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행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310
한자 行政
영어음역 Haengjeong
영어의미역 Public Administ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재민

[정의]

경기도 용인시에서 이루어지는 정치 권력, 즉 공권력을 배경으로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을 구체화하는 과정.

[개설]

일반적으로 근대 국가 성립 이후 190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행정의 주된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질서 유지에 있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뿐만 아니라 수도·전기·교통·통신 등 사회 간접 시설의 제공, 학교·도서관·공원 등 문화 시설의 확충,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경제 활동의 적극적인 지도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행정은 공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제반 정책 형성 및 집행 활동으로 이해된다. 이에 부응하여 용인시에서도 일반 행정을 비롯하여 재무, 도시, 건설, 정보 통신, 문화 공보, 사회 복지, 지역 경제, 환경, 보건, 위생, 농축산, 구·읍·면·동의 행정 등 다양하고 광범위한 행정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변천]

해방 이전까지 용인 지역의 행정은 주로 국가의 통치 기구에 의한 지역 질서 유지 차원에서 이루어져왔다. 일찍이 백제의 온조왕이 하남 위례성을 도읍지로 하여 건국한 이래 용인 지역의 행정은 백제의 통치 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후 용인 지역의 행정은 고구려 제20대 장수왕이 475년(장수왕 63)에 3만 대군을 이끌고 남정하여 이 지역을 고구려 영토로 귀속시킴으로써 이전의 용구현(龍駒縣)에서 구성현(駒城縣)으로 명칭이 변경됨과 더불어 고구려의 중앙 집권적 군현 제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신라의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점 이후로는 신라의 통치 기구에 의해, 그리고 고려의 건국으로 다시 고려의 통치 기구에 의해 용인 지역의 행정이 이루어졌다. 고려 태조 재위 시인 757년(태조 23)에 전국의 주·부·군·현의 명칭이 변경되면서 용인지역은 용구현(龍駒縣)으로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또한 조선의 건국과 더불어 조선의 통치 기구에 의해 용인 지역의 행정이 관할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용구현처인현과 합쳐지면서 용인현으로 행정구역의 명칭이 변경되었고 광주목에 소속된 하위 행정구역의 하나가 되었다. 당시 용인현은 동변면, 서변면, 구흥면, 수진면, 지내면, 기곡면, 수여면, 포곡면, 모현촌면, 현내면, 도촌면, 남촌면, 상동촌면, 하동촌면, 서촌면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1895년(고종 32) 4월에는 전국 아문의 칭호를 부로 고치는 지방 관제 개혁에 따라 용인현(龍仁縣)용인군으로 행정구역이 개칭되었으며 이듬해인 1896년에는 경기도의 4등군(等郡)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조선총독부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게 되면서 용인 지역의 행정을 관할하게 되었고, 1914년에는 조선의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였다. 이에 용인군도 기존의 양지군과 통합하여 행정구역이 확대·개편되면서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받아오다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후 1996년 3월에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됨과 더불어 이전의 수지면수지읍으로, 그리고 2000년에는 이전의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또한 2005년 10월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 및 그 각각의 구청을 신설하면서 이전의 읍·면·동을 그 하위 행정구역으로 재편하였다. 이로써 용인시는 2007년 현재 3구, 1읍, 6면, 22동, 933통·리, 5,848반에 이르는 행정구역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행정 조직]

2010년 현재 용인시의 행정 조직은 5 국, 29 실·과, 4 직속기관, 5 사업소, 3 구청, 1읍·6면·2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행정 기구로는 시장을 정점으로 부시장, 공보관, 대외협력관, 감사담당관, 자치행정국, 주민생활지원국, 산업정책국, 도시주택국, 건설교통국 등을 두고 있다.

자치행정국은 행정과와 정책기획과 등 6개 과로, 주민생활지원국은 주민생활과와 문화관광과 등 5개 과로, 산업정책국은 기업지원과와 농축산과 등 4개 과로, 도시주택국은 도시계획과와 도시계발과 등 5개 과로 그리고 건설교통국은 교통과와 도로과 등 5개 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용인시의 공무원 정원은 2004년 1,306명, 2005년 1,781명, 2006년 1,877명, 2007년 2,034명, 2008년 1,969명, 2009년 1,969명, 2010년 10월 현재 2009명(본청 605명, 의회 26명, 직속 기관 172명, 사업소 275명, 구청 524명, 읍·면·동 40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용인시 행정기구

[주요 행정 현황]

2000년 이후 추진된 용인시의 주요 행정 현황을 보면, 우선 일반 행정 분야는 시민 본위 현장 행정의 추진, 고객 만족을 위한 물적 기반의 구축, 행정 조직 및 제도 개선을 통한 조직의 안정적 구축에 중점을 두고 시행되어 왔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시민과 함께 하는 공개 감사 제도의 실시, 가스·전기 사용 시설 정기 검사 예고제의 실시, 시정 참여 교실의 확대·운영, 생활 민원 처리반 운영의 강화, 동부동 복합 청사의 신축, 기흥면 복합 청사의 신축, 행정력 향상을 위한 인력 뱅크(Bank)의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재무 행정은 건전한 자주 재원 확보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특히 완벽한 과세자료 정리에 의한 체계적인 세원 관리는 물론 납기 내 징수율 제고를 위한 납부 홍보 및 독려 등 지방 세수 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강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시 금고 예치금의 이자 수입 증대를 위해 정기 예금 발생 이자를 매월 자동 이체로 환매체 예금 조치하는 등의 세외 수입 증대를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도시·건설·건축 행정은 친환경 도시 공간의 조성, 재해 없는 완벽한 행정 체계의 구축, 안전한 교통 문화 정착, 하수 처리 시설의 지속적인 확충에 우선적인 목표를 두고 진행되고 있다. 정보 통신 행정의 경우 작고 효율적인 전자 시정의 구축은 물론 정보화 마인드를 통한 신뢰 시정을 구현하기 위해 논스톱 정보 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보건·위생·환경 행정은 토양 오염 방지를 위한 대책 강구와 수질 오염의 총체적 관리 체계 구축 및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시설 확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회 복지 행정으로는 소외 계층 및 노인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서민 생활 안정을 위해 고용 정보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약자 보호와 생산적인 복지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문화 공보 행정은 관광 산업 육성 및 생활 체육 육성을, 그리고 농·축산 행정은 경쟁력 있는 농업 기반 구축 및 쾌적한 농촌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 경제 행정의 경우 중소기업의 경영 안전 도모를 위해 중소기업 운전 자금을 지원하였으며 수도권 벤처 산업 기지화를 위한 S/W지원센터의 운영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시장 접근에 용이한 도로 개설 사업과 환경 정비를 통한 이미지 제고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3.11 [행정조직] 수정 최근 현황에 맞추어 공무원 정원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