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쌈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831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ith Instruments During the Final Weeding
이칭/별칭 에염싸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농업 노동요
토리 솔선법을 기반으로 한 「육자배기」 선법
출현음 솔선법: 솔(라)·도·레·미·솔'(라')|「육자배기」 선법: 미·라·시·도
기능구분 농업 노동요
형식구분 멕받형식
박자구분 비고정박(非固定拍)
가창자/시연자 박명종|이재원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에서 논을 매면서 바숨형 논맴소리 뒤에 풍장굿을 쳐가며 부르던 농업노동요.

[개설]

「쌈 소리」는 농부들이 논을 다 매 갈 무렵, 선소리꾼이 처음에 ‘우-아-아-’ 하고 소리 내는 것을 신호로 에염을 싸 가면서 하던 소리이다. 따라서「쌈 소리」를 논산 지역의 「옹골 소리」처럼 일반적인 「에염 싸는 소리」로도 이해할 수 있다.

[채록/수집상황]

2002년에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리 1구에서 「쌈 소리」를 채록하여 2005년 논산시에서 출간한 『논산시지』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쌈 소리」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바숨형 「논맴 소리」 뒤에 풍장굿을 쳐 가며 부른다.

[내용]

우야아 아아아헤에 아아헤아/ 은하작교가 하, 텨들썩 무녀져/ 건녀갈 길이 망연두허이네에/ 계룡산 기로를 듬뿍 받아서허/ 국사봉 명기가 뚝 떨어졌네/ 아아아 아아아에헤하/ 양짝 벼루느흔 쑥 올라가고호오/ 함부로 천천히마라 아아아아에아아.

[의의와 평가]

「쌈 소리」는 ‘아-아-헤-아’와 같은 입말의 유장한 받는 소리와 긴 메김구로 엮어지므로, 다른 지방의 경쾌하고 잦은 「에염 싸는 소리」와 대조를 이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