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2997 |
---|---|
한자 | 文忠公文集에서 遺像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지은 贊 |
영어음역 | Munchunggong Munjibeseo Yusangeul Bogo Neukkimi Isseoseo Jieun Chan |
영어의미역 | An Eulogy Inspired from the Writings by Jeong Mongju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홍순석 |
조선 후기 숙종이 정몽주가 남긴 문집을 읽고 지은 어제시(御製詩).
「문충공문집에서 유상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지은 찬」의 원 제목은 「문충공문집중견유상유감작찬(文忠公文集中見遺像有感作贊)」이다. 숙종이 포은 정몽주의 문집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지은 8언 8행의 고시이다. 현재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에 있는 포은영당의 벽에 시판(詩板)으로 걸려 있다.
포은의 위용(偉容)과 도학, 성품 등을 칭송한 내용으로 시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수연화기광풍제월 (粹然和氣光風霽月: 순수한 화기는 광풍제월 그것이요)
의관고고정채발월 (衣冠高古精采發越: 의관은 고고하여 정채 뛰어나도다)
재포왕좌학창성리 (才抱王佐學倡性理: 왕을 보좌하며 성리학을 창도하여)
세숭이단독존공자 (世崇異端獨尊孔子: 이단 숭상하는 때 홀로 공자 받들었네)
거가유효립조이충 (居家惟孝立朝以忠: 집에서는 효도하고 조정에선 충성하며)
전심소사취사종용 (專心所事就死從容: 섬기는 바에 전심하다 조용히 돌아갔네)
열렬시중부식강상 (烈烈侍中扶植綱常: 열렬하신 시중은 강상 부식하였으니)
궁천망추영명무강 (窮天罔墜令名無疆: 길이 쇠퇴하지 않고 영명이 무궁하리)
「문충공문집에서 유상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지은 찬」은 숙종의 어제시라는 점에서 관심을 끄는 작품이다. 숙종이 특별히 포은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포은 선생의 위상을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