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세 한탄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732
한자 身世 恨歎歌
영어공식명칭 Hantanga
이칭/별칭 「신세탄」,「신세 한탄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2년 - 「신세 한탄가」 강임순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신세 한탄가」『달성 군지』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
가창권역 전국
성격 민요
기능 구분 비기능요|규방 가사
가창자/시연자 강임순[여, 1941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음리에서 신세를 한탄하면서 부르는 민요.

[개설]

「신세 한탄가」는 서글픔이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을 창곡에 얹어 부르는 비기능요이자 규방 가사이다. 이를 「신세탄」, 「신세 한탄 노래」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2년 달성군에서 간행한 『달성 군지』에 실려 있다. 이는 1992년 달성군 유가면[현 유가읍] 음리에서 강임순[여, 당시 51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신세 한탄가」는 두 마디를 기본 형식으로 한 민요로 기록되어 있지만, 여성 주인공의 서사적 성격 뿐만 아니라 네 마디의 형식을 갖춘 가사에 더 가깝기 때문에 규방 가사라 할 수 있다. 주인공은 한 살 때 엄마를 잃고, 두 살 때는 아버지를 잃고, 할머니, 삼촌, 고모, 이모 밑에서 솜씨와 행실을 배우며 자란다. 열 다섯에 시집을 가지만 사흘만에 남편이 병으로 죽어 결국은 양산통도사로 들어가 중이 되어 버리는 것으로 노래가 끝이 난다.

[내용]

한살먹어 엄마잃고/ 두살먹어서 아버지잃고/ 세살묵어 조모잃고/ 니살묵어서 조보잃고 [중략] 호부여덟 솜씨를 배와/ 조부아홉에 먹새를 배와/ [중략] 열다섯살에 시집을가니/ 시집갔는 사흘만에 서방님이 병이들어/ 치마팔아 반자를팔아/ 제일약방에 약을지어/ 그약져서 디리고나니/ 그약도 무약이요 [중략] 이천지천 하적천에/ 서방님이 숨이갔네/ 사랑방에 아부님요/ 낭군임이사 숨이갔소/ 에리이년아 물리쳐라/ 청춘과부가 보기싫다/ [중략] 내방으로 들어나와서/ 열두폭을 쳐매를찾아/ 한폭뜯어 고깔을짓고/ 두폭뜯어서 전대를 짓고/ [중략] 왔소왔소 내가왔소/ 양산통도에 절간에 내가왔소/ 상좌님요 상좌님요/ 이내몸을 빌리주소/ [중략] 목탁빌리 손에다쥐고/ 염불 빌려서

[현황]

「신세 한탄가」는 어느 한 지역에 한정되어 불리지 않고 우리나라 전체에 넓게 퍼져 있으며, 각 지역에 따라 개인에 따라 사설의 변이가 큰 대신 향토적인 특징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의의와 평가]

민중의 삶 속에서 구비 전승으로 전해진 성격이 강하며, 향토 민속성이 농후하고, 음악적 특성에 있어서도 민중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