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71
한자 讀書帖
영어공식명칭 A record of reading
이칭/별칭 「독서에 대한 기록」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43년 - 「독서첩」 저자 정구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20년 - 「독서첩」 저자 정구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80년 - 『한강집』에 「독서첩」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사수동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도동리 35]지도보기
성격 잡저|독서록
작가 정구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문신이자 학자인 정구가 여러 책에서 가려 뽑은 독서에 대한 기록.

[개설]

「독서첩(讀書帖)」의 저자 정구(鄭逑)[1543~1620]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이며,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독서첩」정구가 『주자어류(朱子語類)』·『근사록(近思錄)』·『심경(心經)』 등을 읽으면서 함양 공부에 관련된 사항을 발췌하여 기록한 것이다.

2001년 발행한 『국역 한강집』에서는 「독서첩」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독서에 대한 기록」이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독서첩」은 함양 공부와 관련된 34개의 항목이 들어 있고, 말미에 정구의 결어(結語)가 들어가 있다.

[내용]

「독서첩」은 『논어(論語)』·『맹자(孟子)』·『주자어류』·『근사록』·『심경』·『성리대전(性理大全)』 등에서 함양 공부와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열거한 작품이다. 글의 서두에 “함양은 반드시 경(敬)으로써 하여야 하고, 학문의 진보를 위한다면 치지(致知)에 있다.”라는 정자(程子)의 말을 인용하여 「독서첩」의 대지(大旨)로 삼았다. 이어지는 항목에서는 경(敬)과 전일함[一], 미발(未發), 사물(四勿), 예교(禮敎) 등의 관념을 활용하여 함양 공부에 대하여서 설명하고, 성인(聖人)과 제현(諸賢)들의 함양 공부 사례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마지막 34번째 항목에서는 『주역(周易)』의 「건괘(乾卦)」 ‘구삼효(九三爻)’의 “군자가 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쓰고 저녁까지도 삼가면 위태로워도 허물은 없을 것이다[君子終日乾亁, 夕惕若, 厲無咎].”라는 구절을 인용하여 실천을 강조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결어는 34번째 항목에 대한 주(註)이며, 전체 항목에 대한 요약이다.

[특징]

「독서첩」은 명나라 설선(薛瑄)[1389~1464]의 『독서록(讀書錄)』의 형식을 차용한 듯하다. 설선의 『독서록』은 이기(理氣)와 성리(性理)의 문제를 다룬 저작이며, 설선이 몸소 실천하면서 마음으로 터득한 내용을 단편적으로 발췌·인용 또는 기록한 책이다. 정주학(程朱學)에 대한 대표적 저술이며,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의 회복과 함양(涵養)을 강조하였다. 정구「독서첩」에서 정자, 사양좌(謝良佐), 장재(張載), 이동(李侗), 주희(朱熹), 설선의 말을 단편적으로 발췌·인용하였고 곳곳에서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의의와 평가]

「독서첩」은 호연지기를 기르는 방법을 제시한 「양호첩(養浩帖)」과 함께 내면 공부의 중요성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한 작품이다. 정구의 학문적 지향과 독서 대상과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