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정월이나 추석 명절에 지신밟기를 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고사반」은 보통 정월이나 추석 명절에 마을 단위로 구성된 걸립패가 집집을 돌면서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주는 뜻으로 부르는 고사 소리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걸립패 가운데 상쇠가 지신밟기를 할 때 꽹과리를 치면서 부르는데, 고삿상을 차려 놓고 부른다고 하여 「고사반(告祀盤)」 또는...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용인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할 때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곯었네 소리」는 두벌매기를 할 때 불렀던 소리로, 「곯었네」라고 부르기도 한다. 용인시와 이천시를 중심으로 하여 광주시와 안성시, 양평군 등 경기도 동남부권에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논일 노래. 김매기 소리는 논에 난 잡초를 제거할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김매기 소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명칭 자체도 「찍었네」, 「둘레야」, 「곯았네」, 「오홀로 가세아」, 「방아 소리」, 「상사듸야」, 「얼카뎅이냐」, 「대허리(단허리)」, 「오하 소리」 등 다양하다. 이중에서 「찍었네」, 「...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남자들이 들에서 꼴을 베며 부르던 노동요. 「꼴노래」는 남자들이 들에서 꼴을 베면서 부르던 노래로, 지게를 지고 가면서 부르는 「지게동발」과 비슷한 민요이다. 용인 지역에서는 소의 먹이로 쓰이는 풀을 꼴이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꼴노래」는 「지게동발」의 사설처럼 통속 민요인 「청춘가」나 「백발가」,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제일리에서 여자아이들이 나물을 캐면서 부르던 유희요. 「나물캐는 노래」는 십대의 여자아이들이 들이나 산에서 나물을 캐면서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이다. 용인 지역에서는 다양한 가락과 사설로 불리는 「나물캐는 노래」가 불렸는데, 양지면 제일리에서 불리던 「나물캐는 노래」는 4·3조의 경쾌한 가락에 나물 이름들을 열거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방아 소리」라고도 불리는 「논매기 노래」는 선율에 따라 긴 방아와 느린 방아 소리로 구분된다. 수지구 지역에서 채록되는 「논매기 노래」의 경우 메기는 소리의 첫 구절은 「방아타령」을 연상케 하고, 받는 소리의 선율 일부는 「양산도」 소리와 닮아 있다. 『경기논맴소리자료총서』3에는 두 편의 「논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용인 지역 역시 김매기를 할 때는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단허리」의 경우 처인구 원삼면 일대에서는 주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데, 그 외 지역에서는 재벌매기를 할 때 부른다고 한다. 1987년...
-
경기도 용인시에서 불리는 장례의식요. 「회방아 소리」로도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장례 의식 때 관을 묻고 달구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달구질 소리」는 답산가류의 산천풀이와 유택(幽宅) 명당풀이로 이루어지는데, 메기는 소리의 사설은 상여 소리와 큰 차이가 없다. 1983년에 출간한 『내 고장 민요』에 처인구 호동에 사는 김익채(남,...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유희요. 「담바귀 타령」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담방구 타령」은 담배를 주제로 한 유희요로, 지역 구분 없이 전국에서 널리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보통 “담바귀야 담바귀야/동래 울산 담바귀야/은을 주려 나왔느냐/금이나 주려고 나왔느냐/은도 없고 금도 없어/담바귀를 가지고 왔네”로 시작되거나, “시작일세 시작일세/담바귀타령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마평동에서 대추를 따면서 부르던 유희요. 「대추따기」는 가을철에 대추를 따면서 부르는 소리로, 일정한 가락이 없이 혼자 읊조리는 투로 부르는 노래이다. 1979년에 용인읍 마평리(현 처인구 마평동)에 사는 김순철(여, 85)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내고장 민요』에 수록하였다. 바람아 바람아 불어라/대추야 대추야 떨어져라...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2년 모현면[현 모현읍] 매산3리에 사는 전만길(남, 66)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내고장 민요』에 수록하였다. 「둘레 소리」는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김매기 소리처럼 메기고 받는 소리가 각각 3분박 4박의 두 마디씩인 경향을 보인다. 용인시의 서북부 지역에서 ‘둘레야 소리’로 불리는 노래처럼 도선법...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모심기 노래」는 지역에 따라 「모내기 소리」, 또는 「이앙가(移秧歌)」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용인 지역에서 불리는 「모심기 노래」의 경우 마을마다 모를 심는 작업 과정이나 시각에 따라 사설이나 형식·창법 등이 다르게 나타난다. 1971년 5월에 기흥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제일리에서 모를 찌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 「모찌는 소리」는 모심기 이전에 모를 찌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이다. 모를 찌는 일은 대개 한두 사람이 하는데, 한편에서는 모를 심기 때문에 노래를 부를 만큼 한가하지 않아서, 「모찌는 소리」의 경우 양지면 제일리에서 채록한 것이 거의 유일하다고 할 만큼 용인 지역에서는 구전되는 자료가 희...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 「물레 노래」는 부녀자들이 물레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로, 물레질이 성하던 시절에는 부녀자들 사이에 유행하던 노래였으나 근래에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유희요로 불린다. 용인 지역에서 채록된 「물레 노래」의 사설을 보면, 일이 너무 많아 부족한 잠을 호소하거나 사랑을 노래한 것도 있고, 물레에 기름을...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민중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오래전부터 작사자나 작곡자가 따로 없이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민요는 민중의 사상이나 생활, 감정 등을 소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 국민성과 민족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노동기원설에 따르면 민요는 노동을 하면서 박자에 맞추어 소리를 내고, 이러한 무의미한 소리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정수리에서 부녀자들이 빨래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 「빨래 노래」는 부녀자들이 물가에 앉아서 빨래를 하며 부르던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시집살이 노래1」과 같이 고부간의 갈등과 처첩간의 문제를 사설로 늘어놓고 있다. 1979년 처인구 양지면 정수리에 사는 임옥순(여, 45)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처인구 모현읍 일대에서는 「상사 타작」이라고도 부르는 「상사 소리」는 주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상사 소리」의 메김 선율은 한 마디가 주로 4~6자로 구성된 2음보씩으로, 후렴구가 “얼얼럴럴 상사뒤야”나 “에~얼럴럴 상사뒤야”로 붙는다고 하여 「상사 소리」라고 부른다. 상사라는 말은...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상례의식요. 상여를 메고 가며 부르는 「상여 소리」는 노래가 불리는 지역과 주변 여건, 선소리꾼의 구연 능력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연되는 특성이 있다. 선소리는 「회심가」의 사설을 근간으로 하여 생로병사의 순환적인 운명과 극락왕생의 기원, 상주를 비롯한 자손들의 위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여 소리」는 주로 평지에서...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갓난아이를 잠재우기 위하여 부르는 자장가. 「세상달공」은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자장가」와 함께 주로 아이들을 재울 때 부르는 노래로, 사설 가운데 “달공 달공 세상달공”이란 구절이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주로 어린아이를 무릎 위에 재우면서 부르는 노래로, 일반적인 자장가에 비해 경쾌한 곡조로 불린다는 특징이 있다. 1983년에 출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에서 부녀자들이 고달픈 시집살이를 노래한 민요. 「시집살이 노래」는 용인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불리는 ‘시집살이요’에 들어가는 부요(婦謠)의 하나이다. ‘시집살이요’는 각종 사회적 구속에 얽매여 시집살이를 하던 부녀자들의 생활을 노래한 것으로, 여자들의 슬픔과 고난을 감동적으로 노래한 것이 많아 부요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묵리에서 아이들이 부르던 전래동요. 「신발 말릴 때 하는 노래」는 아이들이 여름에 물가에서 놀다가 모래나 흙에 더럽혀진 신발을 물에 깨끗이 씻은 뒤 햇볕에 말리면서 부르던 동요이다. 여름철에 널리 불리던 노래로, 양쪽의 신발 바닥을 맞부딪치면서 신발에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같은 사설을 반복하였다. 1979년 6월에 처인구 이동읍 묵...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여자아이들이 찔레꽃을 따면서 부르던 전래동요. 「아리랑 꽁꽁」은 여자아이들이 봄철에 찔레꽃을 따면서 부르던 전래동요이다. “아리랑 꽁꽁/찔레꽃 둥실”이라는 사설로 시작한다 하여 「아리랑 꽁꽁」으로 불린다. 1979년 5월 15일에 용인읍 마평리(현 처인구 마평동)에 사는 김씨 할머니(여, 84)가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얼카뎅이냐 소리」는 호미로 논을 맬 때 부르는 민요로, 메기는 소리 없이 “얼카덩이냐”만 주고받다가 끝에 "어-" 하고 치며 나온다. 처인구 양지면을 제외한 동남부 지역에서는 2음이나 4음으로 구성된 매우 단순한 선율로 구전되는 노래이다. 2004년에 출간한 『경기논맴소리자료총서』3에 수록되어 있다. 어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김매기를 할 때는 보통 애벌매기와 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오하 소리」는 호미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처음 김을 맬 때는 노동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이에 맞춰 부르느라 곡조가 느리다. 메기는 사설 없이 “오호아(워-하)”를...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갓난아이를 재우면서 부르는 노래. 「자장가」는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세상달공」과 함께 주로 아이들을 재울 때 부르는 노래이다. 사설 가운데 “자장 자장 우리 애기 잘도 잔다”라는 구절이 반복되어 「자장가」로 불린다. 「세상달공」이 경쾌하게 불리는 데 비해 「자장가」는 느리고 나지막하게 속삭이듯 부르는데, 가창자에 따라 “자장자장 우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매산리에서 남자들이 나무할 때 부르는 유희요. 「지게동발」은 본래 남자들이 지게를 지고 산에 나무하러 갈 때 작대기로 지게를 두들기면서 심심풀이로 부르던 노래이다. 용인 지역에서 전해 오는 「꼴노래」와 비슷한 민요로, 본래 특정한 가락 없이 「창부타령」류의 가락에 사설을 얹어 부르기도 하고, 구연자의 흥에 따라 「청춘가」나 「백발가...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새 집을 지을 때 지반을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 「터닦기 노래」라고도 부르는 「지경다지기 노래」는 노동요의 하나로, 새 집을 짓기 위해 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시신을 매장할 때 부르는 「달구질 소리」와 유사하여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명당 터의 내력이나 발복지로 혜택을 받으리라는 덕담 내용이나 받는 소리가 거의 같기 때문이...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용인 지역에서는 김매기를 할 때 애벌매기·두벌매기·세벌매기를 하는데, 애벌매기는 호미로 매고, 두벌매기나 세벌매기는 손으로 풀을 대강 뽑는다. 「찍었네야 소리」는 호미로 애벌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로, 받는 소리가 “찍었네야”라고 해서 붙여진 명칭이다. 용인시 전역에서는 골고루 채집되는 노래이나 인근 지역...
-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어린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유희요. 「희아요」는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어린아이의 다리 힘을 길러 주기 위한 동작과 함께 불리는 노래의 하나이다. 아이의 양쪽 겨드량이 사이에 손을 넣어 일으켜 세워놓고 좌우로 흔들면서 부르는데, 노랫말에 따라 “둥게 둥게야”, “부랴부랴 부라뚝딱”이란 구절이 반복된다고 하여 「둥게타령」이나 「부랴부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