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343 |
---|---|
한자 | 大邱日本居留民團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김일수 |
개항기 대구광역시에서 결성된 일본인 자치 단체.
대구일본거류민단(大邱日本居留民團)은 1906년 11월 대구에서 거주 중이던 일본인들이 결성한 자치단체이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은 식민 통치기구인 대구이사청(大邱理事廳)의 감독 아래 대구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의 자치를 위하여 결성한 자치단체이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은 대구일본인거류민회(大邱日本人居留民會)를 계승하여 1906년 11월에 결성되었으며, 1914년 4월 부제(府制) 실시에 따라 거류민단법(居留民團法)이 폐지될 때까지 대구에 거주 중인 일본인 사회의 자치단체로 운영되었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은 1906년 12월 대구이사청 개청식 때 오카모도[岡本理平] 이사관으로부터 대구에 거류민단법을 실시한다는 발언 이후 설립되었다. 오카모토 리헤이[岡本理平] 이사관은 대구일본거류민단 설립 위원장에 가게야마 히데키[影山秀樹], 조역 겸 회계 위원에 도쿠라 주로쿠[戶倉十六]를 위촉하고, 쓰지야 히코지로[土屋彦次郞], 이즈미 스에지[泉末治], 후쿠나가 마사지로[福永德次郞],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후지이 만지로[藤井萬次郞], 무라카미 토모요시[村上知義], 스다 산페이[須田三平], 다도코로 유키에[田所幸衛] 등을 설립 위원으로 선정하였다.
1906년 12월 21일 대구일본거류민단의 민회 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대구일본거류민단 회원들은 규슈[九州]의 후쿠오카[福岡] 출신이 1위, 주고쿠[中國]의 야마구치[山口] 출신이 2위, 혼슈[本州]의 오카야마[岡山] 출신이 3위, 혼슈와 주고쿠 사이인 히로시마[廣島] 출신이 4위 등의 순서로 많았다. 이처럼 대구에서 거주한 일본인들은 지리적 이동 조건, 곧 대구와 부산에 가까운 일본 지역 출신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의 구역은 대구 성내동(城內洞) 일원과 성 밖의 금호강(琴湖江), 만촌동(晩村洞), 황청동(黃淸洞), 동괘진(東掛津), 상리(上里)까지였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은 대구읍성(大邱邑城)의 철거, 대구도로위원회 활동, 경상감영(慶尙監營) 객사 철거, 시구 개정 사업 등을 통하여 전통 도시 대구를 해체하고 식민 도시로 전환하는 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또는 철도 용지를 임대받아 전대하여 자본을 축적하였다. 그리고 대구일본거류민단은 일본인 소학교 등 교육 사업과 소방조를 비롯한 자치 활동에 힘을 기울였다.
대구일본거류민단은 대구이사청의 감독 아래 일본인의 자치를 위하여 활동하면서, 대구를 일본인의 도시로 재편하는 데 주요 역할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