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경기도 용인시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로도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장례 의식 때 관을 묻고 달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답산가류의 산천풀이와 유택(幽宅) 명당풀이로 이루어지는데, 메기는 소리의 사설은 상여 소리와 큰 차이가 없다. 1983년에 출간한 『내 고장 민요』에 처인구 호동에 사는 김익채(남,...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민중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오래전부터 작사자나 작곡자가 따로 없이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민요는 민중의 사상이나 생활, 감정 등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민성과 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노동기원설에 따르면 민요는 노동을 하면서 박자에 맞추어 소리를 내고, 이러한 무의미한 소리에...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의식요.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상여 소리」는 노래가 불리는 지역과 주변 여건, 선소리꾼의 구연 능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연되는 특성이 있다. 선소리는 「회심가」의 사설을 근간으로 하여 생로병사의 순환적인 운명과 극락왕생의 기원, 상주를 비롯한 자손들의 위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여 소리」는 주로 평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