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신밟기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801425
이칭/별칭 마당밟이,뜰밟기,답정(踏庭)굿
분야 구비전승·언어·문학/구비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북도 청송군
집필자 박다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9년 3월 1일 - 「지신밟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54번지 이철우[남, 78세]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09년 7월 30일 - 「지신밟기소리」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1리 332-1번지 김시중[남, 72세]으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4년 - 「지신밟기소리」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7-20 경상북도 청송군’ 수록
채록지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54 지도보기
채록지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1리 332-1 지도보기
가창권역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지도보기|진보면지도보기
성격 민요
기능 구분 의식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방식
가창자/시연자 이철우|김시중

[정의]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음력 1월에 지신을 밟으며 부르는 노래.

[개설]

「지신밟기소리」청송군 안덕면진보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래로 의식요에 해당한다. 정원달에 지신을 밟아 액운을 물리치고 무사안일을 도모하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09년 3월 1일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54번지 이철우[남, 78세], 2009년 7월 30일 청송군 안덕면 명당1리 332-1번지 김시중[남, 72세]으로부터 임재해 등이 채록하였다. 또한 「지신밟기소리」는 2014년 12월 28일 간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7-20 경상북도 청송군’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지신밟기소리」는 사설을 많이 아는 이가 선소리를 하고, 다른 사람들은 후렴을 부르는 선후창의 가창 방식을 가진다.

[내용]

어리 지신아 눌리세 / 어리 지신아 눌리세 / 어리 지신아 눌리세 / 어리 지신아 눌리세 / 와가 백 칸을 지을 적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일월산 나리 터전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석보 제일의 집터 위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좌향 놓고 안배 놀제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임자계축 간이간묘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곤신정유 신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득수 득좌 어떻든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대국법 법을 보니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대과할일 수두룩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천하 제일에 집터 위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행으로 주초를 박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인의예지에 기둥을 세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팔조목에 고루를 얹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삼강령에 대강을 얹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안채에는 목숨 수자여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랑채는 복복 자라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행랑채는 창성 창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수복창령에 집을 세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천년 기와에 만년 우리라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지은 대목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어느 대목에 지었는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얏 이자 이대목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방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방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안방구석도 네 구석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상방구석도 네 구석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정지구석도 네 구석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성주님 들어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조왕님 들어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삼신님 들어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만 잡신은 물알로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만 축복은 이집으로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들어오고 들어오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주인 주인 들어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입춘하니 대길이요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개문하니 만복래라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소지하니 황금출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짓고 입택하여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아들형제 딸형제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수복 받고 잘 사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부모님은 천년수 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아들손자 만년수 하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방 팔방 돌아가며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구석 구석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소구리 명당에 집을 지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아들이 나면 효자가 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며늘이 나면 효부가 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딸이 나면 열녀가 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소가 나면 황소가 나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개가 나면 청삽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닭이 나면 황개 장닭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말이 나면 용마로다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어떤 명당을 골랐는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고이공지에 명당터 안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신당터 안에 집터를 골라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그 집 명당에 나린 터전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나리명단에 □□터전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자손봉이가 비쳤으니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자손 번성도 하려니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노적봉이가 비쳤으니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거부장사도 날자리요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모에다 풍경을 달아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동남풍이 불어오니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핑경 소리가 요란하다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집 주인양반 들어보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먼데 출입을 하시거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먼데 살로 막아주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관청 출입을 하시거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관청살로 막아주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들에 나려 용왕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집에 들면 집안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산에 올라 산신살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막아주고 막아주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밟아주고 밟아주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눌려주고 눌려주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방구석을 밟아주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마당구석도 밟아주소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정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월 무방수 막아주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이월달에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삼월삼진에 막아주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삼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월 초파일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사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월단오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오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유월 유두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유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칠월칠석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칠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팔월보름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팔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구월중구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구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시월상달에 막아내고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시월이라 드는 살은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동지섣달에 막아내자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 지신아 지신아 눌리세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대개 지신밟기는 정월달에 행해진다. 마을의 농악대[풍물꾼]들이 각 집을 돌아다니거나 혹은 풍물꾼들이 없는 이웃 마을의 여유 있는 집에 가서 한바탕 지신을 밟아 주는 놀이를 한다. 그때 그 집에서는 그들에게 쌀이나 돈을 상에 차려 놓고 대접을 한다. 풍물꾼들은 상을 차려 놓은 주변을 돌거나 각 장소를 돌아다니며 지신을 밟는다.

[현황]

농경을 위주로 하던 과거에는 정월에 지신을 밟는 행위가 매우 중요한 민속 의식 중 하나였다. 그때 「지신밟기소리」는 매우 중요했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농경문화가 점차 기계화되면서 이러한 의식도 사라지는 추세이다. 「지신밟기소리」 또한 명맥만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민중의 노래인 민요가 노동 방식의 변화와 생활 방식의 변화로 점차 사라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송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신밟기소리」는 문화의 보존이란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 가치 있는 자료를 보존하고 활용하여 청송군 지역의 특성을 드러내는 고유한 문화를 더욱 풍성하게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