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539
한자 平常服
영어의미역 Ordinary Dress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김영자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입었던 옷.

[개설]

옷은 지역과 신분, 그리고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각기 처한 상황에 따라 옷과 신발, 장신구에 머리 모양까지 달랐다. 시대, 환경, 문화에 따라 옷은 변화 발전해 왔다. 특수 상황이 아닌 일반적으로 입는 옷은 평이하였다. 활동성과 멋을 추구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평상복이라 하더라도 양반과 평민은 신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보통 남자는 바지저고리, 여자는 저고리 치마를 입었다. 오늘날은 다양화되어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신분과 평상복]

1. 양반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했기에 양반은 관을 쓰고 포를 입어야 예의를 갖추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평상시에 입는 겉옷을 ‘편복포’라고 했다. 길이는 무릎에서 발목까지 오는 것 등 아주 다양했다. 깃과 소매의 넓이도 달랐다. 그 모양에 따라 답호·철릭·직령·도포·창의·주의 등으로 불렸다. 기본적으로 바지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소매가 좁은 소창의를 입은 뒤 그 위에 다시 소매가 넓은 포를 입었다.

2. 중인

중인은 양반과 일반 백성 사이의 신분으로 공복으로는 관원복을 입었고, 평상시에는 서민복을 입었다. 바지저고리 위에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평상복이며, 품계가 없는 말단 관리들은 녹사복을 입었다.

3. 상민

양반이 아닌 상민이나 천민의 옷은 아주 단출했다. 남자는 바지와 저고리가 기본이고 외출할 때나 특별한 날에는 두루마기를 입기도 했다. 여자는 치마와 저고리만 입었으며, 양반 계층이 입던 사치스럽고 화려한 옷은 꿈도 꿀 수 없었다. 대개 무명이나 삼베로 만든 단색의 무늬가 없는 옷을 입었다.

4. 양반 계층의 여성

양반 계층의 여인들은 속옷을 꼼꼼히 갖춰 입었다. 상의로는 띠 모양으로 생긴 가슴띠를 두르고, 홑겹으로 된 속적삼을 입은 다음 속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겉옷인 저고리를 입었다. 하의로는 긴 천에 허리띠를 단 다리속곳을 입고, 그 위에 속속곳 고쟁이, 단속곳, 너른바지를 입은 다음 겉옷인 치마를 입었다. 속속곳은 단속곳과 모양은 같으나 길이가 짧고, 고쟁이는 남자 바지와 달리 다리 밑이 터져 있었다. 외출할 때는 얼굴을 가리기 위해 쓰개치마나 장옷, 천의 등을 둘렀다.

5. 상민 여성

상민 남성들처럼 옷차림이 단출하였다. 치마와 저고리만 입는 것이 기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