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용인 지역에 살았던 류당근의 후손이 소장한 조선 후기 과거시험 답안지. 조선 후기 류당근(柳唐根)[1816~1886]이 선향인 용인으로 낙향할 때 가지고 온 문서로 현재 증손 류만희(柳萬熙)가 소장하고 있는 과거시험 답안지. 조선시대 과장에 나아가 과거시험을 본 후 장원이 아닌 경우는 그 답안지를 응시자에게 돌려주었다. 본 답안지는 소과, 대과 두 가지의 답안지이...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아리실교회에서 당회를 열기 시작한 후 당회내용에 관해 기록한 회의록. 아리실교회는 용인시에서 백암면 백봉교회에 이어 두 번째로 1895년 설립된 교회이다. 본 교회에 1917년 까지 장로가 없어 당회를 열지 못하다가 1917년 4월 오건영 영수가 장로로 취임하여 동년 6월 첫 당회를 개최하며 쓰여지기 시작한 당회록으로 용인 지역의...
-
경기도 용인시의 의령남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남은·남재 관련 고문서. 「남은유서분재기부남재왕지(南誾遺書分財記附南在王旨)」는 조선의 건국공신인 남은(南誾)[1354~1398]의 재산 상속문서인 분재기(分財記) 형식의 유서 한 점과 남재(南在)[1351~1419]에게 내려진 왕지(王旨) 한 점을 말한다. 남은은 조선을 건국할 때 공을 세워 1등공신...
-
1791년 백련암의 유래와 경계 지역, 중수 내용을 기록한 문서. 반곽의 크기는 32x22㎝ 정도이며 우철 5정침으로 제본되어 있다. 표지에는 “향수산백련암약사(香秀山白蓮菴略史)”라 기록되어 있으나 ‘향수산’이란 글씨만 희미하게 보일 뿐 나머지 글자는 판독이 어렵다. 면수는 6면이며 장수는 3엽이고 글씨는 행서의 필사본이다. 기록의 서두에는 백련암이 위치한 산명, 암자 명을 쓰고...
-
경기도 용인시의 경기도박물관에 기탁 보관된, 선조의 친필 비밀문서와 정조의 어친필(御親筆)을 별책으로 묶은 첩. 『선조어서 사송언신 밀찰첩(宣祖御書賜宋言愼密札帖)』과 『정조어제 선조어서 밀찰발(正祖御製宣祖御書密札跋)』은 모두 2첩으로 묶여진 고문서로, 1987년 12월 26일 보물 제941호로 문화재청에 지정 등록되었다가, 2004년 영정과 분리되고 명칭도 변...
-
경기도 용인시의 순흥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후기 고문서. 순흥안씨가 고문서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정유재란 때 순절한 안홍국(安弘國)[1555~1597]과 부인 정부인 이씨와 관련하여 조선 중기와 후기에 내려진 교지 세 점을 말한다.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순흥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데, 두 점은 증직 교지이고, 한 점은 시호(諡號) 교지이다...
-
조선 후기 이재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 「도암 이재 학규」로도 불리는 「심곡서원 학규」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재(李縡)[1680~1746]가 지은 심곡서원의 규칙서이다. 현재 상현동에 있는 심곡서원 강당에 현액되어 있다. 심곡서원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인 1650년(효종 1) 사액(賜額)된 서원으로,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
-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604년(선조 37) 심대에게 발급된 공신 교서. 심대(沈垈)[1546~1592]는 1572년(선조 5) 문과에 급제하고, 1592년 선조를 의주로 호종하는 데 공을 세웠다. 권징(權徵)의 후임으로 경기도관찰사에 제수되어 서울을 수복하기 위해 시민들의 내응을 시도하다 삭녕에서 왜병의 야습으로 전사하였다. 「청원군심대호성공신교서...
-
경기도 용인시의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 안동권씨가 고문서는 조선 후기의 무신인 권심(權諗)과 부인 유인 김씨와 관련한 교지 및 녹패(祿牌)로,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안동권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백패(白牌) 1점, 임용 교지 4점, 녹패 1점, 유인 김씨 임용 교지 1점 등이 낱장 형태로 보존·유지되고 있다. o백패-1675년...
-
경기도 용인시의 양천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 양천허씨가 고문서는 증직 교지 두 점으로, 1806년(순조 6)에 문신인 허집을 학행으로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증직하고, 부인 유인 이씨 역시 남편의 품계에 따라 숙부인으로 증직함을 알리는 교지이다.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양천허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증직 교지 두 점 모두 필사본이며, 낱장...
-
조선시대에 용인향교의 석전제례(釋奠祭禮) 때 사용하였던 홀기(笏記). 용인향교에서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거행하는 석전 제례의 홀기는 성균관에서 거행하는 석전대제(釋奠大祭)의 예법을 바탕으로 지역의 상황에 적절하도록 작성한 것이다. 용인향교의 석전 제례 때 사용하던 본래의 홀기는 서첩(書帖) 형식으로 제본한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20장의 양면...
-
조선 후기 도암 이재가 지은 향교·서원 등에서 지켜야 할 학칙서. 『용인향숙절목(龍仁鄕塾節目)』은 향교나 서원 등의 교육·의례를 행하는 학칙서로, 이재(李縡)[1680~1746]의 『도암집(陶庵集)』제25권 잡저편에 기록되어 있다. 경기도 용인시의 우봉이씨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다. 절목에는 용인현의 양 서원, 즉 충렬서원과 심곡서원, 그리고 관내의 서당에서 강회(講會)를...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경기도 박물관에 있는 조선 후기 선조가 원균에게 내린 선무공신 교서. 1592년(임진년)과 1597년(정유년)에 발발한 두 차례의 전란이 수습된 뒤 선조(宣祖)[1552~1608]는 국란의 위기 속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을 공신으로 책봉하였다. 선무공신은 임진왜란 당시 직접적으로 무공을 세웠거나 명에 병량 주청사(兵糧奏請使)로 다녀온 이들 가운...
-
경기도 용인시의 의령남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 고문서. 의령남씨가 고문서는 조선 초기에 남은(南誾)[1354~1398]이 남긴 유서(분재기)와 남재(南在)의 왕지, 조선 중기에 남타(南柁)·남일성(南一星)·남식(南烒)·남이성(南二星)에게 내린 교지 5점 및 남처관(南處寬)의 교첩, 조선 후기의 남구만(南九萬)·남학명(南鶴鳴)의 준호구 등을 말한다....
-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김종한과 관련한 계회도와 교지류. ‘「이십삼상대회도」 및 「김종한교지」(二十三霜臺會圖 및 金從漢敎旨)’는 1487년경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십삼상대회도(二十三霜臺會圖)」1점과 김종한에게 내려진 교지 5점을 말한다. 김종한(金從漢)은 1465년(세조 11)에 문과에 급제하고 선무랑훈도를 거쳐 종사랑·훈도(訓導)를 지냈으...
-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1625년(인조 3) 이중로에게 발급된 공신 교서. 「이중로정사공신교서」가 1993년 11월 5일 문화재청에 공식 등록된 명칭은 ‘이중로정사공신교서 및 영정’(보물 제1174호)이었다. 이후 2004년 5월 7일에 두 유물이 별도로 분리되어 「이중로정사공신교서」(보물 제1174-1호)와 ‘이중로 영정’(보물 제1174-2호)으로...
-
조선 후기에 이재가 충렬서원 유생들이 원내에서 지켜야 할 규범을 정리한 고문서. 『충렬서원학규』에 기록 된 절목(節目)은 서원 이외에 용인 지역에 있던 각급 향숙(鄕塾)에서도 본받아 유생의 교육 규범으로 활용되었다. 이재(李縡)[1737~1748]가 성책하면서 『소학』 등의 교재를 읽기 전에 먼저 정몽주의 글을 읽을 것을 권면하는 글을 서문에 남긴 것이 다른 학규에서 볼...
-
경기도 용인시의 해주오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후기의 고문서. 해주오씨가 고문서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오윤겸(吳允謙)[1559~1636]에게 내린 교첩 12점과 교지 55점, 오달천(吳達天)에게 내린 교지 13점, 오도종(吳道宗)에게 내린 교지 14점, 오도일(吳道一)에게 내린 교지 81점, 오수현(吳遂顯)에게 내린 교지 17점, 오명유(吳命有)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