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567
한자 濟州-寒蘭
영어음역 Hallan
영어의미역 Smoothlip Cymbidium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영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7년 7월 18일연표보기 - 제주의 한란 천연기념물 제19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제주의 한란 천연기념물 재지정
성격 난초과 한란
학명 Cymbidium kanran Makino
생물학적 분류 동식물〉관속식물문〉피자식물강〉단자엽식물아강〉난초목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자생지역/재배지역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남쪽의 활엽수림지대|전 지역
개화기 12~1월
결실기 2~3월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에서 자생하는 난초과의 식물.

[개설]

세계적으로 자한란, 홍한란, 청한란 등 약 50여 종류가 있으며, 한란은 한라산의 남쪽에서 자란다.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남쪽 활엽수림 사면은 한란이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 지점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한란의 보존과 학술 연구 목적으로 한란을 천연기념물 제191호로 지정하였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또한 제주의 한란은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야생 식물 Ⅰ급으로 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서귀포시 상효동에는 보호 철책이 설치되어 있어서 자연 생태로 보호, 관리되고 있다.

한란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옛날 제주의 산골에 살았던 효자 이야기에서 기원하였다. 옛날 제주의 깊은 산골에 아버지의 병을 고치려고 갖은 정성을 다였던 효성 지극한 효자가 있었다. 어느 날 꿈속에 산신령이 나타나 ‘뒷산의 꽃을 술에 열흘 동안 담기었다가 하루에 한잔씩 마시게 하면 병이 낫는다’고 말했다. 효자는 한겨울인데도 마음을 굳게 먹고 산길을 나섰다. 눈 쌓인 숲 속을 헤매던 중 가느다란 잎사귀의 꽃자루에서 향기롭게 피어난 꽃을 발견하였다. 효자는 바로 이 꽃을 따다가 산신령이 시키는 대로 술에 담가 드렸더니 아버지의 병이 나았다. 사람들은 그 후 그 꽃이 한겨울에 핀다고 해서 한란이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형태]

난초과의 여러해살이 상록 초본으로 잎은 선형이며 진녹색으로 뒤로 젖혀져 있다. 길이는 20~70㎝, 너비는 6~17㎜로서 끝이 뾰족하며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가 다소 밋밋하다. 꽃은 12월에서 다음 해 1월 사이에 연한 황록색 또는 홍자색 등이며, 변화무쌍하고 향기가 있다. 꽃줄기는 길이 25~60㎝, 밑 부분에 초생엽이 달리고 5~12개의 꽃이 총상(總狀)으로 달리는데, 포(苞)는 선형이고, 혁질(革質)이며 길이 8~30㎝로서 뾰족하다. 꽃받침 잎은 벌어지고 길이 3~4.5㎝로서 넓은 선형으로, 꽃잎은 피침상(披針狀)선형이고 길이 2~3㎝, 너비 4.5~5.5㎜이다. 꽃술은 중앙부의 꽃받침 길이의 1/2정도이며 다시 3개로 갈라져서 뒤로 젖혀지고 백색 바탕에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예주는 길이 10~14㎜이다.

한란 재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광선과 온도이다. 그리고 겨울철 온도는 개화에 방해가 되므로 주의하여 관리한다. 번식은 포기 나누기가 원칙이나, 최근에는 배양해서 생긴 뿌리줄기를 대시 계대 배양해서 새로운 식물체를 얻을 수 있다는 시실이 밝혀져 많이 생산되고 있다. 포기나누기는 꽃이 지고 난 3~4월이 적기이고 3촉 이상을 한주 단위로 나누어 심는다.

[생태]

공중 습도가 습하고 부엽층이 있는 상록 활엽수림부터 낙엽 활엽수림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계곡의 사면 부위에 주로 분포하며 하루의 조광 시간이 길지 않은 환경의 100~700m 지역에서 자생한다. 대부분 남동 사면부로 경사도는 0~30° 정도의 완만한 경사지나 평지이다.

[역사적 관련사항]

고려대학교 윤국병은 우리나라 난 재배에 관한 기원의 고증에 관한 글인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난초’에서 제주의 한란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제주의 한란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추사 김정희라고 밝히고 있다. 김정희는 1840년 제주에 유배되어 9년 동안 살면서 제주의 한란을 재배하고 또 난을 즐겨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