 『음애일록(陰崖日錄)』, 또는 『음애잡기(陰崖雜記)』라고도 하는데,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음애 이자(李耔)[1480~1533]가 1509년(중종 4) 9월부터 1516년 12월까지 조정에서 일어난 일 등을 기록하고 있는 일기문이다. 1권...
-
경기도 용인시의 한산이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 이자(李耔)[1480~1533]의 일기. 『음애일기(陰崖日記)』는 『음애일록(陰崖日錄)』, 또는 『음애잡기(陰崖雜記)』라고도 하는데,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음애 이자(李耔)[1480~1533]가 1509년(중종 4) 9월부터 1516년 12월까지 조정에서 일어난 일 등을 기록하고 있는 일기문이다. 1권...
-
경기도 용인시의 경기도박물관에 기탁 보관된, 선조의 친필 비밀문서와 정조의 어친필(御親筆)을 별책으로 묶은 첩. 『선조어서 사송언신 밀찰첩(宣祖御書賜宋言愼密札帖)』과 『정조어제 선조어서 밀찰발(正祖御製宣祖御書密札跋)』은 모두 2첩으로 묶여진 고문서로, 1987년 12월 26일 보물 제941호로 문화재청에 지정 등록되었다가, 2004년 영정과 분리되고 명칭도 변...
-
1801년(순조 1) 간행된 여류학자 사주당 이씨의 태교서. 사주당 이씨(師朱堂 李氏)[1739~1821]는 여류문장가이며 박학으로 당세에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유한규(柳漢奎)와 혼인하여 1남 3녀를 두었는데, 34세 되던 해에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서 출산한 아들이 유희(柳僖)[1773~1837]이다. 유희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며 음운학자로서 독창적인 방법으...
-
백암장 은 백암면 백암리에 개장하는 정기적인 재래시장으로, 날짜의 끝에 1, 6이 붙는 날에 주기적으로 열리는 5일장에 속한다. 용인시와 이천시, 안성군을 잇는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과거 경상도에서까지 소를 사러 올라올 정도로 큰 쇠전이 열렸던 규모가 큰 시장이었다. 백암장은 백암장이 서는 곳에는 음식점, 채소가게, 어물전...
-
1951년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에서 터키군이 중공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 1951년 1월 25일을 기점으로 미 제8군사령관 릿지웨이 장군은 UN군이 중공군에 대하여 본격적인 반격 작전을 펴기 위하여 한강을 향해 북진하도록 명령했다. 이른바 선더볼트(Thunderbolt) 작전이었다. 이 작전에 참여했던 터키군이 151고지에서 백병전으로 중공군 474명을 사살하며 고지를 점령...
-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아 최근까지 2대째 백암양조장을 운영하였던 김기홍(63세)백암양조장 김기홍 씨 전 대표는 운영할 당시를 다음과 같이 회상하고 있다. “당시 백암의 경기는 좋아 술도 꽤 팔았지요. 국세청의 간섭도 많아 애를 먹은 적도 있지만 이곳이 농사가 번창한 곳이고 백암의 청미천에 사금이 나와 유흥업소가 늘어나고 소비가 많았던 곳이었지요. 이 양조장에서는 탁주와 약주를 만들어...
-
1919년 3월 1일부터 약 2개월 동안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과 식민지 정책에 대한 저항으로 항일 사상이 용인 지역에서 높아져 자주 독립을 바라는 민중들의 바람이 높아졌다. 또한 1919년 1월에 고종 황제가 갑자기 승하하자 일본인들이 독살하였다는 소문이 퍼져 민중들이 분노하였다. 또한 일본 유학생들이 2·8독립선언을 하였고 이 사실이...
-
경기도 용인시에서 활동하는 미술가들이 3·1절을 기념하기 위하여 개최하였던 전시회. 3·1호전은 일상적인 전시 공간에서 전시회를 열어 미술 작품과 대중과의 거리를 좁히고, 일반인들도 저렴한 가격으로 작품을 구입해 소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최하였던 전시회이다. 사람들이 오기를 기다리는 전시 방식에서 벗어나, 작가들이 직접 사람들이 많은 곳을 찾아가는 전시회였다고 할...
-
산신제는 지역에 따라 산제, 산제사, 산고사, 산지사, 산치성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마다 수호신으로 믿는 산신에게 마을 사람들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의 하나이다. 옛날에는 봄·가을과 정초에 제사하는 풍속이 있었다고 하나, 요즘은 음력 10월 초순경이나 정초부터 대보름 사이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통은 산신당을 지어 신체를 모셔 놓고 치성을 드린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서리에 있는 오토바이 헬멧 전문 제조업체. 오토바이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해 헬멧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1년 헬멧 내장제를 생산하는 홍진기업으로 설립되었다. 1987년에는 (주)홍진크라운으로 법인명을 전환하였다. 1992년 12월에는 북미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고 현재까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1997년 1월에는 중국에 공장...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에 있는 담배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 KT&G는 담배, 홍삼, 홍삼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식음류품, 의약품, 의약부외품을 제조, 판매한다. 담배와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으며, 원래 국가에서 운영하였으나 현재 민영화되었다. 1899년 8월 궁내성 내장원 삼정과가 설치되었고, 1948년 11월에는 재무부에 전매국이 설치되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운학동에 있는 위성 관제 센터. 무궁화위성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신·방송용 위성으로, 동경 116도 지구 궤도에 진입함으로써 22번째 세계 통신 위성 보유국 대열에 합류하게 되었다. 이로써 정보 고도화 사회에 대비한 본격적인 위성 시대에 진입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 우주 산업을 육성·발전시켜 미래 우주 시대에 대비하기 위하여 설립...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LIG넥스원 본사. LIG넥스원은 LIG넥스원은 1976년 금성정밀공업㈜로 창업 이후, LG정밀, LG이노텍, 넥스원퓨처를 거쳐 2007년 4월 LIG넥스원으로 거듭나며 대한민국 첨단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및 국산화를 이끌어 왔다. 미국산 미사일 창정비로 시작한 LIG넥스원은 오늘날 세계 100대 방산기업(‘14년 62위, 美...
-
경기도 용인시에서 활동 중인 일련정종의 재가신도 단체에서 유래한 종교 단체. 국제창가학회(國際創價學會)[영문약칭 SGI]는 『법화경』 신앙을 중시하는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신도단체에서 유래한 종교단체이다. 주요 지도자로 마키구치 쓰네사부로[牧口常三郞][1871~1944], 도다 조세이(戶田城聖)[1900~1958], 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1928~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에 있는 용인시 체육회 산하 축구 단체. 19세기 말 우리나라에 도입된 축구는 일제강점기에 용인에서도 근기대회라는 이름의 축구대회가 열려 평택, 수원, 이천, 광주, 용인, 여주 지역과 경기를 하였다. 광복과 더불어 중·고등학교에 축구부가 생겨났다. 태성고등학교와 용인고등학교가 정기적으로 축구 경기를 하였다. 1960년대 현재 용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