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여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271
한자 東輿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9세기 중엽 - 『동여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2월 7일연표보기 - 『동여도』 보물 제1358-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동여도』 보물 제1358-2호 지정
현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 2-1]
현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소유자 서울역사박물관|규장각한국학연구원
관리자 서울역사박물관|규장각한국학연구원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1358-1호[서울역사박물관]|보물 제1358-2호[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의]

19세기 중엽 제작된 김정호의 『동여도』에 수록된 부안현 지도.

[개설]

『동여도(東輿圖)』는 19세기 중엽 조선 철종 연간에 김정호가 제작한 지도로, 23첩 128장의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동여도』『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만들기 위해 작성한 고본(稿本)일 가능성과 『대동여지도』에 지리 정보를 첨가하여 만든 필사본일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전라도 부안현(扶安縣)의 지도와 정보가 상세하다. 2점의 『동여도』가 각각 보물 제1358-1호[서울역사박물관]와 보물 제1358-2호[규장각한국학연구원]로 지정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동여도』는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이며, 채색 필사본 지도로, 약 1만 8000여 개의 지명이 실려 있는데, 이는 현전하는 지도 최고의 수치이다. 총 23첩 중 맨 앞 첩은 목록집이고, 제1첩부터 제22첩까지는 각 지역의 지리가 그려져 있다. 『대동여지도』 필사본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정밀하다. 128장의 지도를 연결하여 펼치면 가로 약 3.2m, 세로 약 7m에 달한다.

[특징]

『동여도』 제17첩의 9면과 10면에는 부안현의 모습이 상세히 담겨져 있다. 지도 안에는 산천, 행정 구역, 도로, 치소(治所), 섬, 군사 시설, 거리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 부안현 관내의 주요 산으로는 치소 부근에 상소산(上蘇山), 행안산(幸安山), 도동산(道洞山), 종정산(終正山), 묵방산(墨方山) 등이 있고, 변산(邊山)검모포진(黔毛浦鎭) 부근에는 선계산(仙溪山), 영은산(靈隱山), 석불산(石佛山), 수양산(首陽山) 등이 있다. 행정 구역으로는 일도면(一道面), 이도면(二道面), 상동면(上東面), 하동면(下東面), 동도면(東道面), 서도면(西道面), 남상면(南上面), 남하면(南下面), 상서면(上西面), 하서면(下西面), 염소면(鹽所面), 보안면(保安面), 좌산내면(左山內面), 우산내면(右山內面), 입상면(立上面), 건선면(乾先面) 등이 있다. 군사 및 행정 시설로는 부흥성(扶興城), 우금암성(禹金巖城), 격포 행궁(行宮), 검모포진(黔毛浦鎭), 계화리 봉수(界火里烽燧), 월고리 봉수(月古里烽燧) 등이 있다. 이렇듯 『동여도』를 보면 군사 방어, 행정 작용 및 통치, 인문 지리 여건 등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동여도』 부안현 지도는 당시 부안현의 역사적, 지리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울러 지명의 변천 과정을 보여준다. 지도는 국가 운영 및 지방 통치를 위한 필수 요소로, 정확하고 정밀할수록 국가가 안정되고 백성이 편안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동여도』의 제작 목적을 알게 해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