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2554
한자 鄭勳
영어음역 Jeong Hun
이칭/별칭 방로,수남방옹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인
출신지 전라북도 남원시
성별
생년 1563년연표보기
몰년 1640년연표보기
본관 경주정씨

[정의]

조선 중기 남원 출신의 문인.

[개설]

수남방옹(水南放翁) 정훈(鄭勳)[1563~1640]은 조선 중기 광해군인조 연간에 주로 활동했던 문인이다. 독학으로 공부하였으며,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임진왜란을 당하여 모친을 모시고 남원으로 피란하였다가 그곳에 우거하며 생을 마쳤다.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방로(邦老), 호는 수남방옹(水南放翁). 남원에서 태어났다. 고려 때 대제학을 지낸 정현영(鄭玄英)의 후손으로, 효자로 명망을 떨친 능참봉 김엄(金嚴)과 옥천 조영(趙瑛)의 딸인 조씨부인(趙氏夫人)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활동사항]

정훈은 정계에 나아가지는 않았으나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병자호란 등을 겪으면서 시대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강직하고 적극적인 성품으로 불의를 좌시하지 못하였던 까닭에, 갑자년(1624)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모병하여 출동했다가 오수역(鰲樹驛)에 이르러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돌아갔다. 정묘호란 때에는 병환으로 출정하지 못하자 대신 아들을 보내기도 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정훈은 생활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탐승하며 그 심회를 시가로 엮어냈다. 「수남방옹가(水南放翁歌)」, 「용추유영가(龍湫遊詠歌)」 등의 가사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일상생활을 작품화한 시가로는 「탄궁가(歎窮歌)」·「우활가(迂濶歌)」 등의 가사 작품과 「자경(自警)」·「기우인(寄友人)」·「곡처(哭妻)」 등의 시조가 있다. 정훈의 시가 작품은 독창적인 시어의 선택과 섬세한 관찰력, 대담한 자기의식 노출로 개성 있는 시세계를 창조해 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강한 우국지정을 드러낸 작품으로는 가사 작품 「성주중흥가(聖主中興歌)」(1623)를 들 수 있으며, 「계해반정후계공신가(癸亥反正後戒功臣歌)」·「탄강도함몰대가출성가(歎江都陷沒大駕出城歌)」·「탄북인작변가(歎北人作變歌)」 등의 시조 작품도 눈에 띈다. 문필 유산은 국문학 작품으로 가사 5편과 시조 20편이 있고, 한시문도 30여 편이 전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