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2202 |
---|---|
한자 | 靑磁陰刻蓮唐草-象嵌菊花折枝文大楪 |
영어음역 | Cheongja Eumgak Yeondangcho Sanggamgukhwa Jeoljimun Daejeop |
영어의미역 | Celadon Bowl Incise with Lotus and Arabesque Inlaid Chrycanthemum and Branch Desig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204[에버랜드로562번길 38]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김재열 |
성격 | 청자 |
---|---|
제작시기/일시 | 12세기 |
재질 | 점토 |
문양 | 음각연당초|상감국화절지문 |
높이 | 6.9㎝ |
소장처 | 호암미술관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204[에버랜드로562번길 38]![]() |
소유자 | 이건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1032호 |
문화재 지정일 | 1990년 5월 21일![]() |
[정의]
호암미술관에 있는 고려 후기 음각연당초문과 상감국화절지문이 시문된 청자 대접.
[형태]
기벽이 사선형인 옴폭한 모양의 대접으로, 안에는 가늘고 예리한 음각선으로 연당초문을 꽉 차게 새겼고, 바깥에는 다른 장식 없이 네 곳에 독립된 국화절지문을 도장 찍듯이 또렷하게 상감해 놓았다. 청자유를 고르게 씌우고 환원 번조하였다. 높이 6.9㎝, 입지름 16.6㎝, 밑지름 4.0㎝이다.
[특징]
음각선이 매우 유려하고 섬세하며, 종속 문양대 없이 홀로 새겨진 상감문양이 무척 단아하다. 유색은 맑으면서 은은한 비취색으로 문양과 좋은 조화를 보이며 굽에는 세 개의 규사 받침 자국이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능숙한 음각문과 단정한 초기 상감문이 함께 장식된 보기 드문 예로서, 초기 상감청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