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가실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성 에버랜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민 8명이 거주하였지만 2010년 현재는 전무하다. 가실의 ‘실’은 ‘골짜기 곡(谷)’의 뜻이다. 용인에 있던 12골짜기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원래 용인군 포곡면 가실[가곡]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학생 야영 시설. 경기도학생교육원 용인학생야영장은 용인 지역 청소년들의 심신 수련과 대자연 속의 야영 체험 학습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0년 6월 30일 경기도 학생 야영장 조례에 근거하여 1982년 11월 17일 시설이 준공되었으며, 1983년 5월 1일에 개장하였다. 개장 첫해인 1983년에는 초등학생 1,3...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주)경방의 직물 생산 공장. 1919년 10월 5일 경성방직주식회사를 설립하였으며, 1974년 2월 28일 용인공장을 준공하였다. 1977년 5월 용인공장 1차 증설공사를 마쳤으며, 1980년 3월 28일 경방용인부설여자중학교를 개교하였고, 1980년 5월 용인공장 2차 증설공사를 마쳤다. 1983년 3월 8일 경방용인여자실업...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면 삼계리에 있었던 산업체 특별 사립 여자 중학교. 교훈은 ‘부지런히 일하며 열심히 공부하고 알뜰하게 저축하자’이다. 1975년부터 1980년 2월까지 경성방직 사내(社內) 교양 교육을 실시하다가 1980년 3월 13일 경방용인부설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80년 3월 28일 9학급 540명으로 개교하였다. 1981년 2월 13일 경방용...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종목은 일제의 식민 통치에 불만을 가지고 독립운동에 참여할 기회를 엿보았다. 그러다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蒲谷面)에서 삼계리 주민 200여 명에게 태극기를 나누어 주고 만세 시위를 주도하였다. 그가 이끄는 시위대는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금어리(金魚里)로 진출하여 홍종욱(洪鍾煜) 형제가 이끄는 200...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7세기 초 백제 양식의 보살입상. 현재 광배(光背)는 없고, 육각형을 이룬 높은 대좌(臺座) 위에 놓인 세장(細長)한 형태의 보살상(菩薩像)이다. 앞면은 조각을 하였으나, 뒷면은 평평하여 옆에서 보면 상을 반으로 자른 듯한 모습이다. 뒷면에는 주조된 면과 일부 잡물(雜物)이 남아 있다. 신광과 두광을 부착하였던 방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삼국시대의 금동제 반가사유상 형식의 보살상. 등받이 없는 둥근 의자에 반가(半跏)한 사유상(思惟像)이다. 왼쪽 발을 내려 둥근 연꽃 족좌(足座)를 딛고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얹었으며, 오른손은 턱을 괴어 사유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머리에는 다섯 개의 꽃잎 모양이 산봉우리 형태를 이룬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통일신라 때의 불상. 전체적으로 풍만한 양감에 8세기 통일신라 금동불 양식과 도식화된 9세기 통일신라 금동불의 대표적인 형태가 혼재되어 있다.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는 없으며 도금의 흔적은 남아 있으나 곳곳에 푸른 녹이 슬어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놓았으며, 머리 정상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석성산에 있는 조선 후기 절터. 금수암에 대한 상세한 연혁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문헌 자료에도 위치만 명기되어 있을 뿐이다. 조선 후기부터 근대까지의 문헌을 살펴보면, 『경기읍지』에는 “금수암은 현의 동변면 보개산에 있다”고 소개되어 있고, 『용인현읍지』에는 “금수암은 현의 동쪽 13리 보개산에 있다”라고 되어 있다. 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금어리는 포곡읍 동쪽 광주시 도척면과의 경계에 위치하며, 에넥스 용인공장이 있다. 1914년에 용인군 수여면 금천리(金川里)와 어매리에서 한 자씩 따서 금어리라 하였다. 금천은 쇠내[金川]가 흘러서 쇠내실이 금천리로 되고, 어매는 마을 형국이 매화나무 밑에서 고기가 노는 모양이라 해서 유래되었다. 원래 옛 용인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 어매실마을에 있던 서낭당. 금어리 어매실 서낭당은 금어리 어매실마을에 있는 마을회관에서 둔전 방향으로 약 300m 떨어진 공동묘지가 있는 고개에 있었다. 이 고개를 넘으면 포곡읍 삼계리 두계울이 나오는데, 현재 포곡읍사무소가 그곳에 있다. 신목과 돌무더기로 된 형태로, 신목은 자생 벚나무이며, 그 아래 돌무더기가 쌓여 있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유물산포지. 금어리 유물산포지는 경안천의 지류인 금어천을 따라 난 도로를 타고 북동쪽으로 가다보면 금어리 어매실마을에 이르게 되는데, 이 어매실마을의 남쪽에 길게 뻗은 구릉지에 형성되어 있다. 청동기시대 무문토기편과 통일신라시대의 회색 경질토기호와 완 등의 조각이 채집되었다. 유적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 통점 북쪽 협곡에서 발원하여 경안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어천은 금어리 통점마을 북쪽에 위치한 474.7m의 고지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면서 쇠내실천 등 10여 개의 세천을 합류하여 둔전리와 유림동의 경계를 흐르다가 둔전리 남단 수포교 부근에서 경안천에 유입되는 하천이다. 금어천은 양쪽 주위에서 유입되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 1980년대 초 승려 김해동이 포곡읍 금어리에 와서 산 이름을 금어산이라 이름 붙이고, 움막을 지어 해동사라는 이름으로 포교를 하기 시작하였다. 김해동은 중풍 예방을 위한 침을 잘 놓아 인근에 소문이 나면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해동사는 2004년 김해동이 떠나자 조계종단에서 인수하여, 사찰 이름을...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병호는 1937년 중국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는 주로 중국 난징[南京]에서 한국인 유학생을 포섭하거나 남경군관학교 생도들을 모집하는 등 지하활동을 하였다. 이 같은 활동을 하던 중 1944년 8월 15일 상하이 일본총영사관의 탐지를 받고 붙잡히고 말았다. 일제에 체포된 김병호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6년형을...
-
조선 말기 용인 출신의 의병. 김재천은 26세의 나이에 이익삼 의병부대에 참여하여 제2차 용인의병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익삼 의병부대는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제2차 의병 운동을 전개한 대표적인 부대로, 30~40명 정도의 규모를 갖추고 있었다. 주요 활동지는 경기도 광주·용인·죽산·양성 등지였으며, 1908년 1월에서 1909년 6월까지 군수금 모집과 교전 활동을 벌이다...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 자는 수보. 아버지는 진사 김구(金龜)이다. 김집은 가난하였지만 부모를 섬기는 일에 성심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을 앓자 변을 맛보아 징험하고 엉킨 머리에서 이가 떠나게 하였다. 어머니가 꿩을 먹고 싶다고 하자 부엌에 들어가 꿩을 잡았고, 아버지가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자 얼음을 깨고 이를 구해 공양했다. 마침내 상을 당하여...
-
용인자연농원이란 이름으로 1976년에 개장한 에버랜드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종합 행락지이다. 우리나라에 있는 놀이동산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로, 2002년 세계 유원지 입장객수 순위에서 6위에 올랐다. 삼성 그룹의 하나인 삼성 에버랜드에서 관리하고 있다. 1996년 에버랜드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영원과 활력을 의미하는 ‘에버(EVER)’와 자연·포...
-
경기도 용인시의 호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말기 승려 나옹화상 혜근의 법어집과 시집.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은 고려 말기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惠勤)[1320~1376]의 글을 제자들이 수집하고 교정하여 총 67장으로 간행한 범어집이며,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은 나옹화상 혜근이 직접 쓴 시를 모은 시집이다. 제자들이 글을 수집하고 교정하...
-
정윤종을 시조로 하고 정윤복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나주정씨의 시조는 고려 중엽의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인 정윤종(丁允宗)이다. 시조 정윤종 이래 제6세 정공일(丁公逸)에 이르기까지는 계속 압해(押海)에서 살았고, 그 후 제7세 정원보(丁元甫) 때에 이르러 검교호군(檢校護軍)이라는 실무가 없는 무관 벼슬을 얻은 것을 계기로 개경으로 올라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조선 말기 효부, 효자 나주정씨의 정려문. 효자 정재위(丁載渭)는 1769년(영조 45)년 11월 17일 정지대(丁志大)의 아들로 출생하였고, 자는 우문(愚文)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또한 자손을 엄격히 훈도하여 사친 지도로써 가통을 세웠다. 부친이 별세하자 3년간 시묘하였고, 조석 곡묘하기를 생전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내 복에 먹고산다고 했다가 쫓겨난 딸 이야기. 「내 복에 먹고산다는 셋째 딸」은 용인시 포곡면 전대리에서 채록되어 2005년에 출간된 『용인시지』에 실려 있다. 동일한 이야기가 1982년에 채록되어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되어 있다. 각 채록본의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실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서 어린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다리세기」는 어린아이들이 두 줄로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엇갈리게 뻗고서 노래에 맞추어 다리를 세어 가는 다리세기놀이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다리세기놀이는 주로 겨울철 방안에서 많이 하는 민속놀이이다. 2002년 4월 29일에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장애 아동 주간 보호 시설. 장애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가족 구성원들이 안심하고 사회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일반인들이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복지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8년 11월 9일 용인시 장애아동주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산업용 전기기기 전문 제조업체. 1977년에 회사를 설립하고, 표준 트립 방식의 완전 전자식(ODP :Oil Dash Pot)인 배선용 차단기(MCCB)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1978년부터는 완전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를 대기업에 독점 공급하였다. 1985년에는 (주)대륙으로 개인기업에서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1986년에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자동차 여과기 제조업체. 오일 필터, 연료 필터, 에어 클리너, 분사기 등 자동차 여과기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이다. 최고 품질의 자동차용 여과기 생산을 통해 경제적인 자동차, 깨끗한 환경,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3년 1월 (주)동우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초대 이춘성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4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소방기자재 및 골판지 박스 전문 제조업체. 1974년 10월 15일 제일소방정공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75년 3월 제조 허가 및 판매 허가를 취득하였다. 1982년 2월 13일 수출입업 허가를 취득하였고, 1989년 9월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금어리 공장을 매입하였다. 1994년 9월 중국 현지 공장 생산설비 시설 완료 및...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의리 있는 부자 이야기. 1978년에 채록되어 1990년에 출간된 『용인군지』에 실려 있다. 옛날 둔전리에 큰 부자가 살았다. 그는 물려받은 재산을 잘 관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들보다 부지런하고 검소하여 인근에서 ‘둔전갑부’ 하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큰 부자였다. 둔전갑부는 인심이 후하고 덕이 있어 주변에 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둔전리는 포곡읍 남쪽 경안천 서쪽에 위치해 있다. 옛날 주둔 병사의 군량을 자급하기 위해서 마련한 둔전(屯田)이 있어서 둔전리라 하였다. 원래 용인군 포곡면 둔전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당곡·두계·토도·유실·신원·마가·둔전 등 18개 동리를 9개 리로 통폐합하여 둔전리라 하였다. 2005년 10...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정광산에서 서남쪽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낮은 산자락의 끝부분에 위치한 구릉지 일대에 분포한다. 무궁화아파트 건너편인 둔전5리에 해당하는데, 현재 과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적지 주변의 군부대까지 적갈색의 고토양층이 넓게 덮여 있다. 유적의 단애에 나타난 층위 단면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하는 예절바른 어린이,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가꾸 는 어린이, 건강하게 생각하는 어린이. 2009년 1월2일 학교설립 인가되고 같은 해 3월 1일 제1대 고재형 교장이 취임하여 16학급, 유치원 2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2011년 3월 1일 제2대 이임현 교장이 취임하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가실과 성밑을 합쳐 한 글자씩 취해 생긴 이름이다. 마성(麻城)을 고유명사로 잘못 알고 서쪽 지역에 있는 할미성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본래 용인현 포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마가리와 성밑을 합치고 포곡면에 소속시켰다. 2005년 포곡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서쪽에 석성산과 할미성이 있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영동고속국도 진·출입로. 1976년 4월 10일 개통되었다. 영동고속국도 인천 기점 47.5㎞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마성영업소에서 관리하며, 입구 차로 3개소, 출구 차로 10개소 등 모두 13개의 차로가 있다. 1일 평균 교통량은 2006년을 기준으로 입구 6,073대, 출구 6,444대 등 총 12,...
-
경기도 용인시의 호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467년(세조 13) 간행된 보조국사 지눌의 『수심결』 역결서(譯決書). 세조(世祖)[1417~1468]의 명에 의해, 보조국사 지눌(知訥)[1158~1210]이 쓴 선(禪) 수행의 필독서인 『수심결(修心訣)』을 비현각(丕顯閣)에서 구결(口訣)하고 신미(信眉)가 번역하여, 1467년(세조 13)에 간경도감에서 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의 말사. 백련사는 통일신라시대 801년(애장왕 2)에 신응선사(愼應禪師)가 암자를 지은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고려 후기 1389년(공양왕 1)에 승려 천공(泉公)이 절을 고쳐 지었다고 한다. 조선 초기 무학대사는 이곳 백련암에 18나한상을 조성하고 절을 중건하였다고 한다. 임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나한을 모신 법당. 나한이란 원래 아라한(阿羅漢)의 준말이며, 부처로부터 아라한이라는 과일을 얻은 불제자들을 이르는 말이다. 또한 소승 교법을 수행하는 가장 윗자리를 가리키는 말로서 대승불교의 부처와 같은 경지이다. 나한도량은 부처의 제자 1,255명의 아라한을 상징하며, 18위를 모실 때 18나한전이라 하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 나한전에 있는 조선시대 나한상. 우리나라에서 나한 신앙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널리 신앙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례로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광통보제사의 정전을 나한 보전이라 하고, 석가모니와 문수, 보현보살의 삼존과 함께 500나한을 봉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보아 나한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에 있는 조선 후기 지불(紙佛)좌상. 동안의 얼굴은 살이 찐 편이고 머리에는 굵고 큼직한 나발을 부착하였으며, 머리의 중앙에는 계주가 있다. 미간에는 큼직한 백호가 돌출되어 있으며,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꼭 다문 입술은 작고 앙증맞으며, 귀는 단정하다. 대의(大衣)는 이중 착의를 하였고 가슴은 방형으로 크게 열려 있다....
-
1999년 중창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의 중심 불전. 백련사는 서기 802년(신라 애장왕 2년)에 신응선사가 창건한 용인 지역의 고찰이다. 대웅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삼지 않고 대적광전에서 주로 모시는 삼신불(三身佛), 즉 청정법신(淸淨法身)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원만보신(圓滿報身)인 노사나불, 천백억화신(千百億化身)인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 나한전에 봉안된 조선 후기 목불좌상. 백련사 나한전에는 목불좌상 1구를 포함해, 지불좌상 1구, 석조나한상 16구 등이 안치되어 있다. 백련사 목불좌상은 높이가 40㎝ 정도 되는 작은 크기의 불상으로, 양손을 단정히 무릎 위에 올려놓고 있다. 얼굴은 동안형(童顔形)이며, 머리에는 낮게 퍼진 반월형의 중앙 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불두. 현재 백련사 석조불좌상과 함께 놓여져 있다. 신체는 파손되어 그 상태를 알 수 없고 불두만이 남아 있다. 불두는 크게 훼손되어 완전한 모습을 찾을 수 없고, 정면과 좌우 측면에는 세밀하게 조각된 나발이 남아 있다. 현고는 12.2㎝, 폭 9.6㎝, 두께 7.4㎝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불. 나발의 머리 위에 낮은 육계가 있는데 마모가 심하고, 이마에는 백호공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상호는 둥글고 풍만하지만 긴장감이 결여된 모습이다. 귀와 코는 파손되었고, 두터운 입술은 약간 벌리고 있는 듯하다. 가슴 위쪽에 삼도(三道)가 형식적으로 음각되어 있는데, 삼도가 이렇게 가슴 부분에 표현된 예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백련사 부지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와 탑비. 백련사 경내에서 100m 정도 떨어진 북쪽 위치에 석종형 부도와 비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부도는 조선시대에 일반적으로 보이는 석종형(石鐘型) 부도로, 탑신부(塔身部)에는 아무런 조식이 없어 소박하다. 사각의 지대석(地臺石) 중심에 원형의 홈을 파고 그 위에 탑신(塔身)을 올려...
-
1791년 백련암의 유래와 경계 지역, 중수 내용을 기록한 문서. 반곽의 크기는 32x22㎝ 정도이며 우철 5정침으로 제본되어 있다. 표지에는 “향수산백련암약사(香秀山白蓮菴略史)”라 기록되어 있으나 ‘향수산’이란 글씨만 희미하게 보일 뿐 나머지 글자는 판독이 어렵다. 면수는 6면이며 장수는 3엽이고 글씨는 행서의 필사본이다. 기록의 서두에는 백련암이 위치한 산명, 암자 명을 쓰고...
-
호암미술관에 있는 조선 전기 백자병. 연질계의 백자에 조선 전기 특유의 상감 기법으로 연당초문이 시문되어 있다. 순백의 기면에 검은색의 자토를 사용해 상감 문양을 새긴 다음 투명한 백자유를 발라 낮은 온도에서 환원 번조하였다. 조선 전기의 양감이 좋은 전형적인 병 형태를 하고 있으며, 어깨에 당초문대를 돌리고 몸통 3곳에 연꽃을 배치했으며 덩굴 무늬로 연결해 놓았다. 높...
-
호암미술관에 있는 조선 전기 백자병. 먼저 액체를 담을 수 있는 병을 만든 다음, 다시 그 위에 장식을 할 수 있는 표면을 덧댄 이중 구조를 한 희귀한 병이다. 몸통에는 대담한 투각 수법으로 모란문을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흑상감법으로 세부를 표현하였으며, 어깨에도 흑상감된 초화문대(草花文帶)를 둘렀다. 기본 형태는 조선 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모래를 받쳐 구웠다....
-
호암미술관에 있는 조선 전기 청화백자 병. 순백의 기면에 암청색의 짙은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몸통 가득 운룡문을 그렸다. 담청색의 백자유를 바닥까지 고르게 시유하고 모래를 받쳐 높은 온도에서 환원 번조한 백자병이다. 작고 아담한 병으로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높이 25㎝, 입지름 5.3㎝, 밑지름 7.7㎝이다. 조선 전기에는 극히 드물게 보이는 운룡문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축 산성. 보개산성은 경안천과 신갈천의 분수령을 이루는 보개산 정상부에 위치한 산성이다. 성내 시설물로는 성문과 건물지 등이 확인된다. 성문은 동문지, 남문지와 암문(暗門)의 성격을 가진 남벽 서측의 문지 등 세 곳이지만 원래는 이보다 더 많은 문 시설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성내에서는 주로 도기편과 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봉불사는 승려 이묘님이 창건한 사찰로 경내에는 금수암지(金水庵址)에서 발견된 석탑재가 보인다. 석탑재 대부분의 부재는 결실되었고, 남아 있는 부재를 모아 자연 암반을 기단 삼아 주위 분위기에 맞게 조합하였다. 현재 조합되어 있는 탑은 폭 69㎝, 높이 30㎝의 옥개석 위에 폭 43㎝, 높이 28㎝의 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청동 향로. 현재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체 높이 81㎝의 대형 청동 향로이다.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좋으며 현재 전하는 향로 와는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1967년경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봉업사(奉業寺) 터에서 고려시대 다른 유물들과 함께 발견되었다. 향로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생긴 이름이다. 『연혁대장』에는 “대략 390여년 전 원수골과 도사리, 승저골에서 나오는 세 갈래 계곡의 냇물이 이곳에서 한데 모여 흐른다.”고 하여 삼계리라고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신빙성은 없다. 본래 용인현 포곡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당곡과 두계리, 상도리(일명 도래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전기 전문 건설업체. 1998년 7월 삼성 에버랜드(주) 리조트 사업부에서 분사한 시설팀과 환경안전팀의 67명 종업원들이 같은 해 8월 (주)삼보엔지니어링 법인을 설립하였다. 1998년 9월부터 삼성 에버랜드(주)에서 캐리비안베이의 시설물 관리·수질 관리·청결 관리 위탁을 받아 운영하였다. 1998년 11월 전기공사업 면허를 취...
-
일제강점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었던 사립 강습소. 선교 활동과 기초 생활에 필요한 지식 습득을 교육목표로 삼았다. 삼성강습소는 압고지 성당에서 전교하던 정레오 신부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지역에 신식 교육 기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22년 현재 포곡중학교 오른쪽에 해당하는 성당 북쪽에 교사를 짓고 경기도로부터 인가를 받아 설립한 사립 초등...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다가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으로 이전한 문화재단. 삼성그룹 창업주인 이병철 회장의 경영 이념에 따라 육영과 문화 복지 사업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65년 2월 이병철 회장의 재단 설립 발표에 이어 같은 해 4월 재단법인 삼성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1976년 5월 공익 법인으로 지정되었으며 1977년 8월 삼성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자동차 전문 박물관. 자동차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조명을 통하여 유익한 배움과 즐거움을 제공하고, 우리나라 자동차 문화의 발달에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8년 5월 삼성화재교통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2006년 1월에 2번가 이야기, 9월에 자동차 체험관, 12월에 철도관 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개관하였으며, 2007년...
-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한글로 편역하여 간행한 책. 『석보상절(釋譜詳節)』은 『석가보(釋迦譜)』, 『법화경(法華經)』, 『지장경(地藏經)』, 『아미타경(阿彌陀經)』, 『약사경(藥師經)』 등에서 석가의 일대기를 뽑아 한글로 엮은 책이다. 간행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釋譜詳節序)」가 세종 29년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 조선시대 절터. 1530년대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선장사에 대해 “선장사재선장산(禪長寺在禪長山)”이라고 기록했다. 17세기 중엽에 발행된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6~17세기에는 사찰로 운영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1799년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대승불교 여래종파의 사찰. 법당 앞에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 기념비가 있고, 요사채 앞 바위에는 암각문이 있다. 두 비의 내용에 따르면 1915년 김문인, 김혜경, 서숙자에 의해 성불사가 창건되었고, 창건 당시 사찰 이름은 봉불사(奉佛寺)였으며, 사격(寺格)은 불입종이었다가 법화종, 여래종으로 바뀌었다. 법당의 크기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1978년 5월 25일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 110-4번지[포곡로118번길 58-5]에서 개척되었으며, 초대목사 구기백이 부임하였다. 2008년 현재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 152-1번지[포곡로107번길 2]로 이전하였다. 시온교회는 매일 새벽기도와 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포곡읍의 북쪽에 위치하며 양돈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새원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새원이를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 신원리(新院里)이다. ‘원(院: 역원)’을 지을 터를 닦고 난 뒤 집을 짓지 않았지만, 사람들이 새원터라고 하여 마을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 있는 전의이씨 묘비에는 ‘사운리(沙雲里)’라고 기록되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선장마을에 있는 서낭당.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 선장마을에는 박석고개 서낭당과 배오개 서낭당이 있는데, 이들 서낭당은 각각 포곡읍과 모현읍의 경계 지점인 박석고개와 배오개고개에 있다. 박석고개는 일명 ‘고밀고개’라고도 하며, 선장마을 사람들이 모현장을 갈 때 주로 이용하던 고갯길이었다. 박석고개 서낭당이 있는 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경안천 본류의 서쪽을 따라 나 있는 지방도 57호선의 에버랜드~매산교 구간의 중간지점인 양지촌마을 동편 구릉에 자리한다. 전방 300m 정도에 경기도 용인시 환경사업소가 있고, 유적 동쪽 200m 지점에 일광CON공업(주)가 자리한다. 1996년 서울대학교 박물관이 용인 지역 전체에 대한 광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선장산 수리봉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신원저수지에 유입되었다가 경안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포곡읍 가실리와 신원리, 모현읍 능원리 경계에 있는 수리봉 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신원저수지를 거쳐서 계속 동류하여 경안천 본류에 유입되는 하천으로 하천 연장은 3㎞, 유로 연장은 4㎞, 유역 면적은 8.9㎢이며, 2급 하천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1956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 200-1번지에서 설립되었으며, 1994년 4월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 230번지로 이전하였다. 신일교회는 매일 새벽예배와 수요일, 일요일 예배가 있으며, 국내 10여 곳의 교회와 국외 10곳의 선교 활동을 후원하고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시호는 양혜(良惠). 증조부는 전리정랑(典理正郞)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심용(沈龍)이고, 할아버지는 좌정승(左政丞) 청성백(靑城伯) 정안공(定安公) 심덕부(沈德符)이며, 아버지는 부윤(府尹) 심징(沈澄)이다. 아들은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심선(沈璿)이다. 세종의 장인인 심온(沈溫)의 조카이며,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사촌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자장(子章), 호는 창주(滄洲). 심탁(沈倬)의 아들이며, 정엽(鄭曄)의 문인이다. 심지한은 1618년(광해군 10) 동학유생(東學儒生)으로 조경기(趙慶起) 등 8인과 함께 폐모론을 주도하는 이위경(李偉卿)·정조(鄭造)·윤인(尹認) 등을 극형에 처하도록 상소하였다. 이 일로 아버지 심탁과 함께 가산이 적몰되고, 문외출송(門外黜...
-
일제강점기 용인에서 활동한 천주교 신부이자 독립운동가. 안학만은 경기도 안성본당에서 세례를 받고 1909년 9월 예수 성심신학교에 입학하여 1917년 사제서품을 받았다. 선산본당과 개성본당 주임신부로 활동하였으며, 1924년 경기도 용인군의 앞고지성당 주임신부로 부임하였다. 안학만은 천주교 신부로서 사목 활동을 하는 가운데 틈틈이 신자들과 지역 유지 및 학생들...
-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설립되었던 성당 압고지성당은 경기도에서 왕림(旺林)[1888년], 미리내[美山里][1896년], 하우현(下牛峴)[1903년], 안성(安城)[1896년]에 이어 5번째로 설립된 본당으로 용인, 광주 일원을 관할하던 성당이다. 용인, 광주 일원의 교우들의 신앙생활과 전교를 위하여 설립 하였다. 1913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금어리에 있는 반도체 핵심 부품 제조업체. 반도체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반도체 기초 재료인 세금선을 제조하는 회사로서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인 암코, 스테츠칩팩코리아,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에 자체 개발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양질의 반도체 부품 생산을 통하여 첨단 산업의 근간인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영문리는 포곡읍의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유림동과 경계를 이룬다. 1914년 영곡(英谷)과 허문(墟門)을 합쳐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이름이다. 본래 용인현 포곡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허문과 영곡·냉천을 합치고 포곡면에 소속시켰다. 2005년 포곡면이 포곡읍으로 승격되었다. 북쪽과 남쪽은 구릉지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1리에 있던 서낭당. ‘영문리 서낭당’은 영문중학교 앞 배머루(배머리)고개에 있었다. 이 고갯길은 김량장이나 용인장을 오고가는 길로서, 마차도 못 다닐 정도의 소로였다. 신목과 돌무더기로 이루어진 형태로서, 신목은 느티나무 고목이며 그 아래 돌무더기가 있었다. 서낭나무에는 색천이 달려 있었다. 영문리 서낭당은 동제의 대상이 아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영문리 선사유적은 모두 세 곳에 분포되어 있어, 각각 영문리 선사유적1과 영문리 선사유적2, 영문리 선사유적3으로 구분한다. 영문리 선사유적1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경안천과 접하는 배머루산에 자리한다. 배머루산의 북서편 건너 구릉지인 참샘봉에 선사유적2가, 시무골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교육목표는 예절 바르고 효도하는 사람, 자율적이고 책임감을 지닌 사람, 창의적이고 스스로 탐구하는 사람, 강인한 체력과 인내력을 지닌 사람을 육성하는 데 있다. 교훈은 ‘바르고 참되고 힘차게’이며, 교육지표는 21세기를 주도할 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영문인 육성이다. 2002년 1월 14일 영문중학교 설립 인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중증장애인 요양 시설. 중증장애인들의 치료 및 훈련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1990년 5월 31일 사회복지법인 천주교인보회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4년 5월 16일 시설 설치를 허가 받아 5월 29일에 개소하였다. 1995년 3월 2일 교육실 제1기생이 입학하였고, 1996년 3월 5일 포곡...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내지봉수(內地烽燧). 석성산 봉수는 동쪽으로 건지산 봉수(직선 거리 15.5㎞), 북쪽으로 천천산 봉수(18.75㎞)와 교신하였다. 석성산 봉수는 석축으로 규모는 둘레 65.7m, 높이 5m 가량이다. 상부는 평탄한 대지를 이룬다. 봉수대의 동쪽으로는 높이 2.5m 가량의 암반과 암반 사이에 크기...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 예절을 지키며 더불어 사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며 능력 있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둔전리 주변에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기업체가 입주하여 인구가 증가하자 2004년 3월 1일 3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5년 2월 17...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할미산에 있는 신라시대 석축 산성. 할미산성은 성 내부를 남북으로 양분하는 길이 180m의 공유 벽을 기준으로 북쪽의 내성, 남쪽의 외성으로 구분된다. 북쪽의 내성은 정상부를 포함한 높은 지대에 축조되었고, 남쪽의 외성은 비교적 낮은 지대에 조성되었는데, 형태상 사모형(紗帽形)이다. 성벽의 전체 둘레는 651m로, 할미산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이름은 유실리와 소운리를 병합하여 유실리에서 ‘유’자와 소운리에서 ‘운’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용인군 포곡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유실과 소운을 합쳐 유운리라 하여 소운[송골·유운1리]과 유실[유운2리]로 구성되어 있다. 1996년 3월 1일 도농복합으로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 2...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군. 지방도 321호선을 따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서 포곡읍 쪽으로 가다가 삼성교통박물관을 지나면 소운마을이 나타난다. 소운마을의 구판장에서 마을 안쪽으로 있는 작은 길을 따라 200m쯤 가면 길이 굽어지는 지점에 고인돌이 있다. 유적이 자리한 곳은 해발 70m쯤 되는 하천 옆의 평지로, 주...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선돌군. 유운리 입석군의 건립 동기에 대하여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첫째, 임진왜란 때 충주 탄금대에서 신립 장군과 함께 왜군과 싸워 평양 수복에 큰 공을 세운 이일 장군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이곳에서 태어난 이일 장군은 어려서부터 힘이 장사였는데,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양쪽 겨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있는 에버랜드의 주차장 북동편인 유운리 소운마을에 자리한다. 주변 북쪽으로 100m 거리에 ‘유운리 지석묘군’이 위치한다. 유적 동편으로는 경안천이 북류(北流)하고, 경안천과의 사이에 강안 충적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서편으로는 해발 236m의 시루봉에서 흘러내...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무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성원(聖源). 할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이고, 아버지는 이숭의(李崇義)이다. 1644년(인조22) 무과에 급제하여 경상좌수사(慶尙左水使)에 이르렀다. 경상좌수사로 있을 때 할아버지 이일의 전공을 묘사한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 등을 그려 문중의 여러 파(派)에 배포하였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전통 가옥. 이광윤 가옥의 건축물대장에는 1910년에 지어졌다고 되어 있으나, 상량문에 ‘을축년(乙丑年)’이라고 쓰여 있고, 구한말 때 집 앞에서 촬영한 사진이 전해 내려오는 것을 보면 1885년경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광윤 가옥은 ‘ㄱ’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 곳간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증조부는 판서를 지낸 이광시(李光時)이고, 할아버지는 홍복도감판관(弘福都監判官)을 지낸 이중인(李中仁)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를 지낸 이사위(李士渭)이고, 어머니는 지군사(知郡事) 임세정(任世正)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대호군(大護軍) 윤보(尹寶)의 딸이었고, 사별한 뒤 판관(判官) 권경(權敬)의 딸을 둘째 부인으로 맞았다. 아들은 증이조참...
-
조선 중기 용인 출신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경제(景制)이며, 호는 망은(忘隱). 1575년 청백리에 녹선된 이백지(李伯持)의 아들로 태어났다. 1606년에 진사가 되었고, 덕산현감과 종묘서령(宗廟署令)을 지냈고, 초서와 예서에 능했다. 서법에 대한 책을 간행한 것이 있다고 전하지만 제목은 알 수 없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 뒤편에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이애(李薆)[1363~1414]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1396년 태조의 8남 5녀 중 맏딸인 경신공주(慶愼公主)[?~1426]와 혼인하여 상당군(上黨君)과 상당후(上黨候)가 되었다. 본관은 청주(淸州). 아명은 백경(伯卿). 초명은 이저(李佇). 아버지는 청허자(淸虛子) 이거이(李居易)이며, 청평부원군에 봉하여졌다가 공신 명...
-
조선 중기 전의이씨 용인 입향조. 이언념은 현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일대에 거주하는 전의이씨의 입향조이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정이(靜而), 자호는 백석산인(白石散人)이다. 이언념은 선교랑(宣敎郞)의 벼슬을 지냈다. 1617년(광해군 10)에 충정공(忠貞公) 홍무적(洪茂績)과 더불어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廢母)에 항의하는 상소를 올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서 이완 대장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완(李浣)[1602~1674]은 효종의 북벌정책을 보필하며 국방 체계와 군비, 병력 정비에 기여하였던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한성부판윤과 공조판서, 형조판서, 수어사를 거쳐 우의정을 지냈다. 무신으로서 현달하였고, 야심찬 북벌정책을 추진했다는 특이한 성격으로 인하여 야사와 설...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호원(浩源), 호는 포곡(蒲谷). 아버지는 이숭의(李崇義)이다. 이용(李涌)은 조선 중기 선조 대부터 현종 대까지 활약한 무신이다.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 인조대왕을 공주까지 호종(扈從)하였다. 그 공훈으로 의금부도사를 제수받았으며, 원종1등공신 영국공(寧國公)에 녹선되었다. 또한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인봉은 3·1운동 당시 김량공립보통학교에 재학하던 학생이었다. 1919년 3월 28일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의 만세 시위는 모현 방면에서 용인 읍내 쪽으로 시위가 전개되었다. 태극기를 릴레이식으로 전달해가는 시위대가 삼계리를 거쳐 금어리에 도착하자, 이인봉은 홍종욱(洪鐘煜)·홍종엽(洪鐘燁) 형제와 함께 태극기를 받들어 들고 내사면 대대...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화가.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원강(元綱), 호는 소당(小塘). 『용인이씨세보』에 의하면 이재관(李在寬)[1783~1837]은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유재건(劉在建)의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에는 문인화풍의 화가인 이유신(李維新)의 조카라고 되어 있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집이 가난하여 그림을 팔아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그...
-
조선 중기의 처사.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택경(擇卿), 호는 운계(雲溪). 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의 벼슬을 지낸 이언념(李言恬)이다. 이정선은 광해군 시대의 어두운 세상을 당하여 벼슬에 나가지 않고 스스로 고요하게 지냈다. 병자년의 호란을 당하여 절의(節義)를 다할 때는 관(冠)을 쓰지 않고 머리를 빗지 않았으며 북향(北向)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산림에 은거하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었던 산업체 고등학교. 부지런히 일하며 열심히 공부하고 알뜰하게 저축하자를 교육목표로 하였다. 1975년부터 시작되었던 (주)경방의 종업원 대상 사내 교양 교육을 모태로 1980년 3월 13일 경방용인부설여자중학교(9학급 540명)가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28일에 개교하였다. 1983년 2월 23일 경방용인여자실업고등학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인보성체수도회 설립자 윤을수 신부의 창립 이념인 인보 정신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인보마을은 고령으로 인한 만성 퇴행성 질환 등으로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에게 일상생활 보조와 간호 및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여 노년기를 영적, 인격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도전의 시기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1998년 11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에 생긴 이름으로 전대리는 전곶(前串)과 신대(新垈)를 합쳐, 한 글자씩 따서 생긴 지명이다. 전곶은 우리말로 앞고지를 뜻하고 신대는 새말, 또는 새터말을 가리키는 마을의 명칭이다. 곶은 바다나 평야에서 앞으로 길게 돌출된 작은 반도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앞으로 튀어나왔다고 하여 ‘앞+곳’인데 뒷말이 연철되어 고지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곽묘. 전대리 고분은 포곡읍 전대리의 구릉지 남사면 자락에 위치한다. 에버랜드 대형버스 주차장에서 영동고속도로 방향으로 넘어가는 고갯마루 못 미쳐 전관마을로 진입하는 콘크리트 소로를 따라 내려가면, 진입로에서 250m 가량 떨어진 지점의 소로 좌측(북쪽)에 접한 구릉 자락에 있다. 명지대학교 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산포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의 에버랜드 대형버스 주차장에서 영동고속도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가다가 첫 고개에 이르기 바로 앞에서 전대리 전관마을로 빠지는 콘크리트 도로로 들어서면 속칭 ‘앞고지’ 부근에 해발 123m 구릉이 나타난다. 유적은 동서향으로 길게 뻗은 이 구릉에 위치한다. 구릉 말단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소속 교회. 전대중앙교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교파 소속 교회이다. 경기도 용인시 지역에 복음을 전하고 기독교 정신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5년 12월 10일 전경숙 전도사가 개척교회 설립 계획을 세운 뒤 1956년 1월 10일 첫...
-
이도를 시조로 하고 이언념을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전의(全義)는 충청남도 연기군에 있는 지명이다.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인 이도(李棹)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이도는 본래 공주에 세거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을 도운 공으로 도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통합삼한개국익찬 2등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벼슬이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에...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규복은 1919년 3·1운동 당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그는 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인근의 경기도 용인군 원삼면에서도 큰 시위가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하고, 자신의 고향에서 대대적인 시위를 계획하였다. 3월 28일 아침부터 주민 수백 명을 이끌고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과 수여면을 돌면서 만세 시위를 주도하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정선현(丁善顯)은 효성이 지극하여, 1871년(고종 8)에 효자로 정려(旌閭)를 받았다. 효자 정문이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세워졌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 병조판서 정옥형(丁玉亨)의 손자이고, 좌찬성 정응두(丁應斗)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군수 송충세(宋忠世)의 딸이다. 1567년(명종 22)에 사마시에 급제하고, 그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이어 예조좌랑·수찬·집의·우승지·대사성·부제학·도승지·병조판서·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난이 일어나자 정여립과...
-
조선 후기 용인 출신의 효자. 자는 경모(敬模). 아버지는 정재위(丁載渭)이고, 부인은 해주오씨(海州吳氏)이다. 효자였던 아버지의 정신을 이어받은 정의현(丁義顯)[1794~?]은 아버지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정성스레 모셨고, 상을 당한 뒤에는 시묘살이를 하였으며, 탈상 후에도 성묘를 거르지 않았다. 정의현은 홍수가 나 성묘하기 어렵게 되자 큰나무로 개울을 막아 물을 얕게 만든 뒤에...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優), 호는 동원(東園). 증조부는 정옥형(丁玉亨)이며, 조부는 정응두(丁應斗), 외조부(外祖父)는 한경상(韓景祥)이다. 아버지는 대사헌 정윤복(丁胤福)이다. 1601년(선조 34)에 진사(進士)가 되고, 같은 해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지평(持平)·정언(正言)·수찬(修撰)·응교(應敎) 등을 역임하였다. 1...
-
조선 중기의 문신. 조변(趙汴)[1500~1582]은 조선 중기 연산군 대부터 선조 대까지 활약한 문신이다. 본래 학식은 그리 넉넉하지 않았으나 천성이 매우 명석하였다. 소년시절부터 안처겸(安處謙)과 서로 사이좋게 지내다가 뒤에 그와 동서 사이가 되었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호연(浩然), 호는 금재(琴齋). 학자이며 대사헌을 지낸 조광조(趙光祖)가 족숙(族叔)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경민(景敏). 아버지는 조수린(趙壽麟)이며 조인은 여섯째 아들이다. 부인은 영덕정씨(盈德鄭氏)이다. 조인(趙訒)[1555~1631]은 조선 중기 명종 대부터 인조 대까지 활약하였다. 어려서부터 용모와 태도가 크고 위엄이 있어 여러 사람들의 기대를 받으며 자랐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벼슬하지 않은 일반인으로 의주까지 임금을 모...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복지 시설을 운영하는 수녀회. 사회복지법인 인보성체수도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녀회로 노인복지시설(요양시설)과 유치원, 수련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 노후에 자녀들의 부양을 받기 어려운 노인들과 자립 생활을 할 수 없는 노인들에게 일상생활의 보조와 간호, 재활치료 등을 제공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게 할 목적으로...
-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청자. 회색의 기면에 백토와 자토를 상감하여 모란문을 시문한 다음 청자유를 얇게 시유하고 환원 번조하였다. 원형에 가까운 몸통에 주구와 손잡이가 달려 있고, 투구 모양의 뚜껑을 갖추고 있다. 몸통 위로 솟은 입 주변에는 양각의 연판문을 돌렸으며 뚜껑에는 작은 연봉형 꼭지와 작은 고리가 달려 있다. 전체 높이 19.2㎝, 입지름 3.4㎝, 밑지...
-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청자 화분. 화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밑바닥에 6㎝ 가량의 구멍을 뚫어놓았다. 회색의 기면 위에 백토와 자토를 사용한 상감운학문과 음각의 연판문을 시문한 다음, 청자유를 씌우고 환원 번조하였다. 몸통을 크게 이등분하여 위에는 세 군데로 돌아가며 단독으로 구성된 구름과 학을 교대로 배치하고, 아래에는 굵고 가는 음각선으로 연판문대를 베풀었다....
-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청자 향로. 중국 고대의 의례에 사용된 동기(銅器)를 모방한 장방형의 청자 향로로 몸체 윗면 두 곳에 손잡이가 달려 있고 몸통 네 귀퉁이에 두 마리씩의 매미가 달려 있다. 회색의 기면 위에 얕은 양인각 수법으로 매우 정교하게 꽃 무늬, 번개 무늬, 회오리 무늬 등과 함께 도철문을 장식한 다음, 비색유를 씌우고 환원 번조하였다. 높이...
-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청자 대접. 키가 낮고 기벽이 사선에 가까운 대접 안에는 양인각(陽印刻) 기법으로 연당초문을 얕게 시문하고, 바깥에는 흑백 상감법으로 학과 구름을 장식한 다음 담록색의 청자유를 씌우고 환원 번조하였다. 높이 5.1㎝, 입지름 16.3㎝, 밑지름 4.4㎝이다. 양각된 연당초문을 음각선으로 다시 정교하게 표현한 점이 특징적이다. 청자 대접 안쪽의...
-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음각연당초문과 상감국화절지문이 시문된 청자 대접. 기벽이 사선형인 옴폭한 모양의 대접으로, 안에는 가늘고 예리한 음각선으로 연당초문을 꽉 차게 새겼고, 바깥에는 다른 장식 없이 네 곳에 독립된 국화절지문을 도장 찍듯이 또렷하게 상감해 놓았다. 청자유를 고르게 씌우고 환원 번조하였다. 높이 6.9㎝, 입지름 16.6㎝, 밑지름 4.0㎝이다. 음...
-
경기도 용인시의 호암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려 전기 간행된 불교 경전.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은 줄여서 『대반야경』, 『반야경』이라고도 부르기도 하는데, 존재물 자체에는 실체가 없으므로 집착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는 공(空)사상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반야심경』이라 부르며, 종파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읽고 외우는 경...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유운리에 있는 산.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학사, 사헌부 지평, 공조정랑 등을 지낸 금산(琴山) 김구(金龜)가 말년에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과 더불어 이곳에 은거하면서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길렀다는데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전한다. 현재 에버랜드 롤러코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을 예전에는 한림대(翰林臺)라 하였고, 그 뒤의 산...
-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둔전리에 위치한 공립고등학교. 교훈운 진리와 창조이며 교육비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시민 육성이다. 교육목표는 겸손하고 예의와 질서를 존중하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도덕인), 능독적으로 탐구하고 창조하는 생활태도를 가진 사람(창조인), 열심히 배우고 스스로 탐구하는 사람(실력인), 튼튼한 몸과 건전한 정신을 지닌사람(건강인), 서로돕고 봉사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278번지에 있는 시립 공공도서관. 용인시에서는 1993년 5월 도서관 관리운영조례가 공포되어 용인중앙도서관이 설립되었다. 처인구 포곡읍 지역에서도 시민의 평생 교육과 정서 함양을 위한 도서관 건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6년 11월 포곡도서관을 개관하였다. 평생 학습, 시민 사회 교육 및 시민의 정서 함양을 위한 독서 생...
-
1919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구 포곡면)에서 일어난 3·1운동. 1910년대 용인 지역 농민들은 일제의 강압적인 무단 통치와 열악한 사회 경제적 상황에 처해 있었다. 포곡면 시위운동은 이러한 농민들의 불만과 저항 의식이 독립선언을 계기로 폭발한 것이다. 3월 28일 모현면[현 모현읍] 초부리의 시위가 포곡면으로까지 확산되었다. 이에 삼계리의 권종묵은 주민 200여 명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명당 이야기. 용인 지역은 예부터 명당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여, 여러 지역에서 명당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전한다. 「포곡면 신원리의 명당자리」도 그 중의 하나이다. 신원리에는 용인이씨가 많이 살고 있는데, 「포곡면 신원리의 명당자리」는 이씨 문중과 관련되어 있다. 1980년 5월 3일에 포곡면 신원리에 사는...
-
2004년 용인문화원에서 간행한 포곡면의 실상과 문물을 정리한 향토지. 포곡면은 용인시 29개 읍면동 중의 하나로서 향의 치소가 있던 곳이라고도 한다. 2005년 10월 30일에 읍으로 승격되었고 9개의 법정리에 18개의 행정리를 통할하고 있다. 특히 인문 관광 시설인 에버랜드의 전신 용인자연농원이 들어서면서부터 관광지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곳은 모현읍과 더불어 날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우편 및 금융 기관. 포곡우체국은 1966년 12월 30일 용인우체국 포곡분국으로 개국하였고 1970년 1월 일반우체국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로 우편물의 접수, 운송, 배달과 같은 우정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예금이나 보험 등의 금융 업무도 취급하고 있다. 우편 업무로는 국내 우편, 국제 우편, 우체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속하는 행정읍. 이 지역을 지나는 경안천의 주변에는 창포가 많이 자생하고 있어 창포의 고장이라 하여 불러지게 되면서 비롯되었다. 본래 용인군 지역인데, 경안천(도 산천)이 면의 한 가운데를 뚫고 흐르므로 포곡면이라 하여 당곡·두계·토도·유실 등 18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수여면의 금전·어매 2개 리를 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포곡읍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1읍 4동 6면 중 포곡읍 주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최 일선에서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포곡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원래 18개 동·리로 이루어졌던 기존의 포곡면이 1...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에 있는 주민의 문화 복지를 위한 편익 시설. 포곡읍사무소의 여유 공간을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로 꾸며 주민 공동의 문제를 함께 의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함으로써 주민 자치를 실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켜 나가는 주민 자치 활동의 구심체이다. 주민들을 위한 열린 공간으로 다양한 문화 교육과 자치 의식 함양을 위...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1960년 12월 최경옥, 빈병옥 등이 전대리에서 초교파적인 교회를 설립하였고, 일 년 후 김장환 목사가 교역자로 부임하여 시무하였다. 개척 당시 교회 이름은 포곡교회였으나, 1995년 포곡제일교회로 교회 이름을 변경하였다. 해외에서 여러 교회와 합동으로 15곳에서의 선교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민주인을 기르고,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미래를 이끌어갈 실력인을 기르며,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하는 창조인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키워 신뢰사회에 봉사하는 실천인을 기르며, 건강한 정신과 체력이 조화된 건강인을 기르는 것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게, 착하게, 슬기롭게’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꾸준히 꿈을 가꾸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조화롭게 생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자율·봉사’이다. 1933년 7월 12일에 4년제 포곡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같은 해 9월 1일 개교하였다. 1938년 4월 1일 포곡공립심상소학교로 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면 가실리에 있는 사립 미술관.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고 이병철이 수집한 한국 미술품 1,200여 점을 삼성문화재단에 기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1982년 4월에 문화 보국과 민족 문화 창달에 이바지한다는 취지 하에서 개관하였다. 1997년에 전통 정원인 희원(熙園)을 개원하였으며, 2004년에는 서울에 삼성미술관 리움을 개관하면서 새로...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종엽은 1919년 3월 28일 권종목(權鍾穆) 등과 주동이 되어 동리 사람 200여 명과 함께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삼계리(三溪里)를 거쳐 만세 시위 행진을 벌였다. 이 때 형 홍종욱과 함께 권종목으로부터 태극기를 전달 받아 시위 대열의 선두에 서서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부르며 김량장리(金良場里)까지 행진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 경...
-
일제강점기 용인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종욱은 1919년 3월 28일 권종목(權鍾穆) 등과 주동이 되어 동리 사람 200여 명과 함께 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삼계리(三溪里)를 거쳐 만세 시위 행진을 벌였다. 이 때 동생 홍종엽과 함께 권종목으로부터 태극기를 전해 받아 시위 대열의 선두에 서서 태극기를 들고 독립 만세를 외쳤다. 김량장리(金良場里)까지 시위 행진을 전개하다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두꺼비 이야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둔전리에 사는 유순봉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2006년에 출간한 『용인시사』4에 수록하였다. 「효성을 다한 두꺼비」를 구연한 유순봉은 1920년부터 둔전리에서 살았다고 한다. 옛날 한 백여 가구가 사는 마을에 김판사와 이진사가 살았다. 살림이 곤란하고 가난한 김판사는...
-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전대리에 있었던 중학교 과정의 실업기술학교. 1인 1기술 습득과 지역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였다. 1969년 9월 1일 천주교 수원교구 김효신 신부에 의해 전대리 천주교 공소 자리에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학생 수는 97명이었다. 1970년 4월 마을 유지로부터 전대리 임야 1,686평과 오지리(오스트리아) 부녀회로부터 1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야기. 1983년 1월 15일에 포곡읍 삼계리에 사는 김덕일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하였다. 예부터 전하는 말에 부잣집에서는 효자가 나지 않는다고 했는데, 예나 지금이나 어려운 집에서 효자가 나야 그게 진정한 효자이다. 광에다 쌀을 많이 쌓아 두고, 금고에 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삼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야기. 1983년 1월 15일에 포곡읍 삼계리에 사는 김덕일이 구연한 것을 채록하여, 1984년에 출간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 수록하였다. 제보자는 「효자와 연시」를 『명심보감(明心寶鑑)』에서 읽은 설화라고 하였는데, 여기에는 효자의 성이 도씨(都氏)로 되어 있다. 옛날 어느 마을에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