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창리 해저유적 출토 금제 뒤꽂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311
한자 新昌里海底遺蹟出土金製-
영어음역 geumje dwikkoji
영어의미역 gold hair ornament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261[일주동로 17]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강창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장신구
제작시기/일시 11~12세기
제작지역 중국 저장성 일대
재질 순금
길이 평균 19.5㎝
소장처 국립제주박물관 지도보기
소장처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건입동 261[일주동로 17]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신창리 해저유적지에서 발견된 금으로 만든 장신구.

[개설]

일반적으로 금제 뒤꽂이는 뒷머리에 꽂아 장식을 하는 데 쓰였다. 일찍이 낙랑 유적에서 목제로 만든 빗이 발견되기도 했으며 삼국시대 유적에서는 대모로 만든 것이 발견되었다. 빗을 뒷머리에 꽂고 다니기도 하였기에 장신구의 일종으로도 사용되었다.

이 금제 뒤꽂이는 신창리 해저유적(新昌里 海底遺蹟)에서 발견되었으며, 1980년대 초반 해녀들이 작업 도중 발견한 금제 팔찌, 금제 뒤꽂이, 금사 등의 금제 장신구류를 신고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형태]

금제 뒤꽂이는 긴 금봉을 구부려 두 갈래로 갈라 만들었는데, 머리 부분에 화문을 음각하기도 하였다. 모양이 간단하고 실용적이어서 여성의 뒤꽂이로 두루 사용되었다.

[의의와 평가]

금제 뒤꽂이는 중국 후난성[湖南省] 형양(衡陽)의 동한시대(東漢時代) 무덤에서 발견된 바 있다. 또 중국 장쑤성[江蘇省] 단도정교(丹徒丁僑)에서 당나라의 은제품을 묻어둔 구덩이 발견되었다.

이들 유구에서 발견된 뒤꽂이에는 모두 머리 부분의 화문이 음각된 점으로 미루어 신창리 해저유적 출토 금제 뒤꽂이와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금제 뒤꽂이는 11~12세기의 남송대에 해당되는 유물로, 중국 저장성[浙江省]에서 일본 규슈나 제주도를 기착지로 삼아 해상을 오가던 교역 상선에 탑재되었던 물자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고*** 新昌里海底遺蹟出土金製- → 新昌里海底遺蹟出土金製髮飾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디지털제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지털제주문화대전은 한자 표기 시 반드시 한글과 1대 1로 일치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한자를 뜻으로 의역하여 표기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고학자님의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0.08.13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