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30031
한자 鄭敾筆海嶽八景-宋儒八賢圖畵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삼가동 47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인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2월 28일연표보기 -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보물 제179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 보물 재지정
현 소장처 용인 대학교 박물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학로 134[삼가동 470]
성격 회화
작가 정선
서체/기법 비단에 먹|비단에 채색
소유자 우학 문화 재단
관리자 용인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삼가동 용인 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정선의 그림과 화첩.

[개설]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에는 정선(鄭敾)[1676~1759]이 금강산을 그린 산수화 8면과 송대 유학자의 고사를 그린 산수 인물화 8면이 들어 있다. 산수화는 「단발령(斷髮嶺)」, 「비로봉(毘盧峰)」, 「혈망봉(穴望峰)」, 「구룡연(九龍淵)」, 「옹천(甕遷)」, 「고성문암(高城門岩)」, 「총석정(叢石亭)」, 「해금강(海金剛)」 순서이고, 산수 인물화는 「염계상련(濂溪賞蓮)」, 「방화수류(傍花隨柳)」, 「부강풍도(涪江風濤)」, 「화외소거(花外小車)」, 「횡거영초(橫渠詠蕉)」, 「온공낙원(溫公樂園)」, 「무이도가(武夷棹歌)」, 「자헌잠농(柘軒蠶農)」이다. 2013년 2월 28일 보물 제1796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의 전체 크기는 세로 34.5㎝, 가로 24㎝이다. 산수화는 비단에 먹을 위주로 그렸고 세로 25㎝, 가로 19.2㎝이며, 산수 인물화는 비단에 채색으로 그렸으며 세로 30.2㎝, 가로 20.2㎝이다.

[특징]

산수화는 정선이 즐겨 그렸던 금강산의 절경인데 실재하는 한국의 경치를 자신의 독특한 진경산수 화풍을 구사해서 표현했다. 산수 인물화 역시 정선이 자주 다루었던 소재로서 조선의 선비들이 성리학의 도통을 확립했던 송대 유학자들을 존경했던 바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했다.

[의의와 평가]

정선 필 해악팔경 및 송유팔현도 화첩에 들어 있는 금강산의 진경과 산수 인물은 서로 양식이 다르다. 따라서 같은 시기에 제작된 작품들이 아니라 후대에 누군가에 의해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도록 함께 성첩된 것이다. 따라서 조선 시대에 이미 정선의 그림에 대해서 산수와 인물을 모두 높이 평가하였음을 알려 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