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송전리에 있는 강석호의 선정을 기리는 비. 기념비는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비문은 뚜렷하여 대부분 판독이 가능하다. 비의 크기는 비좌 높이 30㎝, 너비 85㎝, 두께 62㎝이고, 비신의 높이 는 130㎝, 너비 41㎝, 두께 20㎝이며, 옥개석은 높이 34㎝, 너비 76㎝이다. 비신 앞면에 종1열의 대자(大字)로 “...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제일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정옥형과 아들 정응두의 신도비. 정옥형은 1513년(중종 8)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검열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거쳤다. 대사간, 대사헌으로 있을 때에는 나라의 기강을 바로 잡는 데 힘썼으며, 당시 김안로의 권세가 높아지자 조정을 떠나 외지를 돌며 민심을 두루 살피기도 하였다. 1544년(중종 39)...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에 있는 곽원진의 신도비. 1926년 8월에 곽원진의 후손들에 의해 비가 세워졌다. 비문은 후손 곽찬(郭璨)이 찬(撰)하고 후손인 곽영민(郭泳敏)이 전(篆)하고 후학 이의국(李義國)이 서(書)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을 지나는 국도 17호선의 원터마을 못 미쳐 오른쪽으로 난 도로를 따라 1.5㎞ 가량 직진하면 청계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천리에 있는 조선시대 표시석. ‘금양(禁養)’이란 ‘풀과 나무를 베지 못하게 하여 숲과 나무를 기르는 일’을 의미하므로 금양계(禁養界) 표석은 땔감 채취 등을 금지하는 구역임을 알리기 위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뒷면에는 구역의 범위도 명기되어 있다. 머리 부분이 둥글게 처리된 원수형(圓首形) 비석으로 장방형 대리석제 받침에 세워져 있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 있는 기흥읍 승격 7주년 기념비. 기흥읍 기록비는 일종의 연혁 비이다. 1914년에 기곡면과 구흥면을 통합하여 기흥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1985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11772호에 따라 기흥면은 기흥읍으로 승격되었다. 기흥읍으로 승격된 지 7주년을 맞이하는 1992년에 당시의 읍세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건립하였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리에 있는 김덕붕의 선정비. 1571년(선조 4) 양지현감에 부임하여 1576년(선조 9)까지 재임한 김덕붕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용인시 양지면 남곡리의 용동중학교 정문 못 미쳐 동아일레콤 담장에 남향(南向)으로 서 있다. 비신과 이수가 일석(一石)으로, 비좌는 임시로 마련하여 비신을 고정하고 있다. 비의 크기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유방동에 있는 김동현의 효자비.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을 갖추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늙은 아버지를 지키기 위해 고향에 남는 등 효행이 지극했던 용인 출신 효자 김동현(金東鉉)의 효자비이다. 유방동(柳防洞) 버드실에 있다. 1950년 대에 건립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좌(碑座)와 월두형(月頭形)의 비신(碑身)으로 조성되어 있다. 비신 앞면에는 “효자유학...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김사철의 효자비. 옛 용인현 관아가 있었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지방도 393호선 변의 선정비군 내에 남향(南向)으로 서 있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을 갖추었다.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59㎝로, 비좌 높이 40㎝, 너비 71.5㎝, 두께 45㎝이고, 비신 높이는 119㎝, 너비 상 43.5㎝,...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 있는 조선시대 김상술의 효자비. 김상술의 노모에 대한 지극한 효성을 온 마을 사람들이 본받게 하고자 세워진 비이다. 양지면 대대리 마을 입구 도로변에 다른 비들과 함께 세워져 있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을 갖추고 있는 효자비이다. 비신 앞면에 “효자김상술지비(孝子金相述之碑)”라 새겨져 있다. 원래의 비는 도로 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제일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상익의 효자비. 양지면 제일리 마을 입구 도로변 오른쪽에 남서향(南西向)으로 세워져 있다. 김상익의 부친에 대한 지극한 효행과 언행을 마을 사람들이 사표로 삼을 수 있도록 마을 입구에 세워졌다. 시멘트 기단 위에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비신은 백색 대리석제에 황색 운모가 혼입되어...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김세필 묘역 안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김억의 선정비. 김억이 음죽현감 재직 때 선정을 베푼 것을 기념하여 세워졌다.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도장골 경주김씨 선영 내 김억 묘의 오른쪽에 세워져 있다. 비신 앞면에는 “현감김공억청백선정비(縣監金公嶷淸白善政碑)”라고 되어 있고, 왼쪽 끝에 “천계오년삼월 일립(天啓五年三月 日立)...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에 있는 병자호란 때 의병장 김원립의 기념비. 경주김씨 계림군 김균(金稛)의 9세손이었던 갈천 김원립은 1590년(선조 23)에 증 참판 김성진의 아들로 출생하여 1613년(광해군 5)에 등과하였고, 대과를 거쳐 능주목사가 되었다. 김원립은 능주목사로 있을 때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다. 1649년 9월 7일, 김원립이...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이중의 선정비. 1782년(정조 6) 용인에 부임하여 1783년(정조 7)까지 재임한 김이중의 선정을 기념하여 건립되었다. 옛 용인현 관아가 소재하였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현재의 지방도 393호선 도로변에 인접하여 다른 비석들과 함께 남향으로 서 있다.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옥개석 형...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 갈곡에 있는 일제강점기 김혁의 독립운동을 기리는 비. 김혁(金爀)[1875~1936]의 본명은 학소(學韶), 호는 오석(吾石)이고 경주김씨 갈천공파, 김원립의 11세손이다. 1875년 10월 6일,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에서 출생, 육군정위로 경성시위대 보병으로 근무하다가 군대의 해산으로 낙향하였다. 1919년 3월, 용인 신갈지역...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말기 개화파 김홍집의 불망비. 김홍집이 관찰사로 재임하는 동안 선정을 베풀어 이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옛 용인현 관아가 소재하였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현재의 지방도 393호선 변에 인접하여 다른 비석들과 함께 남향으로 서 있다. 비신은 월두형이다.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76㎝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남계술의 선정비. 1902년(고종 39) 3월 8일 양지군수로 부임하여 1903년(고종 40) 2월 4일까지 재임한 남계술의 선정을 기념하여 재임 기간 중인 1902년에 건립되었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을 갖추고 있다.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43㎝로, 비좌 높이는 23㎝, 너비 64㎝, 두께 46㎝이고, 비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조선시대에 정몽주 묘소 앞에 세워진 하마비. 정몽주에 대한 경의를 표시하기 위해 묘역 앞에서는 말에서 내려 걸어가라는 비문을 새겨놓았다. 용인시 모현읍 죽전리에서 능원리 간 국도 43호선 오른쪽, 정몽주 묘역 입구로 들어가면 영모교와 인접하여 서북향(西北向)으로 서 있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선정비군. 송덕비군이 있는 마북동 일대는 용인현의 치소가 있었던 곳이다. 과거 읍치였던 곳에는 행정의 중심인 관아가 있고, 관아를 중심으로 수령의 선정을 기리기 위한 비석이 군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마북동 송덕비군 역시 이런 일반적인 경우이다. 총 14기로 현령 등의 선정 송덕비 10기, 군수 선정비 1기, 효자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말기 문신 민영준의 불망비. 민영준이 선혜청 당상관 재임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어 용인현의 백성들에 의해 비가 건립되었다. 옛 용인현 관아가 소재하였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현재의 지방도 393호선변에 인접하여 다른 비석들과 함께 남향으로 서 있다. 비좌와 비신의 상부에 있었을 개석은 망실한...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말기 문신 민영환의 신도비. 민영환의 사후 54년이 지난 1959년 그의 우국 충정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기흥구 마북동 구성초등학교 뒤편 산기슭의 민영환 묘소 아래에 세워져 있다. 구성초등학교 옆으로 작은 길이 나 있고 도로 입구에 안내판이 세워져 있어 위치 확인이 용이하다. 신도비는 비좌와 비신 및 팔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밀양박씨의 효부비. 처인구 김양장동과 유방동 간 국도 45호선변의 왼쪽에 동남향(東南向)으로 서 있다. 비좌와 월두형 비신의 형태를 띠고 있다. 비신의 앞면 중앙에 종 1열의 대자(大字)로 “효부차성태부인밀양박씨지비(孝婦車聖泰夫人密陽朴氏之碑)”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또한 비신 앞면 오른쪽에 “기여효부 선양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박관준의 순교를 기리는 비. 박관준 순교추모비는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에서 기독교 전파를 위해 목숨을 바친 선인들을 흠모하며, 신앙의 유산을 후손들에게 길이 전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추계리 산84-1[추계로 235]에 있는 한국기독교순교자기념관에 세워져 있다. 와비로 비...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박용민의 선정비. 1867년(고종 4) 용인현령으로 부임하여 1869년(고종 6) 9월 친상(親喪)으로 사임한 박용민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옛 용인현 관아가 있었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현재의 지방도 393호선변에 인접하여, 다른 비석들과 함께 남향(南向)으로 서 있다. 비좌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에 있는 조선 말기 문신 박응종의 선정비. 1883년(고종 20) 용인현령으로 부임하여 1885년(고종 22)까지 재임한 박응종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옛 용인현 관아가 소재하였던 치소의 관문이자 수도 한양으로 통하던 삼남대로변인 현재의 지방도 393호선변에 인접하여 다른 비석들과 함께 남향으로 서 있다.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박창근의 선정비. 1873년(고종 10) 윤6월 양지현감으로 부임하여 1875년(고종 12) 7월 진위현감으로 전출한 박창근의 선정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용인시 양지면 양지리 양지면사무소 안의 주차장에 청사를 바라보고 좌측에 동향으로 총 7기의 비가 있는데, 그중 여섯 번째 비이다. 비좌와 월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마을의 정황과 유래를 기록한 비. 신봉리 유래비는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기 이전인 1993년 11월 20일에 신봉리 마을회관 건립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워졌다. 신봉리 유래비의 설립추진위원장은 이 마을의 이장과 새마을 지도자 등을 지낸 마을의 유지 유병돈이었다. 비의 상단에 ‘마을의 유래비’라고 새겨져 있다. 비문의 찬자는...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신택균의 공적을 기리는 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에서 유방동 간 국도 변의 통행이 빈번한 곳에 특별한 보호시설이 없이 위치하고 있다. 신택균이 재물을 내어 면민에게 덕을 베푼 선행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비좌와 비신은 월두형이다. 비좌 높이는 12㎝, 너비는 50㎝, 두께는 73㎝이다. 비신 높이는...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심곡서원 앞에 세워진 조선 후기 하마비. 용인시 상현동의 심곡서원(深谷書院)에 배향된 선열(先烈)에 대한 경의의 표시로 말에서 내려 걸어가라는 비문을 새겨 서원 입구에 세워지게 되었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석 형태로, 비좌는 근래에 새로 마련된 것이다. 크기는 비신 높이 129㎝, 너비는 위쪽 76㎝, 아래쪽 73㎝, 두께 18㎝이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에 있는 양지현감·군수 7인의 송덕비군. 양지면사무소 안에 있는 7기의 송덕비는 원래 양지관아 입구 대로변에 세워져 있었다. 이후 도로 확장 공사 등으로 방치되었던 것을 1997년 양지면에서 예산을 확보하여 청사 내로 이전하게 되었다. 송덕비군은 형태상 7기의 비 모두 비좌에 비신 월두형이다. 각각의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2...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일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부 강화최씨의 묘소 입구에 세워진 표석. 모현읍 일산리의 광산김씨 묘역 입구 도로 경계석 위에 남서향(南西向)으로 강화최씨 순절정려비와 함께 나란히 서 있다. 이선양(李善養)의 처로서, 남편이 병으로 위독하여 수혈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죽자 장례식 날 남편이 사용하던 허리끈으로 목을 매어 순절한 강화최씨의...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오성선을 기리는 비. 구한말부터 농촌 경제 부흥 운동을 시작하여 농촌 발전을 위한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던 오성선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1930년 5월에 기흥면민들이 건립하였다. 오성선 기념비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에 있는 공원 안에 세워져 있다. 비좌와 비신 및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비좌와 비신은 근래에...
-
1919년 3월 21일 처인구 원삼면 좌전고개에서 시작된 3.1만세운동을 기념하여 세운 기념탑. 1919년 3월 21일 약 1,000명이 참가하여 일어나 원삼면의 3·1만세운동의 독립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의 요청으로 용인시가 전액 부담하여 2011년 4월에 완공되어 건립한 철조 기념탑이다. 2005년 3월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가 학술행사를 통해 용인좌전고개3.1...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탑비. 서봉사 현오국사탑비는 용인의 불교문화 유적으로, 서봉사의 사지(寺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편이 발견되어 고려시대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봉사는 1185년(명종 15) 현오국사(玄悟國師) 종린(宗璘)의 비(碑)가 세워지면서 유명해졌다고 한다. 서봉사 현오국사탑비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자은교마을에 있는 용인이씨 시조 이길권의 발상지비(發祥址碑). 이길권은 신라시대인 904년(효공왕 8)에 용인에서 태어나 여러 관직을 거쳤고 말년에는 고향에 낙향하여 105세의 수를 누리다 용인에 묻혔다. 이길권의 묘는 자은교촌(慈恩橋村)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실전되었다. 이길권은 고려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이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 용인향교에 있는 하마비. 하마비란 궁궐, 사묘, 능원, 서원, 향교 등과 같이 행동거지를 정숙하고 단정하게 해야 할 경역 입구에 세워 놓았던 비이다. 원래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언남동에 있는 향교 입구에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는 향교 관리사 경내로 옮겨 놓았다. 용인향교 하마비는 용인향교 입구에 세워 누구든지 향교 앞을 지날 때에는 말에서 내려...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원복의 효행비. 이원복은 부친이 노쇠하여 보행이 어려워지자 늘 업고 다녔으며, 부친 사후 3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곡묘하였고, 이 기간 중에 술과 고기를 먹지 않았다. 이와 같은 행실이 조정에 알려져 1736년(영조 12) 정려문이 내려졌다.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상산마을 입구 소로변의 오른쪽 언...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이하종의 선정을 기리는 비. 일제강점기인 1937년 2월에 이 마을의 거부였던 이하종이 재물을 내어 주변의 이웃들에게 베푼 덕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협동마을의 서쪽 평야를 낀 소로변에 남향(南向)하여 있다.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형 옥개석으로 되어 있다. 총높이는...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상동마을에 있는 이헌규의 공적을 기리는 비. 이헌규(李憲珪)는 고려 말 삼은 중의 한 사람인 이색의 후손이며, 기묘명현(己卯名賢)인 음애 이자(李耔)의 후손으로 이 마을에서 대를 이어 살아왔다. 이헌규는 가세가 몹시 곤궁하였으나 자수성가한 후 낙후한 고향의 발전을 위하여 마을회관과 정자를 건립하고 장학회를 만들어 육영 사업에 공헌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채제공의 공덕을 기리는 뇌문비. 채제공 뇌문비는 처인구 역북동 낙은마을 채제공의 묘역 입구 산기슭에서 북서향 방향에 있는 비각 내에 보존되어 있다. 네모난 모양의 백색 화강암제 비좌와 흑요색의 비신으로 이루어진 비는 팔작지붕에 옥개석 형태이다. 비신 상부의 전액(篆額)은 “어제뢰문(御製誄文)”이며, 본문은 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한영의 효자비. 정한영(鄭漢永)은 정몽주의 19대손인 정구현(鄭九鉉)의 아들로, 조선 말기인 1862년에 태어났다. 벼슬은 종사량(從仕良)으로 감리서주사를 지냈다. 성품이 바르고 총명하였으며, 평소 정성을 다해 부모를 섬기어 인근에 효자로 소문이 자자하였다. 정한영은 평소 부모를 정성껏 섬기고,...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 있는 조재순의 효부비.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영동세브란스병원 뒤편 소로변 허진의 가옥 담장에 맞붙어 서 있다. 양천허씨 종중에서 평양조씨 조재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 형태로, 비의 크기는 비좌 높이 8㎝, 너비 62㎝, 두께 39㎝이고, 비신 높이 103㎝, 너비 37.5㎝, 두께 11.5㎝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원암리에 있는 조선 말기 문신 진효일의 공덕비. 안성시 원곡면과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이 경계를 이루는 원암리 상적교 부근 도로변에 남향으로 서 있다. 국도 7호선이 지나가는 등 교통의 요지이다. 네모난 비석 받침에 팔작지붕 형태의 비석 덮개를 지녔다. 비신(碑身)의 높이는 128㎝, 너비는 42㎝, 두께는 19㎝이다. 비석 앞면 중...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아곡리에 있는 고려 후기 처인성 전투의 승리를 기리는 비. 고려 후기인 1232년(고종 10)에 처인성은 군창이 있던 지역으로, 전체 면적이 5,820평이고, 둘레가 425미터의 작은 토성이었다. 이 토성에서 세계를 제패한 몽고의 원정군 사령관 살리타가 보잘것없는 고려의 승병장 김윤후가 이끄는 의병대와 일전을 벌이다 전사하였다. 원정군 사령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최춘봉의 효자비. 비좌와 월두형의 비신 형태이다. 비신은 앞면에 종1열로 “효자전주최춘봉지비(孝子全州崔春逢之碑)”라 새겨져 있다. 최춘봉의 부모에 대한 효행을 기리고자 건립된 효자비 주변에는 철책을 둘러 보호하고 있다....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에 있는 1950년 터키군의 참전과 승리를 기리는 비.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세계 16개국의 유엔군이 참전하였다. 1950년 7월 25일 터키 정부에서도 한국전에 참전하기로 결정하고 1950년 10월 17일 부산에 상륙하였다. 이 후 11월 26일부터 군우리·신림리 전투를 시작으로 1951년 1월 13일에는 의정부·연천·금...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리에 있는 함양박씨의 열녀비. 함양박씨는 박장춘의 딸로 1436년(세종 18)에 태어나 14살의 나이로 한용주에게 출가하였다. 1450년 병이 위독한 남편의 목숨을 수혈로 구하려 하다가 과다 출혈로 목숨을 잃은 함양박씨의 남편에 대한 지극한 열행을 기리고자 건립되었다. 비좌와 비신 및 옥개석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방부개석 양식...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 본동마을에 있는 해주오씨 시조 오인유를 기리는 설단비(設壇碑). 해주오씨의 시조 오인유(吳仁裕)는 원래 중국 송나라의 이름난 대학자로 984년 고려에 들어와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냈고 황해도 해주에 정착하였다. 오인유의 후손들은 해주를 관향(貫鄕)으로 여겨 왔다. 그 후 세월이 지나고 전란 등을 겪으면서 시조의 분묘가...
-
경기도 용인시의 호국관련 유공자의 공적비. 용인지역 상이군경, 무공수훈자, 베트남참전유공자, 6.25참전유공자의 호국 공적을 기념하기 위한 공적비 4기와 명부석 1기 및 조형물 1기이다. 2004년 10월에 호국유공자 공적비 건립계획 수립하고 2006년 8월 처인구 김량장동 산36번지에 건립부지 확정하였다. 2007년 7월 건립예정부지가 협소하여 이전요구에 의해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