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용구별장으로 떠나는 이석지에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949
한자 龍駒別墅-李釋之-
영어음역 Yonggu Byeoljangeuro Tteonaneun Lee Seokjiege
영어의미역 To Lee Seokji Leaving for His Cottage in Yonggu
이칭/별칭 「동년이판서 석지 장귀용구별서래고별 차징증언 주필색책(同年李判書 釋之 將歸龍駒別墅來告別 且徵贈言 走筆塞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홍순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이색(李穡)[1328~1396]
창작연도/발표연도 고려 후기

[정의]

고려 후기 이색이 용인의 남곡으로 떠나는 이석지를 송별하며 지은 한시.

[개설]

이색(李穡)[1328~1396]의 『목은집(牧隱集)』 권30에 전하는 작품으로, 원래 제목은 「나이가 동갑인 판서 이석지가 장차 용구현의 별장으로 돌아가겠다고 와서 이별을 고함으로 우선 전별의 말을 주고 붓을 놀려 책임을 면하다(同年李判書釋之 將歸龍駒別墅 來告別 且徵贈言 走筆塞責)」이다. 이석지(李釋之)는 고려 후기 이성계 일파가 새로운 왕조를 열고자 했을 때 적극 반대하며, 여러 학사들과 두문동에 들어가 불사이군을 고집하였다. 급기야 두문동에까지 화가 미치자 용인의 남곡으로 옮겨 와 은거하였는데, 자신의 호를 ‘남곡’이라 한 것도 바로 이곳에 은거하면서부터이다.

[내용]

南谷先生老益壯(남곡선생노익장: 남곡 선생은 나이 들어도 건장하여)

백발홍안조인광 (白髮紅顔照人光: 흰머리털 붉은 뺨에 광채를 띠었고)

난유무석명우중 (爛游舞席名尤重: 난만히 노는 좌석에선 더욱 뛰어나)

독립사림취자장 (獨立詞林趣自長: 문단에서도 우뚝하여 자취 절로 빼어났네)

당일우붕삼가수 (當日友朋森可數: 떠나는 당일에는 친구들 얼마 남지 않았고)

만년아녀홀성행 (晩年兒女忽成行: 늙마에 자녀들만 줄을 지어 있는데)

무유도사평생포 (無由倒瀉平生抱: 아무런 까닭없이 평생 회포 쏟아놓건만)

행시전가주이향 (幸是田家酒已香: 다행히도 시골집엔 술 익어 냄새 가득하네)

[의의와 평가]

이색이석지를 위하여 지어 준 「남곡기(南谷記)」와 함께 용인의 남곡이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당대의 저명한 인사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명소였음을 확인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